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과의 조화에 바탕을 두고 최소한의 토지를 이용해 환경을 조성한 점이다. 한옥 건축의 근간인 ‘풍수’ 속에는 어떠한 것도 우연하지 않고 터를 잡을 때도, 창문을 낼 때도 자연과의 조화를 먼저 생각했다.한옥 풍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배산임수의 집터는 자연친화적인 삶의 공간을 연출한다. 한옥은 뒤로 산에 기대어 집터를 잡는데(背山), 산기슭에 바짝 붙여 집을 지었다. 집터의 뒤가 높고 앞이 낮으면 일조량이 우수해 겨울에 따뜻하고, 또 뒷산의 무성한 나무는 물과 흙을 보호·유지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 쾌적한 미기후(微氣候)를 조성한다. 집 앞에 너른 들과 개천이 있으면(臨水) 문전옥답을 경작하기에 유리하고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어와 시원하다.한옥은 기단을 높이 설치하고 처마를 깊이 둔다. 기단인 댓돌을 여러 겹으로 쌓아 높게 만들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우니 자연스럽게 땅에서 높게 떨어진다. 이것은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줄여 쾌적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이다. 깊은 처마는 차양이 돼 여름의 뙤약볕을 가려 방과 대청을 시원하게 만든다.한옥은 땅의 경사도에 맞춰 지었다. 집은 온전한 터에 지어야 한다. 사람이 산천의 정기를 받고 훌륭한 인물이 되려면 집터의 지기가 손상돼서는 안 된다. 따라서 집을 짓고자 터를 고를 때는 땅의 생긴 경사도에 맞추되, 경사지를 단(terrace)으로 깎은 뒤 단면에는 돌계단이나 대를 높여서 자연스럽게 집을 층차감 있게 짓는다(開荒).다음은 천장의 높이를 달리해 기의 흐름을 원활히 한 점이다. 방의 크기는 기가 고루 순환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설정하고, 천장의 높낮이를 달리해 가면서 앉거나 서서 움직일 때 기가 위축되지 않게 배려했다. 또 천장 높낮이에 따른 낙차를 이용해 수장 공간을 만들고 요긴한 장소에 벽장과 다락을 두어 물건을 보관하는데 편리하도록 했다.후원을 두어 주산에서 집으로 뻗어온 지맥을 보호한다. 후원은 뒷산에서 집으로 뻗어온 지맥을 온전히 보존하면서 그 지기를 받아 훌륭한 인물이 태어날 것을 기대하는 풍수적 목적이 담겨 있다. 따라서 후원에 대(臺)를 설치한 화계(花階)에는 수목과 석물을 이용해 수직 공간을 장식해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설계된다. 중문은 내·외벽을 쌓아 입구와 출구를 엇갈리게 배치한다. 사랑채 마당에서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은 대개 중문채에 설치하는데 크기는 대문보다 작다. 이것은 사랑 마당의 바람이 안채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막고, 또 외부인이 안채를 쉽게 들여다보는 것을 차단해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한옥 정원에 나무를 심을 때는 수종뿐만 아니라 식재할 장소도 제한을 두었는데, 식물의 선정에는 풍수와 민속 그리고 유교 규범에 의거해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가렸다. 그러므로 매우 의도적으로 식재가 이뤄졌는데, 그중에 나무가 가진 상징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대추나무가 집의 서쪽에 있으면 소가 살찌고, 수양버들을 동쪽에 심으면 소와 말에 이롭다. 느릅나무는 미방(未方)이나 집 뒤가 좋은데, 귀신이 감히 넘지 못한다. 복숭아는 우물가를 피한다. 자두나무는 동쪽이 좋으나 남서쪽은 꺼린다. 살구나무는 북쪽이 좋고 진방(辰方)을 꺼린다. 오동나무는 뜰 앞은 꺼린다. 느티나무는 중문에 3그루를 심으면 대대로 부귀를 누리고, 신방(申方)에 심으면 도적을 피한다. 능금나무는 진방(辰方)이 마땅하고 집안에는 꺼린다. 매화나무는 남쪽이 좋고, 무궁화나무는 집 안에 심지 않는다. 석류나무를 뜰 앞에 심으면 똑똑한 자식이 태어나고 또 후손이 많아 대길하다고 한다.집 안에 수명이 긴 나무를 심으면 나중에 제거할 때 애를 먹는다. 백 년이 넘는 노거수를 함부로 베면 반드시 재앙이 뒤따른다. 집 가까운 곳의 나무에는 귀신이 산다. 따라서 가운데 뜰에는 나무를 심지 않고 그늘을 얻고 싶으면 꽃을 재배한다. 또 집을 지을 때는 나무의 가운데가 비어 있거나, 죽은 나무로 등나무가 기어 올라가는 것, 나무에 눈이 뚫리거나 혹은 오그라지고 굽은 나무는 모두 불길하다. 빨리 베어 버려야 한다.연못의 형태는 중국과 일본의 경우 자연스러운 곡선 형태를 취하는데 비해 한국은 직선적인 방지(方池)가 많다. 또한 연못의 중앙에는 원형의 섬이 조성돼 음양오행의 원리를 상징화했다. 한국은 암석을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했는데 형태가 특이한 암석, 즉 괴석을 화분에 꽃을 심듯이 석분 석대 등에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또 조경에서 연못을 팔 수 없는 장소에는 석조에 물을 담아뒀다. 돌확은 크지 않은 돌덩이에 큰 홈을 판 뒤 물을 담아 마당에 놓아두는 석물인데 대개는 사랑채 앞뜰에 뒀다. 석련지(石蓮池)는 직육면체의 돌을 파 그 속에 물을 담으며 때로는 연꽃을 키우는 석물이다. 여기서 돌확과 석련지는 모두 연못을 팔 수 없는 마당에 놓아두는 조경 시설물로 집안의 습기와 같은 미기후를 조절해 쾌적한 생활공간을 가꿔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