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경험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이태산 SK네트웍스 인력팀 HR그룹 매니저에게 듣는 BEI 합격 꿀팁
[캠퍼스 잡앤조이=남민영 기자] Sk네트웍스의 면접 BEI, PT, GA(토론)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중 BEI는 구직자의 과거 행동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역량을 측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질문은 제출한 자기소개서 기반으로 주어진다고 하지만, 심층적으로 묻고 답해야 하기 때문에 만만하게 볼 수 없는 과정이다. 어떻게 하면 합격에 더 가까워질지 궁금한 예비 지원자들을 위해 이태산 SK네트웍스 인력팀 HR그룹 매니저에게 합격 비법을 물었다.
SK네트웍스가 BEI를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
“BEI는 흔히들 ‘면접’을 떠올릴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면대면 구두 질문 절차다. 다만, 면접마다 면접관 개인의 성향 또는 면접을 보는 시간, 장소 등의 외부 요소가 지원자를 판단하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고 채용 포지션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공통 평가의 방식으로 도입했다.”
BEI을 통해 판단하는 사항들에는 무엇이 있나.
“BEI 면접의 기본 전제는 ‘과거 행동이 미래 행동을 예측한다’로, 지원자의 과거 행위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현재 보유한 역량 수준을 관찰한다. 또 지원동기 및 전반적 인성, 태도를 파악하여 회사의 구성원이 될 자질을 갖추었는지 판단한다.”
BEI 통해 SK네트웍스가 구직자에게서 중점적으로 보려고 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크게 봤을 때, 스스로 높은 목표를 세워 동기 부여할 수 있는지, 문제가 닥쳤을 때, 어떤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는지, 타인과 함께 일할 수 있는 팀워크를 갖췄는지,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책임감을 갖췄는지 등이다. 또한 경험의 진실성, 답변의 일관성, 원만한 소통능력 보유 여부 판단도 함께 이루어진다.”
BEI에 앞서 구직자가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
“BEI는 과거 행동을 통해 현재의 역량과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본적으로는 지원서를 토대로 과거 행동을 질문하기에, 본인이 작성한 지원서의 경험을 따로 구체적으로 적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예를 든다면, ‘STAR 기법’에 따라 작성해 볼 수 있다. 본인의 경험을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TAR 기법
Situation : 언제, 어디서 있었던 일인지 / 관련된 사람들은 누가 있었는지
Task : 어떤 역할과 과제를 맡았는지 / 그 역할은 어떻게 해서 맡게 됐는지
Action : 구체적으로 취한 행동은 무엇인지 / 진행과정에서 생긴 문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했는지
Result : 실제 성과는 어땠는지 /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BEI에서 반드시 어필해야 할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회사에 대한 관심과 내가 회사에 대해 얼만큼 공부했는지 그리고 본인의 강점과 관심사를 어필하면 조금 더 좋은 답변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적극적인 자세를 갖춰야 해당 지원자가 입사했을 때 사내에서 어떤 일을 할지 바로 그림이 그려진다. 이런 태도를 보인다면 합격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다.”
BEI에서 이 점은 반드시 피하라고 충고한다면.
“거짓되거나 과장된 답변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또 부적절한 언어 사용이나 자신감 없는 태도도 금물이다.”
moonblue@hankyung.com
[사진 제공=SK 네트웍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