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앙프라방은 라오스 옛 왕조의 수도였던 곳으로, 오래된 도시의 분위기가 고스란히 살아 있는 곳이다.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루앙프라방은 라오스인들의 소박한 삶을 엿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불교 사원의 도시 루앙프라방으로 초대한다.

200여 개 소수 민족으로 이뤄진 라오스는 봉족인 라오숭과 카무족인 라오퉁, 그리고 라오족인 라오룸 등 3개의 계급 사회로 이루어져 있다. 라오스인들은 동남아 국가 중 한국인과 가장 비슷한 생김새를 가졌다. 그래서인지 길가에서 만나는 이들이 여느 곳보다 친숙하게 느껴진다.

루앙프라방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곳은 메콩 강이다. 중국에서 시작한 메콩 강이 티베트를 지나 도착하는 곳이 루앙프라방이다.
겉으로 보기에 메콩 강은 진흙탕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맑다. 진흙과 뻘 때문에 황토색으로 보일 뿐이다. 메콩 강은 이곳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다. 강가에 서면 집을 얹은 기다란 배와 천진하게 물에 뛰어드는 아이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라오스에서 빅트리라는 식당을 운영하는 한국인 가이드 손미자 씨는 루앙프라방의 매력을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된 빼어난 자연환경과 34개의 사원, 그리고 무엇보다 라오스인들의 소박한 삶의 태도라고 말했다. 베트남인들이 북한 사람들처럼 성격이 급하고 격하다면 라오스인들은 느리고 여유가 있는 게 충청도 사람과 비슷하다는 게 라오스인들을 겪어본 손 씨의 생각이다.
루앙프라방은 일종의 왕족 마을로, 전쟁 당시 모두가 피난을 갔다가 최근 몇 년 사이에 다시 돌아와 호텔과 카페 등의 사업을 시작했다. 관광 인프라가 갖춰지면서 라오스 제1의 관광도시로 부상해 연간 38만~40만 명의 관광객이 루앙프라방을 방문한다. 관광객은 태국, 중국,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오고 영국, 프랑스 등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도 많이 찾는다.

빌라에 짐을 풀고 가장 먼저 메콩 강 유람에 나섰다. 몸통이 긴 배를 타고 황토색 물이 끊임없이 흘러내려오는 메콩 강을 2시간여 거슬러 올라가 도착한 곳은 빠구 동굴. 베트남전 당시 인근 주민의 피난처였다는 빠구 동굴은 2500여 개의 부처상이 있는 탐룸, 1500여 개의 부처상이 있는 탐봄으로 나뉜다.
지금은 부처상이 주인인 이곳은 16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무속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1547년 라오스가 불교를 수용하면서 불교 성지로 자리 잡아 새해를 앞두고 부처를 깎아 모신 후 제사를 지냈다.
빠구 동굴에서 배로 40여 분 거리에는 민속촌 ‘반상하이’가 있다. 라오스어로 ‘반’은 동네, ‘상하이’는 도자기를 빚는다는 뜻이란다. 500년 전 도자기를 빚었던 이곳은 지금은 흔적도 찾기 어렵다. 지금은 ‘라오라오’라는 민속주를 만드는 모습과 베틀을 짜는 여인들, 그렇게 짠 비단을 파는 아이들이 관광객들을 맞는다. 반상하이에서 다시 배로 1시간 20여 분을 내려와 루앙프라방에 닿았다.

사원 오른편에 자리한 황금색 건물은 라오왕국의 마지막 왕 시사방봉의 관을 보관하는 곳. 건물 안쪽에는 장례 당시 사용한 가마와 장식 등을 보관하고 있다. 사원 한가운데 들어선 본당 앞에 서면 화려한 문양을 가진 모자이크를 볼 수 있다. 사원의 본당 시엠통 사원은 유리 모자이크가 유명한데, 석양을 받아 빛을 발하면 장관을 연출한다.
손 씨는 유리 모자이크가 산스크리트 문화의 흔적이라고 설명해주었다. 시엠통 사원을 뒤로하고 일행은 다시 배에 올랐다. 배에서 저녁을 먹으며 바라본 메콩 강의 석양은 하루의 피로를 씻어주기에 충분했다. 디너 크루즈의 마지막 코스는 강 건너 마을에서 준비한 민속무용. 식사와 뱃삯, 민속무용 관람을 포함해 1인당 30~35달러라니 그들의 노고에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신앙의 구심점이자 교육기관인 사원
이튿날은 왓마이 사원에서 아침을 맞았다. 왓마이 사원은 루앙프라방 전통 구조로 지어진 사원으로 1796년에 건축을 시작해 77년에 걸쳐 완공됐다고 한다. 왓마이 사원은 왕궁 옆에 자리해 예전 왕이 기도하던 사원이기도 하다. 지금도 새해맞이 축제를 이곳에서 연다. 왓마이 사원에서 물로 불상을 씻으면 이를 신호로 루앙프라방의 33개 사원에서 새해맞이 축제가 시작된다.

따라서 루앙프라방의 사원으로 유학 오는 이들이 적지 않다. 경제적인 이유로 사원에 들어가는 수련승도 많은데, 사원에서는 불경뿐 아니라 언어, 문화, 컴퓨터 등을 가르친다.
루앙프라방에서 빠트릴 수 없는 곳이 시내에 있는 왕립박물관이다. 현재 왕립박물관으로 쓰이는 건물은 라오왕조의 마지막 왕인 시사방봉과 그의 아들이 1975년까지 실제 살던 곳이다. 시사방봉의 아들이 실종된 후 1976년 3월부터 왕립박물관으로 개방하고 있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