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 리스크 부각되며 상승세 탄 금, 비트코인…지금 투자 해도 괜찮을까? [비즈 포커스]

    [비즈니스 포커스]가파른 금리 인상의 역습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3월 10일 파산했다. 이후 미국 뉴욕의 시그니처은행과 샌프란시스코의 퍼스트리퍼블릭뱅크 그리고 세계적 투자은행인 스위스 크레딧스위스(CS)의 위기설까지 글로벌 금융 시장이 흔들리는 모습이다. 금융 리스크가 불거지고 혼란에 휩싸이면서 안전 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SVB 파산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탄 국내 금 시세는 1돈(3.75g)에 30만원을 넘어섰다. 금뿐만이 아니다.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 대한 리스크가 커지고 불안감이 확산될수록 비트코인 또한 자금이 쏠리고 있는 모습이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미국 은행 위기의 확실한 승자는 비트코인’이라는 칼럼을 내놓기도 했다.그렇다면 이와 같은 안전 자산 선호 심리는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까. 지금 투자를 시작해도 괜찮은 것일까. 2023년 하반기 금과 비트코인의 전망과 투자 전략을 짚어 봤다.  금융 리스크 확산에 ‘날개 단’ 금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은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가 우려될 때 매력이 더욱 높아진다. 금 투자의 가장 큰 특징인 ‘환금성’ 때문이다. 자산의 가치를 온전히 현금화할 수 있는 ‘환금성’ 덕분에 금은 특히 인플레이션으로 통화의 화폐 가치가 떨어지더라도 가치를 온전히 유지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 헤지가 가능한 투자 상품인 것이다. SVB의 파산 이후 금융 리스크 위기가 부각되면서 ‘글로벌 금융 위기의 피난처’로 금에 유독 자금이 몰리는 이유다.사실 금 투자자들은 2022년 기대에 못 미치는 한 해를 보냈다.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금 시

    2023.03.26 10:31:08

    금융 리스크 부각되며 상승세 탄 금, 비트코인…지금 투자 해도 괜찮을까? [비즈 포커스]
  • 빛나는 '金' 2000달러 코앞…9개월 만에 최고치

    ‘위기 방파제’ 금이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선물인 올해 2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40달러(0.02%) 상승한 1928.60달러에 거래됐다. 지난해 4월 말 이후로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음의 상관관계에 놓인 달러의 힘이 약해지자 금의 가치가 올라간 것이다. 달러가 약세로 돌아선 반면 금 가격은 반등하기 시작해 지난해 12월 1800달러를 넘어섰다.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일부 중앙은행이 금 현물을 사들이고 있는 것도 금값 강세에 일조한 것으로 풀이된다.미국 중앙은행(Fed)가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며 긴축의 시대가 끝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돼 달러 강세 흐름이 진정되면서 음의 상관관계에 놓은 금값이 고공행진 하고 있다. 금은 전통적으로 위기에 강했다.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주식 시장이 불안해지면 위험 회피와 인플레이션 헤지를 위해 돈이 금으로 향했다. 금값이 다시 뛰기 시작한 배경엔 국내외 경제가 변곡점을 맞을 수 있다는 예상이 깔려 있다.CNBC에 따르면 금융시장 참가자 대부분은 돌아오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0.25% 인상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동결 의견도 나온다. CNBC는 세계 최대 선물거래소인 CME 그룹 데이터를 인용해 2월 1일에 끝나는 FOMC 회의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확률이 94.3%라고 보도했다 .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이 예상되면서 전문가들은 국제 금값이 온스당 2000달러를 눈 앞에 두고 있다고 전망한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과거 글로벌 경기 침체 시 금 투자에 대한 수익률이 좋았고, 최근 미국 달러화라는

    2023.01.24 08:08:36

    빛나는 '金' 2000달러 코앞…9개월 만에 최고치
  • 5000년 전 시작된 '골드러시'부터 뉴턴까지…금에 얽힌 5가지 사실[금의 배신②]

