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ecial] 생애주기별 금융교육이 필요한 이유

    자산관리, 금융교육에 답 있다②나이와 전공을 불문하고 투자 열풍이 거세다. 주식 거래를 시작한 30대 이하의 청년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지만 투자교육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투자 열풍 속 제대로 된 금융교육 시스템이 자리 잡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생애주기 단계별 금융교육이 그 대안으로 지목되고 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주식시장에 참여하는 개인투자자 규모가 큰 폭으로 늘었다.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메타버스, 바이오, 우주 개발 등 새로운 혁신 산업이 출현하고, 증시 변동성이 확대된 것도 개인투자자 참여 증가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2022년 2월 현재 주식 거래 활동계좌수는 대한민국 인구수를 상회한 5940만 개로 코로나19 이전 2900만 계좌(2019년 말) 대비 약 2배 증가했다. 코로나19 직전과 직후를 비교하면 연령별로는 30대 이하의 청년 참여 비중이 31%에서 54%로 늘고, 1000원 이하로 투자하는 소액투자자 비중이 47%에서 77%로 증가했다.20~30대를 중심으로 한 소액 개인투자자의 급격한 참여 증가는 ‘동학개미운동’으로 불리며 주목을 받았다. 아쉽게도 코로나19 이후 주식시장에 신규로 참여한 개인투자자들은 대부분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자본시장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2020년 에 신규 투자자는 평균적으로 약 1.3%의 투자 손실을, 주가지수 대비로는 17.6%의 투자 손실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존 투자자는 15%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동학개미운동을 주도한 신규 개인투자자의 투자 성과는 매우 저조하다.금융 교육으로 잘못된 투자 습관 바로잡아야개

    2022.02.28 07:02:02

    [Special] 생애주기별 금융교육이 필요한 이유
  • [Special] 금융교육 ‘열풍’…2022 메가트렌드는

    자산관리, 금융교육에 답 있다ⓛ최근 대한민국이 어린아이부터 성인까지 금융교육으로 들썩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게적 대유행) 이후 유동성이 크게 불면서 자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금융교육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주도해 금융기관들이 다양한 금융교육을 시행하고 있고, 교육부에서도 금융교육 의무화를 검토하는 등 금융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고 있다.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금융교육 시장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TV와 유튜브에서 각종 투자와 관련된 금융교육 방송이 시청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고, 서점에서는 ‘돈 공부’와 관련된 도서들이 베스트셀러에 등극했다. 비공개 온라인 카페나 오픈채팅방,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된 투린이(투자 어린이)들의 배움 열기는 고조되고 있다.최근 이 같은 금융교육 열풍에 발맞춰 금융당국은 금융교육 강화 방안을 내놓고, 교육부에서도 금융교육 제도화 여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전 국민 ‘돈 공부’ 열풍 속 금융교육 시스템 미비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인해 긴축이 빨라지고, 코로나19 팬데믹 이슈와 글로벌 악재들이 잇따라 터지면서 올해 자산 시장은 안갯속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2020년과 2021년에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자산가격의 낙폭과 급등을 경험했던 투자자들은 2022년 들어서면서 불확실성이라는 또 다른 공포에 직면해 있다. 유동성이 끝나가는 시점에 돈 공부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예컨대 지난 2020년 말 기준 주식투자자 수 증가율은 30대 이하가 전년 대비 103%가 급증한 315만 명, 40대 이상

    2022.02.28 07:01:02

    [Special] 금융교육 ‘열풍’…2022 메가트렌드는
  • [Special] 자산관리, 금융교육에 답 있다

    최근 대한민국은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금융교육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유동성이 급격하게 불어나면서 연령과 직업을 막론하고 부동산과 주식, 채권, 달러, 금 등 각종 자산 시장에 대한 열공 모드를 이어가고 있는 것.금융교육 초보자를 일컫는 부린이, 주린이와 같은 신조어가 탄생하면서 각종 온·오프라인을 통한 금융교육 열기는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자산 시장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대한민국 금융교육의 현주소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해본다.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 글 이미경 기자

    2022.02.28 07:00:10

    [Special] 자산관리, 금융교육에 답 있다
  • [영상 뉴스] 선생님 몸무게로 주식 배우는 아이들

    한국은 뜨거운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금융 문맹'이 높은 국가에요.의무 교육 기간 내 돈에 대한 교육의 부재가 금융 문맹을 초래하는 거죠.한 초등학교 교사는 한국의 경제교육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아이들 눈높이에 맞게 금융 교육을 시작했어요.학급 화폐인 '미소'를 이용해 취업부터 세금, 사업, 실업, 저축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경제와 금융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익혀가게 했어요.예를 들어, 선생님 몸무게를 상품으로 등록하고 모의 투자 활동을 진행하는 거죠. 몸무게가 0.1kg 증가할 때마다 수익률 1%가 오르는 방식이에요.선생님은 몸무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매일 공지하고, 아이들은 이를 근거로 수익률을 예측하고 매수/매도 여부를 결정하게 되죠.학급에서 경제활동을 온몸으로 익힌 아이들은 돈 흐름에 대한 사고력 및 현명한 투자습관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됐어요.자세한 내용은 ‘학급 화폐’ 금융 교육의 주인공 옥효진 교사의 '세금 내는 아이들' 도서에서 확인해 보세요.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1.07.05 17:09:13

    [영상 뉴스] 선생님 몸무게로 주식 배우는 아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