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리를 뒤적이며 하얀 종이를 어떻게 메울지, 한 해를 어떻게 살아갈지 자신의 활약상을 미리 그려본다는 것이다. 하얀 백지 위에선 그 무엇이든 가능하다. 일정 관리부터 재무 관리, 인맥 관리, 일기 쓰기 등 설계자 마음에 따라 무한한 세계가 펼쳐진다.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2011년. 자, 이 한 해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두 명의 고수에게서 다이어리 활용법을 들어보았다.

시간관리 컨설턴트로 활약하는 임현민 씨에게 다이어리는 ‘애인’과도 같다. 언제나 손안에 있어야 마음이 편하다. 핸드폰보다 소중하게 챙기는 목록 1호다.

이를 바탕으로 한 페이지 주간난에 한 주 동안 해야 할 일을 정리한 후 다시 일간별로 일정을 매일 꼼꼼히 체크하고 있다. 쓰는 양이 많기 때문에 칸이 큼직한 다이어리를 선호한다. 미래 스케줄 관리 못지않게 과거 스케줄을 정리하고 돌아보는 데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임 씨는 “단지 일정을 적는게 아니라 목표를 적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해야 할 일과 마감 시한을 정하고 일의 절차와 결과를 기록하는 것이다. 꼭 글이 아니어도 좋다. 간단한 메모나 낙서, 그림 등 자신만의 방법으로 시각화하면 된다. 이때 핵심은 ‘목표를 최대한 잘게 쪼개는 것’이다.
임 씨는 대학생들에게 “매일의 미션 ‘To Do List’를 적어보라”고 제안했다. 오늘 안에 꼭 해야 하는 일을 일간난 혹은 메모난에 모두 기록하라는 것이다. 시간관리가 안 될수록 두루뭉술하게 적기 때문에 일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적어야 한다.
하루를 충실히 못 살면 일 년 계획도 무상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데드라인을 정해 일정 관리를 하는 습관을 길러보자. 만약 다이어리 쓰기가 지루하다면 ‘여행 가기’와 같이 즐거운 일을 구체화해서 기록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2 ‘시간은 흐름이 보여야 한다는 것’이 임현민 씨의 생각. 그는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책갈피를 만들어 일간난 옆에 주간 스케줄을 붙이고 다닌다. 일간과 주간 스케줄을 동시에 보면서 한 주간 꼭 해야 할 일과 일일 목표를 함께 관리하는 것. 책갈피 안쪽에는 연간 목표를 적어두었다. 큰 목표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세부 일정을 기록하는 목표관리 방법이다.

이지남 씨는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꾸준히 다이어리를 써왔다. 원래 메모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다이어리에 보기 좋게 정리를 해놓으니 그 어떤 책보다 재미있는 자서전이 됐다.
특히 ‘일기’와 ‘에세이’를 쓰는 데 공을 들였다.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 가슴에 담아둔 것들을 다이어리에 표현하면 속이 시원해진다고 한다.

이 씨 역시 다이어리를 쓸 때 ‘계획’을 잘 적는 데 비중을 두고 있다. 직접 적고 계속 보면 ‘목표의식’이 뚜렷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하루를 정리하면서 내일의 다짐을 하면 ‘특별한 하루’를 만드는 기분이라고.

2 때로는 글보다 사진이 상황을 더 효과적으로 묘사해준다.
3 책을 읽고 리뷰를 하기도 하고 영화를 보고 간단한 소감을 적어두기도 한다. 각종 포스트 잇은 졸업전시회에서 친구들에게 받은 쪽지.
4 일기를 쓸 때 지루하지 않게 하기 위해 다양한 펜을 사용할한다. 글씨 크기도 여러 가지로 바꾼다.
글 이현주 기자 charis@hankyung.com│사진 서범세 기자 joycine@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