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뉴욕 증시 퇴출 위기에 몰린 중국 기업들[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미국 금융 당국이 처음으로 뉴욕 증시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있는 중국 기업 리스트를 발표했다. 미국에 상장된 270여 개 중국 기업들은 상세한 감사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상장이 폐지될 위기에 몰려 있다. 중국 당국은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 자국 기업의 상장을 유지시킨다는 방침이다. “중국 기업도 미국 기관에 회계 검증 받아야”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3월 10일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얌차이나, 바이오 기업 베이진·자이랩·허치메드, 반도체 장비 업체 ACM리서치 등 5개사를 ‘외국회사책임법’ 적용 대상 리스트에 올렸다.외국회사책임법은 2020년 12월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이다. 미국 증시에 상장한 외국 기업들에 미국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의 감독을 받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미국은 2001년 엔론의 회계 부정 사건 이후 상장사들에 독립된 회계 법인이 작성한 감사 보고서를 PCAOB가 다시 검증받도록 하는 이중의 감시 체계를 마련했다. 상장사들은 감사 보고서의 바탕이 되는 상세한 기업 현황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중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이 2013년 체결한 회계 협정에 따라 미국 PCAOB가 아니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위)의 검증만 받으면 되는 예외를 인정받아 왔다. 하지만 2020년 초 ‘중국판 스타벅스’로 불리던 루이싱커피가 3억 달러 규모의 매출을 부풀린 게 발각되면서 상장이 폐지되는 등 중국 기업들의 회계 불투명성 문제가 계속 제기됐고 미·중 갈등이 더욱 심화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회계 협정을 파기했다.이어 미 의회도 사실상 중국 기업들을 겨냥한 조치로 평가되는 외국회

    2022.03.30 17:30:11

    뉴욕 증시 퇴출 위기에 몰린 중국 기업들[글로벌 현장]
  • 디디추싱 사태, 미·중 데이터 전쟁 신호탄 되나

    미·중 기술패권 전쟁의 새로운 무대가 데이터로 옮겨가고 있다. 개인정보 등 민감한 자국의 정보가 상대국으로 흘러가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의 쟁쟁한 테크 기업들의 미국 증시 상장이 당분간 힘들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디디추싱(滴滴出行)은 중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다.  ‘중국판 우버’라고 불리는 이 업체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 공유와 택시 호출, 화물차량 호출, 자전거 공유, 택배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모빌리티 플랫폼이다.중국에서만 연간 이용자가 3억7700만 명에 달한다. 중국에서 시장점유율이 90%나 된다. 이 업체는 또 싱가포르를 비롯해 15개국 4000여 개 도시에 진출했다. 이에 따라 전체 이용자는 4억9300만 명, 등록 운전기사는 중국의 1300만 명을 포함해 모두 1500만 명이나 된다. 지난해 매출액은 1417억 위안(24조 원)에 달한다.이 업체는 2012년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회사인 알리바바의 영업사원 출신인 청웨이(程?, 38)가 설립했다. 그는 2005년 알리바바에 입사해 말단 직원으로 일하면서 뛰어난 영업 실적을 기록한 덕에 2011년에는 알리바바 온라인 결제 시스템인 알리페이의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부문에서 부총경리(부사장)로 승진했다. 그는 중국의 낙후한 교통 시스템 때문에 차량 공유 플랫폼 사업이 승산이 있다고 생각해 알리바바에 사표를 쓰고 10만 위안(1800만 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2016년 세계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인 미국 우버의 중국 사업부(우버차이나)를 인수하면서 중국 시장을 석권했다. 그의 꿈은 디디추싱을 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원스톱 교통 플랫폼

    2021.07.26 13:04:42

    디디추싱 사태, 미·중 데이터 전쟁 신호탄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