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SG 글로벌 기구가 뜬다…‘기후 변화’부터 ‘인권’까지 평가 기준 등 표준화

    [ESG 리뷰]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평가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글로벌 기관들이 있다. 이니셔티브(initiative)로 불린다. 이니셔티브는 ESG 관련 주제에 대해 논의의 실천 방안을 만들어 내는 협의체에 해당한다. 또한 자본 시장 데이터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관들이 있다. ESG 지표를 발표하고 기업 가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기관은 ESG 경영의 ‘실행·목표·보고·평가’를 위한 기준인 셈이다. 기후 변화 이니셔티브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과학적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로, 2015년 설립됐다. 파리협정 목표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위한 지침과 방법론을 제공한다. 파리협정은 산업화 수준 대비 지구 온도 상승폭을 섭씨 2도 이하로 억제하고 섭씨 1.5도 이하까지 줄이는 게 목표다. SBTi는 기업들이 ‘과학에 기반해’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금융 자산의 2도 시나리오 기반 감축 목표 설정 방법론’을 만들었다. 2020년 10월 1일 공식 방법론을 발표했다.기업들이 이 기구에 참여하는 방법은 약정서를 제출하면서 시작된다. 약정서를 제출하면 ‘커미티드(committed)’ 단계로 인정되고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기준을 충족하는 목표를 설정해 제출하면 SBTi에서 해당 목표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해 승인한다. 승인이 완료되면 기업명과 감축 목표가 SBTi 웹사이트에 공개된다. 전 세계 1155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DGB금융그룹·SK텔레콤·SK증권·신한금융그룹 등이 약정서를 제출했다. 이 방법론을 적용해 탄소 감축량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최근 공시 관련 주목받고 있는 TCFD(Task

    2021.04.14 06:56:01

    ESG 글로벌 기구가 뜬다…‘기후 변화’부터 ‘인권’까지 평가 기준 등 표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