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EY 창업] 여성고객을 잡아라(2)-'건강·저칼로리 아이템' 인기
[ 업종선택② ] 내수부진에도 불구하고 여성 소비자들은 활발하고 개성적인 소비를 보이면서 웰빙, 매스티지, 디자인과 색 중시 등 다양한 트렌드를 창출하면서 새로운 소비시장을 열고 있다.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으로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도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마케팅이 떠오르고 있다. 여성 고객을 타깃으로 한 외식업소들은 '건강'과 '저칼로리'를 주요 테마로 내세운다. 대다수 여성들이 다이어트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
2005.11.24 12:03:58
-
[MONEY 주식] 3분기 실적발표&대응전략
쏟아지는 장밋빛 전망… 매수 '강추'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조정을 받을 듯하면서 강한 뒷심에 밀려 올라가는 형국이다. 특히 코스닥시장은 거의 한 달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오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이 내놓은 시장전망도 여전히 장밋빛이다. 대우증권은 내년 코스피지수는 상반기 1100포인트를 저점으로 상승, 연말에는 1550포인트까지 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우증권은 그 근거로 △경기회복으로 내수 관련 업종의 ...
2005.11.24 12:02:09
-
[COVER STORY] '전문인력 양성에 최선 다해야'
서병문 '(콘텐츠산업에 대해) 강의 좀 해주세요.' 서병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원장(57)이 가장 반가워하는 소리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요성을 조금이라도 알릴 수 있는 자리라면 어디든지 달려간다. 서울이건 지방이건 가리지 않고, 평일이건 휴일이건 따지지 않는다. 서원장이 '문화콘텐츠산업 전도사'를 자임하며 전국을 순회한 지 벌써 5년째. 2001년 한국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 설립과 함께 초대 원장을 맡은 서원장은 삼성전자 부사장 출신이다. 삼...
2005.11.24 11:56:46
-
[COVER STORY] 인력양성.. 기획·창작 핵심인재 없어서 못쓴다
'메가 히트상품을 만들 핵심인재를 키워라!' 문화콘텐츠산업 전반에 특명이 떨어졌다.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선 '범재'가 아닌 '수재'가 필요하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이야기다. 특히 문화콘텐츠 분야는 다른 분야와 달리 기획과 창작력에서 승부가 판가름나는 경우가 많아 '핵심 브레인' 발굴이 관건이다. 팀워크 못지않게 개인의 능력이 중시되는 분야라는 점도 인재육성이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유다. 현재 문화콘텐츠 인력 키...
2005.11.24 11:55:55
-
[COVER STORY] 지방 문화산업 '뜬다'
방방곡곡마다 클러스터 '쑥쑥'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기 위한 열기는 지방에서도 뜨겁다. 전국의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문화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고, 문화산업지원센터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정부 역시 이를 지원하기 위해 이미 팔을 걷어붙인 상태다. 먼저 지방문화산업단지는 지난 9월 현재 전국의 8개 지역에 들어서고 있다. 부천, 춘천, 대전, 청주, 광주, 전주, 부산, 대구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 가운데 대전, 춘천, 부천, 청주, ...
2005.11.24 11:54:57
-
[COVER STORY] 음악, 디지털 뮤직 뉴 패러다임‥ '격동 5년'
국내 음악산업의 지난 5년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2000년 50만장 이상 판매된 앨범은 13개였다. 하지만 2001년 7개, 2002년 5개로 급감하면서 2003년 1개에 이르렀다. 2004년에는 단 한 개의 앨범도 50만장을 넘지 못해 음반산업 관계자들을 경악하게 했다. 연도별 1위 앨범의 판매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에는 조성모의 가 197만장으로 정상에 올랐다. 그뒤 2003년에는 김건모 8집 이 53만장으로 1위였다. 200...
2005.11.24 11:54:17
-
[COVER STORY] 만화, 글로벌 브랜드 'Manhwa'
'학창시절 수업시간 선생님 몰래 돌려보던 만화책. 만화방 아저씨가 끓여주던 얼큰한 라면 맛.' 그때 그 시절만 생각한다면, 2005년 만화 지형도를 머릿속에 넣을 수 없다. 이제 한국의 만화는 만화방을 훌쩍 넘어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갔다. 만화는 부가가치 높은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03년 만화산업의 시장규모는 7,591억원에 이른다. 또 문화관광부는 2003년 만화의 연간 발행부수가 3...
