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S, 배터리 소재 ‘황산니켈’ 공장 준공
[비즈니스 플라자]LS그룹이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사업 강화에 나선다. LS그룹은 3월 27일 충남 아산시 토리컴 사업장에 연간 생산 능력 5000톤 규모의 황산니켈 생산 공장을 준공했다.토리컴은 비철금속 소재 기업 LS MnM의 출자사로, 금·은·백금·팔라듐 등 유가 금속을 리사이클링해 2022년 약 3200억원의 매출을 거둔 한국 최대 규모의 도시 광산 기업이다.LS MnM이 동제련 공정에서 생산한 조황산니켈(니켈 함량 18% 이상)을 공급하면 토리컴이 불순물 정제와 결정화를 거쳐 2차전지용 황산니켈(니켈 함량 22.3%)을 생산한다. LS MnM은 다른 원료도 추가 확보해 황산니켈 생산 능력을 현재 5000톤에서 2030년까지 3단계에 걸쳐 27만 톤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구자은 LS그룹 회장은 “이번 황산니켈공장 준공이 LS그룹의 미래에 작지만 의미 있는 여정의 첫걸음”이라며 “LS MnM과 토리컴의 성장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LS그룹은 자산을 50조원 규모로 성장시켜 글로벌 시장 선도 그룹으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로 비전 2030을 추진 중이다. 향후 8년간 총 20조원 이상을 배터리·전기차·반도체 산업 분야와 CFE(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 선도를 위한 신성장 사업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4.07 06:08:02
-
구본규·구동휘 나란히 승진…LS그룹 3세 경영 가속
LS그룹이 구자은 회장 취임 후 첫 임원 인사를 단행하며 3세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LS그룹은 오너 3세인 구본규 LS전선 최고경영자(CEO)를 사장으로, 구동휘 E1 비전경영총괄(전무)은 LS일렉트릭 부사장으로 각각 승진시켰다. LS그룹은 11월 22일 이사회를 열고 2023년 1월 1일자로 이 같은 내용의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1979년생인 구본규 LS전선 신임 사장은 구자엽 LS전선 회장의 장남으로 구자은 LS그룹 회장의 조카다. 미국 퍼듀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MBA)를 마쳤다. 2007년 LS전선 미국법인에 입사해 슈페리어 에식스(SPSX) 통신영업 차장, LS일렉트릭 자동화 아시아 퍼시픽영업팀장, LS엠트론 경영관리 최고운영책임자(COO), CEO 등을 거쳤다.구 신임 사장은 2022년 1월부터 LS전선 부사장을 맡으며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강한 추진력으로 사업 성과를 창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982년생인 구동휘 LS일렉트릭 신임 부사장은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의 아들이다. 미국 센터너리대 리버럴아츠를 졸업하고 2012년 우리투자증권에서 근무하다가 2013년 LS일렉트릭 경영전략실 차장으로 입사했다.구 신임 부사장은 LS일렉트릭 중국 산업자동화 사업부장 상무, (주)LS 밸류매니지먼트 부문장 전무, E1 신성장사업부문 대표이사 전무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LS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2.11.23 07:05:01
-
[CEO24시] 구자은 LS그룹 회장, 배터리 등 신산업 분야 현장 방문…‘양손잡이 경영’ 본격화
[CEO24시]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석 달 동안 전국 14곳의 자회사와 손자회사 사업장을 방문했다. 3개월간의 현장 방문을 마친 구 회장은 기존 사업과 신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양손잡이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구 회장은 지난 4월 LS전선 해저 케이블 공장이 있는 강원도 동해항을 첫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전기차 부품을 생산하는 LS EV코리아, LS일렉트릭 천안·청주사업장, LS니꼬동제련의 자회사 토리컴, LS전선의 자회사 지앤피우드와 세종전선 등을 차례로 찾았다.지난 3개월간 현장을 살핀 구 회장은 기존 사업에 더해 신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LS그룹은 완전 자회사가 되는 LS니꼬동제련을 현재 주력 제품인 전기동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반도체나 배터리 소재 등을 생산하는 종합 소재 기업으로 키울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구 회장은 전기차 충전 사업을 영위하는 ‘LS E-Link’를 E1과 공동 투자해 신규 설립하는 등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전기차 사업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구 회장은 지난 7월 열린 LS 임원 세미나에서 “전례 없는 기후 위기와 탄소 중립을 향한 전 세계적인 흐름은 전기화와 탈탄소 전기(CFE) 시대를 더욱 앞당길 것이고 이는 LS에는 다시 없을 큰 기회”라며 “LS는 배터리·전기차·반도체가 이끄는 산업 생태계 속에서 소재·부품 등 숨은 기회들을 반드시 찾아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정흔 기자 vivajh@hankyung.com
