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경제DB 제공)
[캠퍼스 잡앤조이=이영규 인턴기자] 지방대 출신에게 '신의 직장'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지난해 상당수 공공기관들이 지방대 출신 채용에 소홀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4일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 ‘2016년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319개 공공기관 중 지방대육성법이 규정하고 있는 지방대 출신 채용권고비율 35%에 미달한 기관이 66곳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채용 규모가 30명 이상으로 취업준비생들이 많이 몰리는 기관들의 지방대 채용 비율이 낮았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94명 모집에 지방대 출신은 12명 채용에 그쳐 12.8%로 가장 저조했다. 이어 예금보험공사는 46명 모집에 6명으로 12.9%, 중소기업은행이 193명 모집에 35명으로 18.1%를 기록했다.
금융공공기관 역시 35%에 미달하는 사례가 많았다.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자산관리공사, 무역보험공사, 예탁결제원, 신용보증기금 등이 지방대 채용권고 비율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은 지역인재 선발 및 육성과 지방대 경쟁력 강화,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 및 기업이 신규 채용인원의 35% 이상을 지역인재로 채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채용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공공 기관과 기업에 대해 행·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이 법률은 권고 사항일 뿐 강제력이 없어 이 비율을 지키지 않는 기관들이 여전히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는 올해부터 전국 모든 공공기관에 대해 지방대 채용 실적을 경영평가에 적극 반영, 지방대 졸업자를 35% 이상 채용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35%에 미달할 경우 다음해 채용 규모나 예산 등에 불이익을 받게 될 수 있다.
조승래 의원은 “소위 신의직장이라 불리는 공공기관에 취업할 때 지방대학출신들이 고전하는 원인에 대해 채용 관계자들은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확대 정책이 지역인재 채용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pdlqjc34@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