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시태크 경제용어] 디지털 트윈
[해시태크 경제 용어]디지털 트윈은 가상 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쌍둥이)를 만들어 다양한 모의 시험(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해 보는 기술을 의미한다. 미국 가전 업체인 제너럴일렉트릭(GE)이 처음 만든 개념이다.예를 들어 빅데이터를 수집해 현실 세계를 가상 세계에 적용하고 5세대(5G) 네트워크·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기술을 적용해 가상 세계에서 현실 세계로 다시 최적화한다. 3차원(3D) 모델링을 위해서는 드론과 지리 정보 시스템(GIS) 등을 활용한다. 이렇게 하면 사람이 현장에 가지 않고도 산업 현장에서의 작업 절차를 미리 검증할 수 있다.최근 정부가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국토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2024년부터 행정 서비스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판 뉴딜 대표 과제인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는 도시의 인구 분포·이동, 상권·물류 등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치안·관제, 복지, 환경, 교통 등 각종 도시 문제에 대한 해결 모델을 검증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다.3차원 공간 정보(디지털 국토) 위에 민간·행정 등 각종 데이터를 연결·융합해 가상의 공간을 구축하고 현실과의 동기화 시뮬레이션을 거쳐 각종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방식이다.정부는 이를 활용해 효율적인 도시 계획 수립, 교통 혼잡 완화, 건물·도로 등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태풍·침수 등 재해 예측·관리, 범죄 발생 예방·감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디지털 트윈 국토 통합 플랫폼 #가상공간 #GE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2.03.26 06:00:01
-
[해시태그 경제 용어] 핫머니
[해시태그 경제 용어] 핫머니핫머니(hot money)는 각국 간의 단기 금리의 차이 또는 환율의 차이에 의한 이익을 목적으로 국제 금융 시장을 이동하는 매우 불안정한 단기 자금을 말한다. 국내 시장에서 단기적인 차익을 따라 이동하는 단기적인 투기 자금도 핫머니라고 부른다.1930년대 각국이 금본위제를 이탈함에 따라 외환 시장의 변동이 심해지자 이러한 자본 이동이 발생했고 1935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핫머니에는 각국의 단기 금리의 차이와 환율의 차이에 따른 투기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국내 통화의 불안을 피하기 위한 자본 도피 등 두 가지 종류가 있다.핫머니의 특징은 자금 이동이 일시에 대량으로 이뤄진다는 점과 자금이 유동적인 형태를 취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기 자금의 이동은 각국의 외화 수급, 물가, 주가 원자재 가격 등의 급등락을 초래해 국가 경제의 균형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최근 중국은 미국의 긴축 움직임이 가속화되며 금융 당국을 총동원애 ‘핫머니 유출’ 단속에 나서고 있다. 불법 해외 송금과 지하 금융 활동,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강도 높은 단속을 지속하고 있다.#핫머니 #비트코인 #자본유출 #자본 도피 이정흔 기자 vivajh@hankyung.com
2021.12.25 06:00:18
-
[해시태그 경제 용어]빅테크(big tech)
[해시태그 경제 용어] 빅테크(big tech)는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을 뜻하는 말이다. 한국 금융 산업에선 네이버와 카카오 등 온라인 플랫폼 제공 사업을 핵심으로 하다가 금융 시장에 진출한 업체를 지칭하는 말로 주로 쓰인다. 이들은 송금과 결제뿐만 아니라 자산 관리, 보험 판매 시장까지 진출 영역을 넓히고 있다. 네이버 금융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은 2020년 자동차보험 견적 비교 서비스 플랫폼을 영위하는 NF보험서비스를 설립해 보험...
2021.06.01 06:08:01
-
[해시태그 경제 용어] 동학개미운동
[해시태그 경제 용어] ‘동학개미운동’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주식 시장에 등장한 신조어다. 코로나19로 증시 폭락이 거듭되는 가운데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기관과 외국인에 맞서 한국 주식을 대거 사들인 상황을 1894년 반외세 운동인 ‘동학농민운동’에 빗댄 표현이다. 실제 지난해 3월 2일부터 20일까지 외국인들은 10조원어치의 한국 주식을 매도한 ...
2021.04.12 07:38:39
-
[해시태그 경제 용어] 테이퍼링(tapering)
[해시태그 경제 용어] 테이퍼링(tapering) 테이퍼링(tapering)은 당초 스포츠 용어로 활용됐다. 테이퍼(taper)는 ‘폭이 점점 가늘어지다’는 의미로 지구력이 필요한 운동선수가 중요한 경기를 앞두고 훈련량을 점차 줄여 나가는 과정이다. 이후 벤 버냉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2013년 5월 23일 의회 증언에서 테이퍼링을 ‘양적 완화 조치의 점진적 축소’라고 표현하면서 경...
2021.04.06 06:44:01
-
[해시태그 경제용어]불 마켓(bull market)
[해시태그 경제용어] 증시에서 ‘황소(bull)’는 주식을 사는 쪽 혹은 상승장을 의미한다. 불 마켓(bull market)은 보통 장기간에 걸친 주가 상승이나 강세장을 뜻한다. 차트의 모양이 마치 황소가 뿔을 사용해 위로 치켜올리며 싸우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상승을 원하는 매수자가 많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불 마켓은 부동산 시장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는 것을 이야기할 때 이에 빗대 말한다. ...
2021.02.15 16: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