    글로벌 경제에서 달러가 가진 힘은 절대적이다. 미국의 만성 무역적자나 31조 4000억 달러(약 4경원)에 달하는 부채에도 달러 패권은 공고하다. 미국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5000조원에 달하는 헬리콥터 머니를 살포했다. 올해는 시장에 풀었던 달러를 다시 거둬들이기 위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이어 갔다. 그 결과 최근 달러 가치는 20년 만에 최고로 치솟았다. 기축 통화가 가진 힘이다.달러가 세계 경제의 지배자가 되기 전에는 금이 그 역할을 했다. 금은 인간이 발견한 이후부터 늘 귀한 대접을 받았다. 국가와 경제의 흥망성쇠를 좌우했고 글로벌 교역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도 금은 모든 문명에서 가장 귀한 금속으로 여겨졌다.인간이 상형 문자로 기록을 남길 수 있던 고대 문명에서도 금은 이미 그 자체로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다. ‘39가지 사건으로 보는 금의 역사’를 저술한 루안총샤오는 “황금 이외에 세계에서 이렇게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최고의 예우를 받은 금속은 지금까지 없었다”고 평가한다. 금은 인간의 문명을 발달시켰고 교역과 금융 체계를 정립했다. 금을 캐기 위해 전쟁이 일어났고 금을 발견하기 위해 대항해 시대가 열렸다.그렇다면 금은 언제부터 화폐의 기능을 하기 시작했을까. 달러가 금의 지위를 차지할 수 있던 계기는 무엇일까. 인간의 역사에서 가장 오랜 기간 화폐의 역할을 해 온 금에 얽힌 5가지 사실로 금의 역사를 풀었다.  1. 금은 기원전 2600년쯤에도 ‘금값’이었다. 금값이 떨어지든 오르든 금은 오랜 역사 속에서 그 자체로 성공·부·권력의 상징이 됐다. 기원전 2600년께 이집트 상형 문자에

    2022.07.31 06:27:01

    5000년 전 시작된 '골드러시'부터 뉴턴까지…금에 얽힌 5가지 사실[금의 배신②]
  • 비트코인의 적정한 가치는 얼마일까[비트코인 A to Z]

    [비트코인 A to Z]“197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인플레이션이 다시 올 때를 대비해 보험을 들어 둘 필요가 있다. 만약 보험을 들 필요가 있다는 데 동의한다면 당신의 자산 가운데 1~2% 정도는 비트코인으로 보관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 ‘월가의 전설’ 빌 밀러 밀러밸류파트너스 창업자왜 비트코인이 중요한가오늘날 비트코인의 역할을 이해하려면 먼저 지난 50년에 걸친 통화의 역사를 살펴봐야 한다. 기본적으로 전 세계적 통화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면 비트코인과 같은 희소성 높은 통화의 수요는 오를 수밖에 없다.1971년 미국은 금본위제를 폐기했다. 브레튼우즈 체제가 무너지면서 더 이상 정해진 액수의 법정화폐(미국 달러)로 정해진 양의 금을 살 수 없게 되자 주요 자산 가격이 급격히 부풀어 올랐다. 반면 노동자들의 임금은 상대적으로 정체됐다. <표1>을 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임금 상승률 사이의 격차가 얼마나 벌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두 지표의 격차가 벌어질수록 총수요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팽창적인 경제 정책을 필연적으로 수반하게 됐다.지난 반세기 동안 완화적인 통화 정책은 시장 참여자들이 빚을 내 자산을 사들이는 기폭제로 작용했다. 2008년 금융 위기로 신용 경색 조짐을 보이자 은행들은 대출을 회수하려는 모습을 보였고 급하게 빚을 갚으려고 자산 매각 또는 다른 빚을 내다가 부실 대출이 급격히 늘어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양적 완화(QE : Quantitative Easing) 정책이 도입됐다. 그런데 양적 완화 정책으로 인해 또 다른 문제가 생겨났다.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돈을 시중에 흘러들게 해 실물 경제에서 도는 대신 금융 자

    2021.08.25 06:00:22

    비트코인의 적정한 가치는 얼마일까[비트코인 A to 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