회계기준원-UNEP FI 공동세미나
기후 공시 국제 정합성 논의

[한경ESG] 이슈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한국회계기준원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한국회계기준원
“기후위기는 생존의 문제이자 중대한 경제 문제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기후정보 공시가 있어야 금융권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7일 열린 ‘기후리스크 관리와 기후공시의 현황과 과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EU 등 주요국이 공시 의무화를 추진 중인 반면, 한국은 계획이 지연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인프라 구축과 관련 법제 정비를 대선 공약에 포함한 바 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회계기준원과 유엔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가 공동 주최했다. 국회 ESG 포럼(공동위원장 민 의원)과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가 후원했으며, 금융기관과 기업, 학계 등 국내외 전문가 40여 명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기후리스크 공시체계의 국제 정합성을 확보하고, 금융·자본시장과의 연계 강화를 위한 전략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이한상 회계기준원장은 개회사에서 “기후리스크 관리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국제 기준과 정합성을 갖춘 공시기준 마련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강화해 지속가능금융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에릭 어셔 UNEP FI 대표는 기조강연에서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지속가능금융과 제도 개혁을 선도하고 있으며, 공시기준도 글로벌 정책 흐름에 발맞춰 진전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그는 “금융, 산업, 정부, 투자자 간의 정책 일관성과 긍정적 시그널이 제도의 정착과 실질적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유토론 세션에서는 기후공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언이 나왔다. 참석자들은 ▲명확한 공시 로드맵 제시 ▲투명성을 중시하는 공시문화 확산 ▲대기업·중소기업 간 차등적 접근과 인센티브 설계 ▲정책 결정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반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금융기관과 기업 실무자들은 “규제의 예측 가능성과 공시 기준의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회계기준원은 이번 논의가 향후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의 공시기준 국제 정합성 제고와 실무 적용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승균 한경ESG 기자 cs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