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대응 위해 생산 거점 다원화…중국 의존 줄여야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대규모 공급망 리스크에 기업들이 새로운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특정 국가에 집중됐던 생산거점이 산업별로 특화된 국가로 다원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 기업들도 산업별로 최적의 생산거점을 재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6일 발표한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에 따르면 최근 통상분쟁과 공급망 리스크 분산을 위해 생산거점이 다원화되는 현상이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아시아의 생산거점이었던 중국의 역할은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로, 유럽은 독일에서 프랑스, 이탈리아로 흩어지고 있다. 북중미의 경우 미국을 대체할 역내 유망 거점은 아직 뚜렷하게 보이지 않지만, 향후 멕시코가 신규 거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원은 권역별로 기존 거점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 신규 거점에 대한 확인을 위해 ▲역내무역 비중 ▲그린필드 해외직접투자(FDI) ▲거점국의 최종재 생산을 위한 해당 권역 내 부가가치 등을 기준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했다. 상기 3개 지표의 지수 상승 시 생산거점으로서의 지위가 강화된 것으로 해석한다.독일·멕시코 새 권역으로 강세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전기장비·기초 및 가공금속’ 등은 대만·독일·멕시코가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은 대만·프랑스·미국이, ‘운송장비’는 인도네시아·독일·멕시코가, ‘식음료’는 인도네시아·이탈리아·멕시코가 특화 지역으로 분석됐다.  또한 디지털 혁신을 통한 제조업의 서비스화와 함께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서비스업의

    2022.04.06 16:28:58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대응 위해 생산 거점 다원화…중국 의존 줄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