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5차 산업혁명은 ‘우주’에서 시작…한국도 기회 잡아야죠”

    [스페셜 리포트] 우주 개발 대항해 시대100% 한국 기술로 만들어진 첫 우주 로켓 ‘누리호’를 계기로 우주 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는 우주 산업의 패권을 쥐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그에 비해 한국은 후발 주자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누리호’는 한국이 뉴 스페이스 시대로 나아가는 길을 터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클 수밖에 없다.한국 항공 우주 산업계의 원로인 김승조 서울대 명예교수를 10월 15일 만나 ‘한국 우주 산업의 발전을 위한 조언’을 들었다. 서울대 항공우주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 대학원 항공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한국의 대표적인 우주 개발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의 원장을 맡아 한국의 첫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의 성공을 이끈 주역이기도 하다. 현재 우주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룩셈부르크 정부의 우주자문위원을 겸임하고 있다.한국 항공 우주업계가 ‘누리호’의 우주 발사를 두고 들뜬 와중에 김 교수는 오히려 “누리호 이후가 더욱 중요하다”며 한국 우주 산업 발전을 위한 차분하고 냉정한 조언을 쏟아냈다. 그는 “5차 산업혁명의 시작은 ‘우주’에서 올 것이 분명하다”며 “이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 또한 더욱 높은 곳에 목표를 두고 민간 우주 산업을 키우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나로호의 성공의 주역으로 이번 누리호 발사를 지켜보는 소회가 남다를 것 같습니다.“2010년 나로호 발사가 실패한 뒤 2011년부터 항우연 원장을 맡았고 2013년 나로호 발

    2021.10.25 06:01:17

    “5차 산업혁명은 ‘우주’에서 시작…한국도 기회 잡아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