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HDC현산 도시정비 및 초고층 복합개발 실적 비교표
포스코이앤씨, HDC현산 도시정비 및 초고층 복합개발 실적 비교표
서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자 선정이 막바지로 향하는 가운데, 조합원들의 선택 기준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시공사의 체급'이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경쟁사 HDC현대산업개발(HDC현산)과 비교해 신용도, 부채비율, 도시정비 실적, 초고층 복합개발 역량 등 지표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24년 기준, 포스코그룹은 자산 103.4조원, 매출 72.6조원으로 국내 재계 순위 6위에 올라 있으며,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Fortune Global 500에서 233위에 이름을 올렸다. 포스코이앤씨 역시 국내 3대 신용평가기관에서 A+(안정적)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2025년 1분기 기준 포스코이앤씨의 연결 부채비율은 116.8%로, 경쟁사 HDC현산(148.6%) 대비 약 32%포인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사업비 및 이주비 조달, PF금융, 분양보증 등에서 보다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도시정비 수주 실적에서도 포스코이앤씨는 서울 기준 5.3조원, 전국 기준 13.9조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하며 경쟁사 대비 약 6배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주거시설, 오피스텔, 판매시설, 업무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복합개발 성격이 강한 프로젝트로, 업무·상업 기능 유치 및 도시기능 복합화에 대한 실전 경험이 중요하다.

포스코이앤씨는 24조원 규모의 송도국제업무지구를 개발한 실적을 갖고 있다. 서울 여의도의 ‘파크원’, 부산 해운대의 ‘LCT’ 등도 모두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한 초고층 복합단지로,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들을 시공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5조원 규모의 서초 서리풀지구 복합개발에도 참여 중이다.

또한 50층 이상의 초고층 시공 경험, 토건기술자 보유 인원, 연간 R&D 투자비용 등 각종 수치에서도 HDC현산을 압도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단순 주거공간을 넘어 용산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거점”이라며 “초고층 복합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기업은 경험과 자본, 기술이 뒷받침되는 대형 건설사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 역시 “포스코그룹이라는 든든한 지원군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재산 가치를 높이고, 용산정비창을 ‘오티에르 용산’이라는 명품 브랜드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머니 온라인뉴스팀 기자 money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