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다니엘스는 가장 유명한 위스키 브랜드 중 하나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미국 위스키이기도 하다. 그런데 우리가 잭 다니엘스에 대해 잘 몰랐던 몇 가지 사실.
[위스키 이야기]
잭 다니엘스(Jack Daniel’s)의 역사는 160여 년 전인 1866년으로 거슬러 오른다. 미국 테네시주 린츠버그에 재스퍼 뉴튼 잭 다니엘(Jasper Newton Jack Daniel·1846~1911년)이 증류소를 세우며 위대한 역사의 서막을 열었다. 미국 최초로 공식 등록된 증류소였다. 잭은 훗날 엄청난 거부가 됐지만, 그의 유년 시절은 몹시 불행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후견인이었던 아일랜드 출신의 목사 댄 콜(Dan Call)의 집에서 허드렛일을 도우며 유년 시절을 보낸 것이다. 콜은 농장을 운영하며 남은 곡물로 위스키를 제조했는데, 이곳에서 잭은 위스키 증류에 처음 눈을 뜬다.
당시 잭에게 위스키 제조법을 알려준 이는 농장의 흑인 노예였던 나단 니어리스트 그린(Nathan Nearest Green)이었다. 그린은 자신의 고향인 서아프리카에서 하던 방식대로 탄 나무로 만든 숯을 사용해 술을 부드럽게 만드는 주조법을 잭에게 전수했다. 지금도 잭 다니엘스를 상징하는 숯 필터 여과 방식의 ‘비밀’이 서아프리카의 주조법에서 유래했던 것. 이후 1865년 미국 남북전쟁의 종식과 함께 노예제도가 폐지되면서 잭은 콜의 증류소를 인수하고, 그린을 위스키 제조의 모든 것을 총괄하는 첫 번째 마스터 디스틸러로 임명한다. 노예제가 폐지되기는 했지만, 꽤 오랫동안 차별이 존재했던 미국, 그것도 노예제를 옹호한 미국 남부 테네시에서는 매우 파격적 인사였다.

버번위스키가 아니다
잭 다니엘스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는 ‘잭 다니엘스는 버번위스키다’라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잭 다니엘스는 버번위스키와 법적으로 구별되는 ‘테네시위스키’라는 독립 분류에 속한다. 미국에는 버번위스키의 제조법을 정한 법률이 있다. 이에 따르면 버번위스키는 반드시 미국에서 증류해야 하고, 옥수수의 비율이 51%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안쪽을 불에 태운 새 화이트 오크통에서 숙성해야 하고, 증류할 때 알코올 도수는 80도 이하, 병입 시에는 40도 이상으로 해야 한다. 잭 다니엘스도 모두 해당되는 내용이다. 버번위스키와 테네시위스키는 구별 짓는 결정적 차이는 앞서 말한 숯 필터 여과 방식에서 비롯된다.

고숙성 라인업이 있다?
잭 다니엘스 중 가장 많이 알려진 제품은,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의 ‘잭 다니엘스 올드 넘버 7’이지만 ‘젠틀맨 잭’이나 ‘잭 다니엘스 싱글 베럴’ 등 프리미엄 라인업도 탄탄하다. 특히 9대 마스터 디스틸러로 크리스 플렛처(Chris Fletcher)가 부임하며 공격적으로 슈퍼 프리미엄 라인업을 확장 중이다. 플렛처는 창립자 잭 다니엘이 활동하던 당시의 위스키를 재현하는 데 집중한다. 1920~1933년까지 시행된 미국 금주법 시대 이전 잭 다니엘스에 존재하던 10년과 12년, 14년, 18년, 21년 등 고숙성 위스키 복각에 나선 것이다. 사실 스코틀랜드와 달리 미국에서는 5년 숙성도 쉽지 않다. 미국 테네시의 평균 기온이 스코틀랜드보다 훨씬 높은 탓이다.10년 숙성할 경우 ‘엔젤스 셰어(Angel’s Share)’라고 부르는 증발률이 50%에 달할 정도다. 그럼에도 플렛처가 고숙성 위스키를 선보인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고숙성 위스키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 이에 지난 2021년 출시한 ‘잭 다니엘스 10년’을 시작으로 12년과 14년을 차례로 미국 시장에 선보였다. 그중 가장 최근 선보인 ‘잭 다니엘스 14년’은 미국에서도 웃돈을 주고 구매해야 할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EDITOR'S PICK

이승률 기자 ujh8817@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