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봉준호 등 문화예술인들 "'이선균 방지법' 제정해야"

    봉준호 감독, 배우 김의성 등 문화예술인들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 받던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배우 이선균 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사진 = 연합뉴스]12일 오전 문화예술인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란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영화 <기생충>에서 이선균과 함께 작업한 봉준호 감독을 포함해 배우 김의성, 가수 겸 작곡가 윤종신, 이원태 감독이 잇따라 성명을 낭독했다.봉 감독은 “고인의 수사에 관한 내부 정보가 최초 누출된 시점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2개월여에 걸친 기간 동안 경찰의 수사보안에 한치의 문제도 없었는지 관계자들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며 “수사 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만이 잘못된 수사관행을 바로잡고 제2·3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는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윤종신은 언론과 관련 “고인에 대한 내사 단계의 수사 보도가 과연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공익적 목적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느냐”며 “대중문화예술인이라는 이유로 개인의 사생활을 부각하여 선정적인 보도를 한 것은 아니냐”고 지적했다.아울러 그는 마약 혐의와 관련 없는 개인의 사생활 녹취를 보도한 KBS에 대해서도 “공영방송의 명예를 걸고 오로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보도였다고 확신할 수 있느냐”며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사 내용을 조속시 삭제하길 바란다”고 전했다.문화예술인들은 또 이른바 '이선균 방지법'을 제정해 동일한 비극이 반복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24.01.12 13:26:32

    봉준호 등 문화예술인들 "'이선균 방지법' 제정해야"
  • 협상 가치 창출의 ‘기생충’[이태석의 경영 전략]

    [경영 전략] 수익성 높은 고혈압 치료제를 제조 판매해 큰 돈을 벌고 있는 A 제약회사가 있다. 회사는 개당 4.05달러짜리 알약을 매년 1억 개씩 판매한다. 제조 비용은 한 알에 0.05달러. 대략 매년 벌어들이는 수익은 4억 달러다. 그런데 얼마 후 B 제약회사에서 동일한 효능의 약을 출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A사는 비상이 걸렸다. 독점해 왔던 시장에 경쟁자가 등장해서다. 경영진은 판매 가격을 일단 낮출 수밖에 없다는 결정을 내린다. B사의 출시 예정 제품 가격이 2.55달러였기 때문이다. 여러 측면에서 고려해 보니 3.05달러가 적절하다는 추정이 나왔다. 이제 고혈압 치료제 시장은 두 개 회사가 양분하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A사의 시장점유율은 60%, B사는 40%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경우 A사는 매년 6000만 개를 판매해 연간 1억8000만 달러의 수익을, B사는 4000만 개를 판매해 1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제조 비용은 0.05달러로 가정했다. 결국 시장의 파이는 B사의 진입으로 전체 수익은 2억8000만 달러(A사 1억8000만 달러+B사 1억 달러)로 바뀌게 된다. A사가 독점을 누리던 당시 수익금 4억 달러보다 무려 1억2000만 달러나 적다. A사의 경영진이 생각해 보니 이건 좀 아니다 싶었다. 나눌 수 있는 파이가 줄어도 너무 줄었다. 고민 끝에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 A사의 협상 대표는 B사 대표를 찾아가 솔깃한 제안을 했다. 즉 B사가 시장에 진입하지 않는 대가로 매년 1억2500만 달러를 지불하면 어떻겠느냐고 말이다. B사로선 나쁘지 않은 제안이다. 1억 달러 벌자고 괜히 힘만 쓰는 것보다 더 큰돈 아닌가. A사도 마찬가지다. 기존 수익 4억 달러에서 1억2500만 달러를 B사

    2023.11.22 08:19:40

    협상 가치 창출의 ‘기생충’[이태석의 경영 전략]
  • [Issue] 배우 송강호, 칸영화제 빛낸 기품 있는 시상식 패션

    배우 송강호가 지난 6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4회 칸영화제에 참석했다.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통해 황금종려상의 영광을 누렸던 그가 올해 심사위원에도 위촉돼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국제영화제 중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영화제에 걸맞게 이번 레드카펫에서 송강호는 세계적인 명품 남성복 브랜드 '브리오니(Brioni)'의 제품을 선택해 품격 있는 카리스마를 선사했다. 1945년 이탈리아에서 탄생한 브리오니는 세계 3대 슈트 브랜드 중 하나로, 헐리우드 스타 뿐만 아니라 오피니언 리더 등 남성복에 일가견이 있는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송강호는 깔끔한 블랙 턱시도로 격식을 갖추면서도 단조롭지 않은, 세련된 스타일을 완성했다. 브리오니만의 장인정신이 깃든 견고한 테일러링 기법으로 제작한 이 턱시도는 날렵하게 떨어지는 실루엣과 현대적이면서도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고급스러움이 돋보였다.  글 이동찬 기자 cks88@hankyung.com 

