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WM Report] 채권 잔혹기에도 시장에 머무는 이유

    최근 고금리 장기화가 경기 모멘텀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금리가 정점에 가까워지고 있고, 동시에 수급 부담도 높아졌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의 투자 수익률이 2021년 이후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이는 1787년 미국 연방정부가 수립된 이래 최초이면서, 글로벌 주요 기관들의 전망을 모두 비웃는 행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국채의 수익률이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미 지난해 장단기 금리 차의 역전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됐고, 물가 상승률은 점진적으로 둔화됐기 때문에 다시 한번 5%에 가까운 금리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잔혹했다. 올해의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는 지금, 우리의 전망은 이미 어긋났지만 수익에 대한 기대를 저버릴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국채 금리 전망 어긋난 3가지 이유 국채금리에 대한 전망이 어긋난 이유는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좋았다. 2022년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금리 상승을 이끌었다면 올해는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경제지표들, 즉 예상을 뛰어넘는 미국 경제의 호조세가 금리 상승의 동인으로 작용했다. 올 초만 하더라도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0.5%를 하회했다. 그러나 양호한 소비와 고용 시장을 바탕으로 강한 경기 모멘텀이 유지됐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마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을 각각 2.1%, 1.5%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실업률은 4.1%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사실상 극심

    2023.10.30 10:11:56

    [WM Report] 채권 잔혹기에도 시장에 머무는 이유
  • 美 금리 상승에 커지는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음 [차은영의 경제 돋보기]

    [경제 돋보기]미국의 지난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8.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1년 2차 오일쇼크 이후 약 41년 만의 최고 수준이다. 작년 12월 6.8%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시장의 예측을 넘어서면서 상승하고 있다.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은 4월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주최 토론회에서 5월 초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5% 올리는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상정하겠다고 밝혔다. 연내에 추가 빅스텝을 포함한 지속적 금리 인상을 시사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미국의 기준 금리가 2.5~2.75%까지 도달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3월 유로존의 물가 상승률이 7.4%, 영국의 물가 상승률이 7.0%까지 치솟음에 따라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 6년간의 제로 금리 정책에서 벗어나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이전부터 막대하게 풀려나온 과잉 유동성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미흡한 시점에서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확대 재정 정책을 과감하게 실시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재현은 예견된 것이었다. 작년 초 인플레이션이 단기에 그치고 장기적으로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파월 의장의 예측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급등하고 있는 에너지와 곡물 가격, 여전히 불확실한 글로벌 공급망의 회복 등 단기간에 사라지기 어려운 인플레이션의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1980년대 초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당시 10%가 넘는 물가를 잡은 폴 볼커 전 의장의 전철을 밟기로 한 듯하다. 과감한 금리 인상과 긴축 기조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

    2022.05.09 17:30:07

    美 금리 상승에 커지는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음 [차은영의 경제 돋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