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고등 켜진 한국 수출…"경쟁력 뒤쳐진 품목 10년새 최다"
우리나라가 수출에서 경쟁우위를 가진 수출특화 품목 수는 감소세인 반면, 경쟁열위를 가진 수입특화 품목 수는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외국보다 경쟁력이 약한 교역 품목이 작년 846개로 2013년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으며,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반도체를 포함한 7개는 경쟁력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3~2022년 수출품목 무역특화지수 분석' 자료를 21일 발표했다.해당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수입특화 품목은 1216개 중 815개(67%)였지만 작년엔 1221개 중 846개(69.3%)로 31개 증가했다. 분석 기간 중 최대치였다. 수출특화 품목은 동 기간 대비 401개에서 375개로 26개로 줄었다.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을 기점으로 수입특화 품목이 늘고 수출특화 품목은 줄기 시작했다. 2019년보다 수입특화 품목은 19개 늘었고 수출특화 품목은 18개 줄었다.전체 교역품목 중 수입특화 품목 비율은 2019년 67.7%에서 작년 69.3%로 1.6%포인트 높아졌다. 전경련은 "최근 수입특화 품목 증가세가 심화된 것은 전반적으로 (수출) 경쟁력이 약해졌다는 뜻"이라고 했다.특히, 반도체 등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7개 경쟁력이 약해졌다는 점을 보고서는 지적했다. 반도체는 2013년 30.4에서 작년 23으로 7.4포인트 하락했다.기계(11.1→3.3), 자동차(74.8→55.5), 선박(91→77.1), 유기화학품(26.7→21.1), 광학·의료·정밀기기(35.2→-10.9), 석유 등 광물성연료(-53.9→-54.3) 등도 경쟁력이 낮아졌다. 플라스틱(49.2→49.7%), 철강(4.5→19.5%), 철강 제품(13.5→23.7%) 3개만 높아졌다.수입특화 품목은 2013년 석유 등 광물성연료 1개뿐이었지만 작년 광학·의료·정밀기
2023.05.21 12:31:42
-
NH농협카드, 기업 가맹점 홈페이지 “디지털 경쟁력 및 고객 편의성 강화”
NH농협카드는 기업카드 전용 디지털 플랫폼 구현과 고객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식 기업카드 및 가맹점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했다고 11일 밝혔다.기업카드 홈페이지는 공동대표 등록, 통합 ID 등 하나의 계정으로 다수 사업장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물품대금 결제, 취소, 거래처 등록 등 물품 구매와 관련된 업무를 거래처 방문 없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했고, 거래 기업의 전사 시스템에 카드사용 데이터를 전송하는‘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직접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개인카드 채널에서만 해결할 수 있었던 △분실·도난 부정사용 보상 △분실신고 및 해제 △해외이용제한 등의 서비스도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다.가맹점 홈페이지는 가맹점주들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세무용 매출집계, 입금계좌 변경 등 신규메뉴를 추가하고 My page를 통해 최근입금내역, 매출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가시성과 직관성을 높였다.개인카드 홈페이지와 일관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UI/UX를 개편했고, 모바일을 주로 사용하는 개인사업자의 편의 증대를 위해 모바일 웹 채널을 신설했다. PIN인증·NH pay 등 간편 인증 방식도 도입했다.NH농협카드 관계자는 “향후 농협은행 기업뱅킹과 호환하여 자금이체, 여신거래 등 은행업무도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공동인증서보다 간편하고 보안성이 높은 금융인증서 또한 도입할 예정이다”며, “지속적으로 기업고객의 디지털 채널 이용 편의를 높이는 고도화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2022.04.11 13:37:20
-
GC녹십자랩셀, GC녹십자셀 흡수 합병 결정
GC녹십자 계열의 바이오 기업인 GC녹십자랩셀이 GC녹십자셀을 흡수 합병한다. 세포치료제라는 공통 분모를 공유하면서 각기 다른 특화 역량을 가진 두 회사가 결합해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 올리기 위한 조치다.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은 16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합병을 결의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양사 주주총회 등을 거쳐 오는 11월까지 합병을 마무리한다는 목표다.GC녹십자랩셀의 시가총액은 1조1567억원(코스닥 55위), GC녹십자셀은 5497억원(코스닥 164위)이다. 합병 비율은 1대 0.4다. GC녹십자셀 주식 1주 당 GC녹십자랩셀의 신주 0.4주가 배정된다. 합병 후 존속법인은 GC녹십자랩셀이다. 통합 사명은 지씨셀(GC Cell)이다.GC녹십자랩셀은 NK세포치료제 분야 글로벌 ‘탑 티어’로 꼽힌다. GC녹십자셀은 매출 1위 국산 항암제 ‘이뮨셀LC’를 통해 세계 최다 세포치료제 생산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GC녹십자랩셀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상호보완적인 계열사간 합병의 틀을 벗어나 ‘1+1’을 3 이상으로 만드는 시너지효과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최은석 기자의 다른 기사가 궁금하다면 본 문단을 클릭한 후 기자 페이지에서 ‘구독’을 눌러 주세요. 증권, 제약·바이오, 철강, 조선 업종 등에서 나오는 재테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2021.07.16 18:42:29
-
[2021 대한민국 우수브랜드대상] 인쌩맥주, 경쟁력 높은 명품 주점 프랜차이즈
일상 속 아지트 인쌩맥주가 2일 공표된 ‘2021 대한민국 우수브랜드대상’에서 프랜차이즈(포차)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인쌩맥주는 주식회사 위벨롭먼트(공동대표 김태현·최혜성)가 론칭한 명품 주점 프랜차이즈 브랜드다. 주식회사 위벨롭먼트의 또 다른 주점 프랜차이즈 ‘1943’의 성공적인 창업 모델과 국내 최신 창업 트렌드를 이상적으로 접목해 탄생했다. 고풍스러운 한옥 컨셉의 매장에서 생맥주를 판매해 토속적인 분위기와 현대적인 분위기의 조화가 돋보이는 차별화된 프랜차이즈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최상의 맥주 맛을 내는 콜드 워크인 시스템 기반의 살얼음 생맥주와 다채로운 차별화된 메뉴들을 착한 가격에 제공한다는 점도 인기 비결이다.아울러 다양한 채널(유튜브 등)로 브랜드를 꾸준히 홍보해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가맹점의 매출 상승에 기여하고, 정기적인 신메뉴 개발과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으로 가맹점의 롱런에 힘을 실어준다. 체계적인 가맹절차와 창업 비용 대비 높은 수익성 역시 강점이다. 한편 주식회사 위벨롭먼트는 코로나19로 인한 가맹점주의 고통을 분담하고 상생 경영을 지속하기 위해 모든 인쌩맥주 가맹점에 로열티 전액 면제 혜택을 지원 중이다.한국경제매거진의 한경BUSINESS가 주최하고 한국마케팅포럼이 주관한 ‘2021 대한민국 우수브랜드대상’은 각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브랜드들의 제품과 서비스의 우수성, 고객만족도 등을 검증해 소비자들에게 현명한 소비활동의 지표를 제시하고 우수 브랜드들의 경쟁력을 알렸다.온라인 뉴스팀 hkbusiness@hankyung.com
2021.02.02 14: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