2005.11.24 11:53:12
-
[COVER STORY] 애니메이션, 세계무대서 잇단 개가…인프라 뛰어나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지난 2004년 국내 애니메이션시장 규모는 3,258억원이다. 이는 제작시장 규모와 직배사 매출, 홈비디오시장 규모를 더한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활동하는 관련업체수는 362개사, 고용인원은 5,385명에 이른다. 하지만 이는 현재 세계 애니메이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과 비교하면 턱없이 작은 숫자임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지난해 애니메이션시장 규모는 24억달러, 일본은 13억달러로 추정...
2005.11.24 11:52:21
-
[COVER STORY] 영화, 수출 증가율 폭발적…2년새 4배 늘어
지난 10월 말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와 CJ CGV가 잇달아 전 상영관의 디지털화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메가박스는 2006년 초 서울 삼성동 코엑스점 16개 상영관을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 오픈 예정인 목동 8개관, 신촌 8개관 등 총 32개 상영관을 디지털화한다고 밝혔다. CJ CGV 역시 메가박스측 발표에 바로 뒤이어 서울 용산점을 시작으로 내년 초까지 전국 CGV의 266개 상영관에 디지털 영상설비를 설치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
2005.11.24 11:51:55
-
[COVER STORY] 캐릭터산업, 70여개국 진출…'스테디셀러' 시동
캐릭터산업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꽃'으로 꼽힌다. 캐릭터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한데다 생명력도 길어 지속적인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원 소스 멀티 유즈'에 유리하다는 것도 캐릭터 비즈니스의 특징이다. 잘 만든 캐릭터 하나가 수백가지 상품으로 변신, 수십년간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는 예는 국내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국내 캐릭터산업은 도입기를 지나 성장기 초반에 들어섰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1983년 아기공룡 둘리를...
2005.11.24 11:51:16
-
[COVER STORY] 게임, 문화산업 '핵'…거침없는 성장 '로그인'
“한국의 온라인게임을 경험해 보고 싶습니다.” 지난 11월14일 한국을 방문한 영국의 앤드류 왕자는 11월17일 영국문화원에서 엔씨소프트의 신작 게임 '길드워' 시연을 시청했다. 시연이 끝난 후 앤드류 왕자는 “한국의 기술력이 느껴진다”며 “한국과 영국의 게임산업 교류가 활발해지길 바란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국 온라인게임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우종식 한국게임산업개발원장은 게임산업은 ...
2005.11.24 11:50:16
-
[COVER STORY] 방송콘텐츠, 아시아 찍고 중동으로! 유럽으로!
▷사례1 = 11월17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 텔레비전 영상물 세계 메이저 배급사 중 하나인 디즈니 브에나비스타 인터내셔널 텔레비전을 비롯해 스타TV, 디스커버리TB, 니폰TV, 후지TV 등 해외 주요 방송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여기저기서 보였다. 바로 19일까지 열린 '제5회 국제방송영상견본시'(BCWW 2005)에서 국내 방송콘텐츠 구매 타진을 위해 VIP 바이어 200여명이 방한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120여명...
2005.11.24 11:48:51
-
[COVER STORY] 왜 문화콘텐츠인가
부가가치 '와우'…파급효과 '앗싸' 한국 이동통신산업은 강하다. 세계시장을 쥐락펴락한다. 한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반도체, 자동차, 가전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원가의 약 40%를 기술로열티와 핵심부품 수입비용으로 외국기업에 지불해야 한다. 벌기도 많이 벌지만 그만큼 유출되는 외화도 적지 않은 셈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의 수익률은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총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
2005.11.24 11:46:39
-
[COVER STORY] 문화콘텐츠 세계대전 - 1200조 시장을 잡아라
문화콘텐츠산업이 한국경제를 책임질 '미래의 쌀'로 떠올랐다. 드라마와 영화는 한류를 타고 아시아를 강타하고 있다. 게임과 캐릭터는 뉴욕과 런던에 태극기를 꽂았다. 세계가 깜짝 놀란 눈으로 코리아를 지켜보고 있다. 1,200조원대로 추산되는 세계의 문화콘텐츠 시장을 제패할 날이 빠른 속도로 다가오고 있다. 취재=권오준·김상헌·박수진·김소연·이효정 ·변형주 기자 / 배국남 마이데일리 대중문화전문기자 은 세계를 흥분시킨 영화다. 서너 번씩 봤...
2005.11.24 11:45:43
-
[Business Humor] 상대적 쾌감
A man and a woman were having drinks when they got into an argument about who enjoyed sex more. The man said, “Men obviously enjoy sex more than women. Why do you think we're obsessed with getting laid?” “That doesn't prove anything,” the woman co...
2005.11.24 11:4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