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감하는 외환 보유액…떠오르는 외환 위기 트라우마
[비즈니스 포커스] 외환 위기는 한국 사회에 깊은 트라우마를 남겼다. 외환 보유액은 순식간에 급감할 수 있고 이는 경제 위기로 이어져 수많은 실직자를 양산한다는 것을 경험했다. 이후 정부는 꾸준히 외환 보유액을 확충하고 2008년 금융 위기 때는 미국과 통화 스와프를 맺으며 안전판도 만들었다.하지만 최근 외환 보유액 감소가 현실화되자 우려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한국의 외환 보유액이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외환을 확충할 수 있는 수출도 흔들리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통화 긴축 영향에 내년 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면 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외환 보유액과 수출을 통해 한국 경제의 난제들을 짚어봤다. ‘자이언트 스텝’으로 벌어지는 한·미 간 금리 차 외환 보유액은 석 달 연속 감소 추세다. 한국은행이 11월 3일 발표한 외환 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10월말 기준 외환 보유액은 4140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9월 말 4167억7000만 달러보다 27억6000만 달러 줄었다. 외환 보유액은 3월 이후 4개월째 내리막길을 걷다가 7월 반등했지만 8·9·10월 석 달 연속 감소했다.특히 지난 9월 금융 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9월 한 달 사이 외환 보유액은 196억6000만 달러 줄어들어 금융 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274억 달러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9월과 10월 들어 환율은 1400원대를 오가면서 고공 행진했다. 이에 따라 외환 당국은 환율 방어를 위해 시장에 달러를 내다 파는 시장 개입 등을 단행했고 이로 인해 외환 보유액이 감소할 수밖
2022.11.15 06: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