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초심자도 쉽게 따라하는 레벨별 달러 투자법

    최근 부쩍 불안해진 금융시장 분위기 탓에 개미들의 투자심리가 안전자산 쪽으로 옮겨 가고 있다. 특히 ‘달러’는 안전자산이 관심을 받는 시기마다 어김없이 떠오르는 매력적인 투자처 중 하나다. 초심자가 알아 두면 좋은 달러 투자 가이드라인.# 직장인 A(35)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주식투자에 재미를 붙였다. 하지만 투자의 달콤한 과실을 즐긴 것도 잠시. 올 들어 재테크의 향방을 잃어버렸다. 연초 예상치 못한 하락장을 탓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수익률을 여태 회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A씨는 여유자금이 생기는 족족 주식에 올인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안전자산에 눈을 돌리기로 마음먹었다.‘재테크 빙하기.’ 연일 출렁이는 금융시장 탓에 개인투자자들의 뭉칫돈이 갈 곳을 잃은 최근 상황을 비유하는 말이다. 무엇 하나 장담할 수 없는 게 시장이라고는 하지만, 연초부터 불안한 장세가 이어지며 재테크 전망이 급속도로 어두워지고 있다. 더욱이 조만간 미국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과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증시가 더 크게 출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코로나19 이후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을 넘나들며 주식투자에 열을 올렸던 2030세대는 올해 투자 방향을 바꿔야 한다는 위기의식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 시장 불안이 큰 상황인 만큼 당분간 안전자산 쪽으로 눈길을 돌리려는 움직임도 잇따른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는 예금이나 달러, 금이 꼽힌다. 특히 올 초 강세를 보였던 달러에 주목하는 개인투자자가 적지 않다. 그렇다면 안전한 달러 투자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투자자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달러 투자 방법을 난이도별

    2022.02.28 09:34:21

    초심자도 쉽게 따라하는 레벨별 달러 투자법
  • 위기 때 구원등판…달러 자산을 주목하는 이유

    이미경 기자의 금융레시피물가 상승에 따른 긴축 이슈와 우크라이나 사태 속에서 글로벌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금과 달러 같은 안전자산에 주목한다. 그중 달러는 안전자산 중에서 위기때마다 안전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달러는 기축통화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미·중 무역전쟁,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 등 굵직한 글로벌 악재가 발생할 때마다 주목받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서 달러마저도 투기 시장으로 전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투자자들이 자산 배분 관점에서 달러 자산에 접근하기보다는 달러 가격이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겠다는 의지가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그러나 달러 자산은 주식시장처럼 가까운 미래조차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는 측면에서 잦은 매매는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달러 투자를 위해서는 환율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지만 환율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 시중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은행권 딜링룸에서도 환율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어렵다”며 “사실상 환율의 미래는 정확하게 알기가 어려운 영역”이라고 했다.달러, 경제위기 때마다 소방수 역할… 자산 배분 관점 접근해야2007년 금융위기, 2018년 글로벌 경제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 각각 위기가 도래할 때마다 원·달러 환율은 급등세를 보였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 보유하고 있던 달러 자산의 가치도 크게 뛴다.환율은 위기 상황이 아니라면 상방과 하방이 정해져 있는 자산이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 기관이나 투기적 자금들

    2022.02.28 06:00:42

    위기 때 구원등판…달러 자산을 주목하는 이유
  • [해시태그 경제 용어]기축통화

    기축통화란 여러 국가들의 암묵적 동의하에 국제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를 뜻한다. 국제무역결제에 사용되는 통화, 환율 평가시 지표가 되는 통화, 대외준비자산으로 보유되는 통화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다.한 국가의 통화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들이 존재한다. 우선 세계적으로 유통이 원활할 수 있도록 유동성이 풍부해야 한다. 또 신뢰성을 갖춰야 하며 국제적으로 경제력·정치력·군사력까지 인정받는 국가의 통화여야 기축통화로 인정받을 수 있다.20세기 초반까지는 영국의 파운드화가 기축통화의 자리를 차지한 바 있는데 2차 세계대전 이후 판도가 달라졌다. 미국이 세계경제의 패권을 차지하면서 달러가 그 역할을 대신했으며 현재도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유로화, 파운드화, 일본 엔화, 스위스 프랑화도 국제 결제 통화로 쓰이기는 한다. 그러나 달러의 입지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수치로도 나타난다.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 따르면 지난 1월 국제결제 통화 비중은 달러화(39.92%), 유로화(36.56%), 파운드(6.30%), 위안화(3.20%), 엔화(2.79%)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위안화의 비중도 달러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며 원화는 20위권 안에 들지 못하고 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2.02.26 06:00:19

    [해시태그 경제 용어]기축통화
  • 안정적인 장기 투자, ‘달러’에 답 있다

    통화량 증가 속도가 임금 상승률을 압도하는 시대로 진입하면서 재테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돼버렸다.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규제 일변도에도 장기적인 상승세를 이어갔고, 많은 사람들이 자산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재테크에 대한 관심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기점으로 주식시장으로 확대됐다.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동학개미에 이어 해외 주식시장에 참여하는 ‘서학개미’라는 용어가 등장할 만큼 어느 때보다 개인투자자의 해외 자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국민들이 재테크 시장에 열광하는 만큼, 많은 정보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환율에 대한 관심은 중요성에 비해 그다지 크지 않다. 진정한 의미의 자산관리는 원·달러 환율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 가능하다. 미국 달러가 한국 투자자들에게 주는 의미와 그 활용법에 대해 이해하게 된다면 개인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가 조금 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투자로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미 달러는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인식된다. 그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선 미국의 소비와 세계 경제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미국은 국내총생산(GDP) 가운데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70%에 이르고, 전 세계 가계 지출 규모의 약 30%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이자 수입국이다.  미국 소비시장, 전 세계 30% 차지…글로벌 경제 주춧돌미국 경제가 좋아지면 더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가계 소득이 증가한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이 늘어나고 소매 업체들은 재고를 더 많이 쌓기 위해 생산 업체들에 더 많은

    2021.09.29 09:01:07

    안정적인 장기 투자, ‘달러’에 답 있다
  • 8월 말 외환보유액 4639억달러…사상 최대 기록

    [출처: 한경DB]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한 달 사이 약 53억 달러 증가해 7월에 이어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639억3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최대 기록인 7월 말(4586억8000만 달러)보다 52억5000만달러 늘어난 수치다.한은 관계자는 "국제통화기금(IMF)의 배분으로 특별인출권(SDR) 보유 규모가 커지고 외화자산 운용수익도 늘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자산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이 4183억 달러로 전체의 90.2%를 차지했으며, 예치금은 209억9000만 달러(4.5%), SDR은 151억9000만 달러(3.3%), IMF포지션은 46억5000만 달러(1.0%), 금은 47억9000만 달러(1.0%)로 집계됐다.[출처: 한국은행]한편,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7월 말 기준(4587억달러)으로 세계 8위 수준으로, 중국(3조2359억달러)이 가장 많고, 일본(1조3865억달러)과 스위스(1조862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김수정 기자 hohokim@hankyung.com 

    2021.09.03 09:30:53

    8월 말 외환보유액 4639억달러…사상 최대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