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개 분기 연속 영업적자에도 이재현 회장 보다 보수 더 챙긴 CJ ENM 구창근

    CJ ENM이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도 304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구창근 대표 부임 후 2개 분기 연속 적자 행진이다.특히 구 대표가 이끌고 있는 CJ ENM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음악사업을 제외하고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평가다.투표 조작으로 전 국민적 분노를 자아낸 바 있는 아이돌 장사 외에는 사실상 탈출구가 없는 셈.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 489억원, 영업손실 304억원을 기록했다.주목할만한 점은 구 대표가 이재현 회장보다 상반기 보수를 더 가져간 것이다. 구 대표는 상반기 회사로부터 10억 9000만원을 챙겼다.급여 4억 2500만원에 상여 6억 6500만원을 받았다. 상여 지급 이유는 신규 대표이사 영입을 위한 명목이다. 6억 6500만원을 상여로 받았으나 회사에서 특별한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상반기 10억 6000만원을 급여로 수령한 그룹 총수 이재현 회장보다 더 많은 보수를 받았지만 회사를 정상화하라는 이 회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개 분기 연속 적자다. 지난 1분기보다는 영업 손실 폭이 줄었으나 문제는 성장 모멘텀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280억 원을 들여 제작한 김용화 감독의 영화 더문은 손익분기점이 600만 명 수준으로 알려져있지만 100만 관객도 넘기 힘들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일부에서는 회사가 우주 SF에 대한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변화한 관객의 니즈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더문' 뿐만 아니라 '승리호', '외계인' 등 SF영화들이 줄줄이 흥행에 참패했기 때문이다.대작 영화 투자는 워낙 큰 자본이 들어

    2023.08.15 15:48:36

    2개 분기 연속 영업적자에도 이재현 회장 보다 보수 더 챙긴 CJ ENM 구창근
  • CJ ENM 구창근, 첫 성적표 영업적자...기업이미지도 추락

    CJ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CJ푸드빌과 올리브영에서 두각을 보였던 ‘구창근 매직’ 효력이 CJ ENM에서는 통하지 않고 있다. 사람을 자르고 일시적으로 재무구조 개선 효과를 본 방식이 처음 내놓은 성과에 반영되지 않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회사에 따르면 1분기 매출액은 949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35.2% 감소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0.9% 감소해 매출액 부문에서는 선방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503억 여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순익 역시 약 889억 원 적자로 지난해에 이어 적자세를 이어갔다.회사가 영업적자를 낸 것은 전임 강호성 대표 시절에 없었던 일이다. CJ에서 재무구조 개선 전문가로 활약하던 ‘구창근 매직’이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윤상현 대표가 이끄는 커머스 부문은 175억 원의 영업흑자를 낸 반면 구 대표의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만 678억 원을 까먹었기 때문이다.구 대표는 지난해 10월 CJ 그룹 임원인사를 통해 올리브영 대표이사에서 CJ ENM 엔터테인먼트 부문 대표이사로 부임하면서 고강도 조직개편 및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구조조정에 대한 비난 여론이 불거진 올해 초 당시 회사 측은 구조조정이 아니라 인력 효율화라고 설명했지만 지난 4일 열린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회사 관계자가 구조조정을 공식화 하면서 말을 바꿨다.사실상 적자의 이유를 직원들에게 돌린 것. 하지만 CJ ENM이 어려워진 것은 미국 제작사 피프스시즌을 1조 원에 육박하는 금액에 사들이고 넷플릭스와 경쟁 자체가 안 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티빙에 무리한 투자를 한 것 때문이라는 분석이 증권가 및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대규모 M&A나 투자는 경영진의

    2023.05.09 11:22:44

    CJ ENM 구창근, 첫 성적표 영업적자...기업이미지도 추락
  • 1265개 매장이 도심 속 물류 창고로... 진화하는 CJ올리브영의 옴니채널

    내년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있는 CJ올리브영이 H&B(헬스앤뷰티) 스토어를 넘어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지난 12월 10일, CJ올리브영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2021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를 열었다.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는 고객 구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해의 트렌드를 보여주는 ‘올리브영 어워즈’를 컨벤션화한 행사다.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 간 열린 이번 행사는 2년 만에 열린 오프라인 행사이기도 하다. 이 자리에서 CJ올리브영은 올해 성과와 더불어 2022년 주요 전략 방안을 발표했다.  옴니채널 전환으로 실적 성장세 일궈 CJ올리브영은 올해 연간 실적(취급고)이 전년 대비 13% 성장한 2조4000억원을 달성할 것이라 밝혔다. 특히 온오프라인 채널과 더불어 CJ올리브영을 뒷받침하는 글로벌 시장이 전년 대비 107% 성장한 것이 큰 몫을 해냈다. 글로벌은 매년 꾸준히 성장하면서 의미 있는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도 3분기 기준 전년대비 각각 13%, 58% 증가하며 고른 성장을 일궜다.전 산업군을 덮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쇼크와 유통 시장의 온라인 재편 속에서 올리브영이 호실적을 거둘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뷰티와 헬스 상품 경쟁력, 매장의 진화, 성공적 옴니채널 전환이 꼽혔다. 2021년 기준으로 전국에서 1265개(전망치)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올리브영은 매장의 기능을 상품 판매와 더불어 보관과 디스플레이 등 3가지로 정의했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서울과 인천 지역의 온라인 주문 건수 중 매장을 통한 즉시 배송 ‘오늘배송’의 커버율이 3분기 기준으로 3

    2021.12.12 09:00:04

    1265개 매장이 도심 속 물류 창고로... 진화하는 CJ올리브영의 옴니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