2022.08.07 06:00:07
-
[100대 CEO-구자은 LS그룹 회장] 에너지 전환 시대 맞춰 사업 체질 개선,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집중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2022년 1월 구자열 전 회장의 뒤를 이어 올해 1월 3대 회장에 취임했다. LS그룹은 구태회 LS전선 전 명예회장, 구평회 E1 전 명예회장, 구두회 예스코 전 명예회장이 LG그룹에서 분리해 설립했다. LS그룹은 다른 대기업에서는 볼 수 없는 사촌 승계 방식으로 그룹 회장직이 승계돼 왔다. 2030년까지 9년 동안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초대 회장인 구자홍 전 회장(2004~2012년)과 2대 회장인 구자열 전 회장(2013~2021년)도 9년씩 LS그룹을 이끌어 왔다.구 회장은 구 LG정유에서 근무를 시작해 LS전선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5개가 넘는 LS그룹 계열사에 근무했다. LS엠트론 회장으로 승진하고 지주회사 LS에 신설한 미래혁신단 단장을 맡으면서 그룹 경영권 승계자로 경영 보폭을 넓혀 왔다. LS엠트론에서 동박·박막 사업부를 정리하는 사업 구조 조정을 추진하고 주력 사업인 트랙터 사업에 집중해 왔다. 에너지 전환 시대에 맞춰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고 사업 체질을 개선해 글로벌 기업 성장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구 회장은 취임식에서 “탄소 중립을 향한 에너지 전환은 결국 ‘전기화’ 시대를 더욱 가속할 것이고 LS에는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기여함과 동시에 지속 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구축할 크나큰 기회”라며 “앞으로 직원·고객·시장 등 다양한 이해관계인들에게 ‘LS와 함께하면 성장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희망을 심어 주겠다”고 말했다.구 회장은 임기 중 △‘양손잡이 경영’을 통한 사업 시너지 극대화 △데이터 자산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 글로벌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통한 사회와 함께하는 성장 등을 중점 추진 과제
2022.07.07 06:37:55
-
[CEO24시]구자은 LS그룹 회장… “현장에 답 있다” 석 달 일정 사업장 순회
[CEO 24시]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석 달 일정으로 계열사 사업장을 순회하는 현장 경영에 나섰다. 1월 취임 일성으로 내세운 ‘양손잡이 경영’의 일환이다. 구 회장의 ‘양손잡이 경영’은 한손에는 전기·전력·소재 등 기존 주력 사업을, 다른 한손에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미래 선행 기술을 쥐겠다는 의미다. 기존 사업과 신사업의 균형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LS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은 그 첫 일정으로 명노현 LS 대표와 함께 5월 26일부터 6월 7일 사이 전국 14곳의 자회사와 손자회사 사업장을 찾는다. 5월에는 LS일렉트릭 천안·청주사업장과 LS니꼬동제련의 자회사 토리컴, LS전선의 자회사 지앤피우드와 세종전선 등을 둘러봤다. LS일렉트릭 청주사업장은 다보스 포럼에서 인정한 ‘세계 등대 공장(Lighthouse Factory)’이다. 어두운 바다에서 등대가 불을 비춰 배들에 길을 안내하듯이 새로운 제조업의 성과 모델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LS일렉트릭은 포스코에 이어 한국에서 둘째로 등대 공장이란 타이틀을 따냈다.6월에는 LS전선 구미·인동사업장, LS일렉트릭의 자회사 LS메카피온·LS메탈, LS니꼬동제련 온산제련소 등을 찾는다. 7월에는 LS엠트론과 LS전선의 자회사 가온전선 등을 방문한다. 한국 일정을 마친 뒤 해외 사업장을 둘러볼 것으로 알려졌다.이정흔 기자 vivajh@hankyung.com
2022.06.05 06: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