    2021.07.08 20:42:46

    [Issue] 배우 송강호, 칸영화제 빛낸 기품 있는 시상식 패션
  • 덱스터스튜디오, D.I 및 음향 스튜디오 증설…OTT 시장 경쟁력 강화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시각특수효과(VFX) 및 콘텐츠 전문기업 덱스터스튜디오가 D.I(Digital Intermediate) 및 음향 스튜디오 라인을 증설하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덱스터스튜디오는 21일 본사 디아이(THE EYE) 사업부와 자회사 라이브톤의 스튜디오를 추가 설치한다고 밝혔다. 증설 규모는 총 25억원이며 OTT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증설은 콘텐츠 시장이 OTT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선제적 시설 투자이자 수주 물량 증가에 따른 조치다. 실제 디아이와 라이브톤의 수주 물량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상반기 기준 디아이의 실적은 전년 대비 35%, 라이브톤은 49% 증가했다. 그간 디아이는 정교하고 선진화된 기술 인프라와 검증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On-set DIT부터 색 보정, 마스터링까지 소화하며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해 왔다. 대표작으로는 ‘곡성’(2016), ‘부산행’(2016), ‘범죄도시’(2017), ‘1987’(2018), ‘신과 함께’ 시리즈(2018~2019), ‘기생충’(2019), ‘백두산’(2019),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2020) 등이 있다. 극장용 영화뿐만 아니라 ‘킹덤’ 시리즈(2019~2020), ‘보건교사 안은영’(2020), ‘악의 꽃’(2020), ‘이태원 클라스’(2020), ‘낙원의 밤’(2021) 등 OTT 시리즈 및 드라마에도 꾸준히 참여했다. 올 상반기 디아이가 작업한 OTT 시리즈 및 드라마만 십여 편을 훌쩍 넘는다. 국내 최대 규모의 돌비 애트모스를 보유, 혁신적인 몰입형 사운드를 제작하는 라이브톤은 ‘신과 함께’ 시리즈, ‘기생충’ 등 12편의 천만 영화를 포함해 250편

    2021.06.22 15:46:01

    덱스터스튜디오, D.I 및 음향 스튜디오 증설…OTT 시장 경쟁력 강화
  • “이대로는 다음 ‘기생충’ 없다”…피해 가장 큰 영화관, 정부 지원 ‘사각지대’

    [커버 스토리] “이 상태라면 다음 ‘기생충’은 없을 겁니다.” 영화업계가 벼랑 끝에 몰렸다. 콘텐츠 수익의 80% 이상을 책임지는 영화관이 ‘줄도산’ 직전에 놓이자 영화 콘텐츠 수익 구조가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영화관은 영화 산업 생태계의 중심에 있다. 영화 티켓 가격의 50%는 영화관이, 나머지 50%는 배급사에 영화 부금으로 지급한다(수도권은 55 대 45 비율). 배급사가 받은 부금은 투자사와 제작사가 나눠 갖는 구조여서 극장 관객 규모가 영화 산업의 기반이 된다.영화관 이용객 감소가 곧 매출 감소→새로운 영화 오픈 연기(보류)→ 배급사(제작사) 위기→제작 감소로 연결된다. 업계에서 영화관 매출 하락이 곧 콘텐츠의 질적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는 이유다. 영화관 매출 81% 추락…CGV 21 곳 영업 중단지난해 전국 영화관 이용 관객 수는 신천지 대구교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 이후 급격히 추락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2019년 대비 관객 수는 81.5% 급감했고 매출은 81.1% 고꾸라졌다.여타 콘텐츠 시설과 비교해도 극장의 피해가 가장 크다. 한국관광문화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차 확산기 시기 영화관의 피해 금액은 약 2181억원으로 노래방·PC방·서점·공연 시설 등 다른 콘텐츠 시설과 비교해 피해 금액이 가장 컸다.올해도 상황은 막막하다. 영화관 사업자들은 임금 삭감, 휴직, 영업 중단, 관람료 인상 등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시행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 무엇보다 신규 출점 중단, 상영관 감축, 상영관 영업 중단 확대 등 미래 없는 상황에 내몰

    2021.02.17 08:59:59

    “이대로는 다음 ‘기생충’ 없다”…피해 가장 큰 영화관, 정부 지원 ‘사각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