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엔저는 일본에 축복인가 저주인가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도쿄에 있는 제약 회사 사쿠마제과는 1월 20일 문을 닫았다. 일본인들이 아쉬움의 눈물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는 114년의 역사가 끊기게 됐다는 사실뿐만이 아니다. ‘사쿠마식 드롭스’라는 이 회사의 대표 상품 때문이다.지브리스튜디오가 1988년 발표한 애니메이션 ‘반딧불이의 묘’에 등장한 바로 그 상품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군의 공습으로 엄마를 잃고 배고픔에 허덕이던 열네 살 오빠 세이타와 네 살 여동생 세츠코가 차례로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다는 내용의 작품이다.‘반딧불이의 묘’에서 사쿠마식 드롭스는 중요한 소품으로 사용된다. ‘1945년 9월 21일 나는 죽었다’로 시작되는 첫 장면에서는 숨이 끊어진 세이타가 먼저 죽은 여동생의 화장한 뼈를 간직한 도구였다. 부스러기만 남은 사탕 통에 물을 섞어 마시고 “정말 맛있다”며 기뻐하는 장면은 세계인을 울렸다.사쿠마제과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엔저로 인한 경영 악화’를 폐업의 이유로 들었다. 원자재 값 상승의 부담을 엔저가 증폭시키면서 지난 2월까지 일본의 무역 적자는 19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 갔다. 지난 1월 무역 적자는 3조4996억 엔으로 사상 최대였다. 엔저로 문 닫은 114년 역사의 사쿠마제과 일본의 서민들도 고통스럽다. 지난해 실질 임금 상승률은 마이너스 0.9%였다. 월급이 찔끔 올랐어도 물가가 더 뛰어 실제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는 뜻이다. 일본의 실질 임금은 작년 12월까지 7개월 연속 마이너스였다.그런데도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엔저는 일본 경제 전체로 봐서는 플러스”라고 주장하고 있다. ‘엔저는 일본에 축복인가, 저주인가&

    2023.04.14 06:00:03

    엔저는 일본에 축복인가 저주인가 [글로벌 현장]
  • 일본 대규모 금융 완화의 세 가지 부작용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일본인들이 밥반찬으로도, 술안주로도 즐겨 먹는 된장 고등어 통조림. 전날 공장에서 출고된 통조림 값은 300엔인데 3개월 전에 만들어진 통조림 값은 100엔, 6개월 전의 통조림 가격은 200엔이라고 가정하자.통조림 회사는 어떤 가격을 기준으로 제품을 생산해야 할까. 소비자도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제조일이 불과 3개월 다를 뿐인데 가격 차가 3배나 되는 통조림과 이 통조림을 만든 회사를 신뢰하기 어려울 것이다.가격이 뒤죽박죽인 통조림 가격은 대규모 금융 완화 10년째를 맞아 부작용이 터져 나오기 시작하는 일본 금융 시장을 상징한다.2013년 3월 취임한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한 달 뒤인 4월 대규모 금융 완화를 시작한 지 10년을 맞았다. 이례적인 금융 정책을 장기간 펼치면서 일본에서는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2월 회사채 발행액이 ‘제로’인 이유일본 금융 시장 전문가들은 대규모 금융 완화의 부작용을 크게 3가지로 분석한다.작년 12월 20일 일본은행은 국채 수익률 곡선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장기 금리의 변동 폭을 0.25%에서 0.5%로 확대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결정이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깜짝 결정’을 내린 지 두 달이 지났지만 만기가 더 짧은 국채 금리가 만기가 긴 국채 금리보다 높은 국채 수익률의 왜곡 현상은 여전하다. 8~9년(잔존 만기) 만기 국채의 금리(0.6%)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0.5%)를 웃돌고 있다. 2월 21~22일에는 이틀 연속 10년 만기 금리가 상한 폭인 0.5%를 넘어섰다. 수익률 곡선 왜곡은 국채 금리가 전반적으로 높은 가운데 일본은행이 통제하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만 0.5%에 묶여 움푹 꺼져 있는 모습을 말한다. 일본

    2023.03.24 06:00:19

    일본 대규모 금융 완화의 세 가지 부작용 [글로벌 현장]
  • 최장수 일본은행 총재 탄생했지만…위상에 비해 성과는 미흡[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구로다 하루히코(79) 제31대 일본은행 총재가 9월 29일 일본은행 139년 역사상 최장수 총재가 됐다. 1946년 6월~1954년 12월까지 재임한 이치하다 히사토 총재의 3115일 기록을 70여 년 만에 다시 썼다. 역대 31명의 일본은행 총재 가운데 5년의 임기를 연임한 인물은 구로다 총재가 셋째다. 내년 4월까지인 임기를 모두 채우면 일본은행 역사상 유일하게 재임 기간이 10년을 넘긴 총재가 된다. ‘역대 최장수 일본은행 총재 구로다’는 일본 헌정 사상 최장기 정권(7년 9개월)이었던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내각과 이를 계승한 스가 요시히데 내각의 유산이다. 10년 가까이 일본의 통화 정책을 주도하며 일본은행의 존재감을 부각시켰지만 성과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주식회사 일본’ 최대 주주로구로다의 일본은행은 상장지수펀드(ETF)를 적극적으로 매입해 자본 시장의 큰손이 됐다. 작년 말 기준 일본은행의 ETF 보유액은 51조5093억 엔(약 551조원)으로 약 1년 만에 20조 엔 가까이 늘었다. 도쿄 증시 1부의 시가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를 넘었다. 47조 엔어치의 주식을 보유한 일본 공적연금(GPIF)을 제치고 ‘주식회사 일본’의 최대 주주가 됐다.세계 주요국 중앙은행 가운데 주식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곳은 일본은행이 유일하다. ‘주가 정권’이라고 불릴 정도로 증시에 민감했던 아베 전 일본 총리 내각이 2012년 12월 집권 이후 부양책을 강화한 결과다.올 3월 말 일본은행의 자산은 714조 엔으로 구로다 총재 취임 이후 5배 이상 급증했다.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1.3배에 달한다. 일본·미국·유럽연합(EU)·영국 등 4대 중앙은행 가운데 총자산이

    2021.10.09 06:00:18

    최장수 일본은행 총재 탄생했지만…위상에 비해 성과는 미흡[글로벌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