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에디터 노트]고장 난 냉장고

    집에 있는 냉장고가 고장이 났습니다. 10년 가까이 사용하던 냉장고였지만 냉동실의 온도가 오락가락하며, 더 이상 안전한 보관고의 역할을 못하게 된 거죠. 생일 선물로 받았던 아이스크림 케이크는 색색의 죽처럼 흘러내렸고, 아껴 먹던 조기는 상한 냄새가 심해져 곧바로 음식물쓰레기 봉투로 향했습니다.냉장고의 이상 징후가 알려지자마자 집 안은 비상상태로 변했습니다. 냉장고의 음식들은 모두 꺼내져 버려지거나 밥상에 긴급 투입이 됐죠. 집 안 곳곳에 요상한 냄새가 진동하자 한여름의 스트레스는 정지선을 넘어 버리기도 했습니다.2022년 자산관리 시장의 상황도 ‘고장 난 냉장고’와 다르지 않습니다. 코로나19의 유동성 잔치가 끝나고 40년 만에 사상 최악의 인플레이션 위기가 고조되자 자산관리 냉장고에서도 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던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재테크 상품들에서 폴폴 상한 냄새가 나는 겁니다. 유통기한이 명시돼 있지만 더 이상 의미는 없죠.코스피 지수는 지난해 고점(3305.21)에서 3분의 2 토막으로 줄었고, 불패신화를 이어가던 부동산도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으며 맥없이 주저앉고 있습니다. 가상자산도 지난해 역대급 호황기를 지나 끝없는 추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대장 격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경우 70% 이상 가격 하락을 맞았는데 당분간 반등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재테크의 혹한기로 불리는 최근의 자산관리 시장. 원자재와 환율, 물가 등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는 현재의 상황에서 과연 자산관리의 출구가 있긴 한 걸까요. 한경 머니는 금융권을 주목했습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자산관리의 중

    2022.07.22 14:39:00

    [에디터 노트]고장 난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