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코스피의 가을 반등에 대비해야 한다

    [머니 인사이트]8월 이후 코스피의 두드러진 하락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임박, 경기와 기업 실적 정점 우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세 가지 요인이 한꺼번에 겹쳤기 때문이다. 경기 둔화와 Fed의 테이퍼링 조합은 특히 신흥 시장에 부정적이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신흥 시장의 이동 제한 강화도 영향을 줬다.다만 코스피의 200일선(9월 14일 기준 3110) 부근에서는 분할 매수로 대응할 것을 권고한다. 현재의 조정은 새로운 하락 추세의 시작이 아니라 경기 침체 이후 주가 반등 국면에서 부양책 축소와 맞물려 나타나는 밸류에이션 멀티플 조정이기 때문이다. 코스피의 여름 조정·가을 반등·겨울 상승 전망을 유지한다. 당분간 변동성 확대가 이어지겠지만 투자자들에게는 중·장기적으로 또 한 번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주가 하락의 세 가지 원인8월 이후 한국 증시의 하락 속도가 가파르다. 코스피는 8월 20일 3060까지 급락하며 7월 고점 대비 7.4% 하락했다. 한국 증시와 원화 가치의 하락 폭이 여타 국가에 비해 더 컸던 배경은 첫째, Fed의 테이퍼링 임박. 둘째, 경기와 기업 실적의 정점 우려. 셋째,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이 겹쳤기 때문이다. 이들은 하나씩 따로 보면 큰 이벤트가 아니거나 이미 잘 알고 있는 요인이지만 세 가지가 모두 한꺼번에 동시에 나타나면서 한국과 신흥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줬다.2분기를 전후로 경기와 기업 실적 사이클이 정점을 지났다는 것을 시장이 반영하기 시작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8월 미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된 것

    2021.09.28 06:00:35

    코스피의 가을 반등에 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