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선거제 개편에 싸늘한 국민…하든 말든 관심 없다[홍영식의 정치판]

    홍영식의 정치판선거제 개편을 두고 정치권에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이 문제를 두고 국회의원 전원이 참석하는 국회전원위원회가 19년 만에 열렸다. 4월 10일부터 4일간에 걸친 난상토론 결과 어떤 결론을 도출할지 주목된다. 의원마다 의견이 다르고 거론되는 각 제도마다 장단점이 있는 만큼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다.앞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마련해 전원위원회에 올린 방안은 3가지다. △중대선거구제(도농복합형)+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 △소선거구제+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등이다. 다만 이는 토론 주제로 올렸을 뿐 반드시 이 3개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것은 아니다. 크게 나누면 소선거구와 중대선거구제 중 하나다. 어떤 안이든 비례대표를 확대하는 것이다. 지금과 같이 한 지역구에서 한 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는 정국 안정을 꾀할 수 있지만 승자 독식으로 인한 지역주의 심화와 진영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 득표율 51% 대 49%로 당락이 갈린다면 49%의 민의는 배제된다는 것이다. 2020년 21대 총선 때 국민의힘은 영남에서 55.9%를 득표했지만 의석은 86.2%를 차지했고 민주당은 호남에서 68.5%의 득표로 의석은 96.4%를 가져간 데서 소선거구제의 대표성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지역주의 폐해 극복” vs “특정 정당 쏠림 여전”한 선거구에서 복수의 의원을 뽑는 중대선거구제는 유권자의 선택 범위가 넓고 사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역주의를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단점도 적지 않다. 공천을 받지 못한 거대 정당 후보자들이 대거 무소속으로 출마해 특정 지역

    2023.04.10 15:58:35

    선거제 개편에 싸늘한 국민…하든 말든 관심 없다[홍영식의 정치판]
  • 아태 지역 소비자 소득 감소...핀테크 관심은 상승

    FINTECH NEWS편집자 주혁신 기술과 금융 산업이 만난 이달의 핀테크 관련 국내·외 뉴스를 소개한다.아태 지역 소비자 소득 감소...핀테크 관심은 상승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금융 소비자들의 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아태 지역 소비자들은 기존에 이용하던 은행을 바꾸거나 핀테크 기업을 이용하는 등 변화를 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분석 전문 기업인 피코(FICO)가 최근 발간한 ‘2022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소비자 금융 예측 보고서(2022Post-Pandemic Consumer Banking ExpectationsReport)’에 따르면 아태 지역 내 많은 소비자들이 더 나은 금융 서비스를 원하고 있으며 대출 업체를 바꾸려는 경향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인도네시아 소매 금융 소비자들의 재정적 어려움은 가중됐으며 5명 중 3명 이상은 소득이 감소 한 것으로 조사됐다. 뉴질랜드와 호주에서는 조사 참여자 중 23~30%가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소득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반면, 싱가포르와 인도에서는 각각 40%, 말레이시아에서는 50%, 인도네시아에서는 63% 증가했다. 태국 응답자 70%가 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했다.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 지역 소비자의 4분의 1 이상(27%)이 대출 상환을 미루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해당 비율이 30%이며, 인도는 31%, 태국은 거의 절반(47%)이 코로나19로 대출 상환을 연기한 것으로 조사됐다.불확실한 금융 환경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 소매금융 고객 대다수(84%)는 투자를 유지하거나 늘릴 계획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은 저축을 유지하거나 늘리려고 하고 있으며 금융 서비스 제공 업체를 바꾸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BC카드, ‘핀테크 한류&r

    2022.08.25 14:12:44

    아태 지역 소비자 소득 감소...핀테크 관심은 상승
  • [영상 뉴스] 관심이 돈이 되는 시대, ‘자낳괴’ 대신 전략가 되는 법 :’꺼지지 않는 가시성’, ‘감당할 수 있는 적정선’ 중요

    관심이 돈이 되는 시대, ‘자낳괴’ 대신 전략가 되는 법:’꺼지지 않는 가시성’, ‘감당할 수 있는 적정선’ 중요인기를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시대입니다. 연예인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블로그와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뉴 미디어에서 콘텐츠를 제작해 부를 창출 할 수 있죠.콘텐츠가 주목받는 만큼 부가 따라온다는 관심 경제가 기정사실이 되며 소위 말하는 ‘관종’이 성공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관종’이란 관심과 종자의 합성어로, 관심을 원하는 사람을 뜻하는 신조어입니다.종자라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왔는데요, 관심 경제 시대가 도래한 만큼 ‘관종’의 정의도 변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토머스 에비느포트 미국 밥슨대 교수는 ‘관심의 경제학’ 저서에 “유형의 요소가 중요했던 지난날에 비해 무형의 요소들이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하고 희소한 요소는 관심”이라고 말했습니다.즉,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은 관심을 이해하고 경영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는 주장이죠.뉴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들은 스타성 및 팬덤을 기반으로 광고와 협찬, 협업, 브랜드 출시까지 다양한 수익 모델을 만들어나가고 있어요.실제 유명 유튜브 창작자의 연 수입이 억대를 넘어서기도 하는데요, 이들의 수입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 시장 조사 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전 세계 디지털 동영상 광고 시장은 연평균 17% 증가가 예상됩니다.반면에 관심 경제의 어두운 면도 존재합니다. 선정성 콘텐츠나 범법 행위 등 관심을 위해 우를 범하는 ‘노이즈 마케팅’ 사

    2021.02.27 12:00:01

    [영상 뉴스] 관심이 돈이 되는 시대, ‘자낳괴’ 대신 전략가 되는 법 :’꺼지지 않는 가시성’, ‘감당할 수 있는 적정선’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