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등록된 개인 전문투자자는 2만5438명으로 제도 시행 초기였던 2019년 말(2961명) 대비 약 7.6배 증가했다.
다만 2022년 말 3만247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부터는 다소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는 2023년부터 개인 전문투자자 보호를 위한 선정 요건이 강화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5년간 개인 전문투자자의 평균 연 소득은 4억6000만 원으로 자격 요건인 1억 원을 크게 웃돌았다.
부부 합산 평균 소득은 3억9000만 원으로 조사됐다. 평균 자산은 21억3000만 원 평균 부채는 2억7000만 원으로 순자산은 평균 18억6000만 원에 달했다. 이는 자격 요건인 순자산 5억 원의 약 3.7배 수준이다.
이들의 투자 포트폴리오도 일반투자자와 뚜렷하게 구분됐다. 개인 전문투자자들은 주식과 ETF에 69.9%를 투자하면서도 채권(14.5%)과 펀드(14.3%)에도 비교적 균형 있게 자산을 배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투자자들은 주식·ETF에 88.8%를 집중 투자하며, 채권(6.5%)과 펀드(3.8%)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채권 투자 비중은 2021년 3.6%에서 2023년 말 14.5%로 상승하는 등 꾸준히 증가했다. 총채권 투자금액은 8조6000억 원으로 이 중 5조9000억 원(68.6%)은 국내 채권이었다.
해외 주식 투자가 대중화되고 있음에도 개인 전문투자자들은 국내 주식 중심의 투자 성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주식 중 해외 주식의 비중은 13.3%로 2019년 말 8.7% 대비 소폭 증가에 그쳤다. 같은 기간 일반투자자의 해외 주식 비중은 2.6%에서 17.6%로 크게 뛰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