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틀’이 무너지는 시기, 균형을 잡는 게 애널리스트의 역할”

    [스페셜 리포트]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97년 외환 위기, 2008년 금융 위기를 예견한 애널리스트였다. 한국 경제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늘 경고등을 먼저 켰다. 그는 ‘애널리스트의 사관학교’로 불렸던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의 기초를 설계했고 동시에 1990년대 초반 한국 리서치센터의 역사를 증언해 줄 수 있는 적임자이기도 하다. ‘다독가’로 정평이 나 있는 홍성국 의원은 현대의 애널리스트들을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에 비교했다. 담론을 통해 학문을 꽃피웠던 제자백가처럼 정보를 끊임없이 생성하는 것이 애널리스트의 주 업무라는 것이다. 지금처럼 시장이 혼란스러울수록 애널리스트의 ‘입’에 더 많은 시선이 쏠리기 마련이다. -국회에 입성한 지 2년이 됐습니다. 처음 정치권에 들어갈 때 뜻했던 바를 어느 정도 이루셨나요.“대선과 지방선거가 연이어 치러져 선거에 집중하는 시기가 길었어요. 하지만 제 지역구인 세종시에 국회 분원을 설치하는 법률 개정안을 처리한 것은 큰 소득이라고 보고 있습니다.”-동여의도(증권사)에서 서여의도(국회)로 입성한 대표적 인물인데 정치권에 들어오니 그간 보지 못했던 한국 증권가의 특징이 보이나요.“증권업은 먼 미래보다 당장의 손익을 바라보기 때문에 단기적 시각이 주류를 이뤄요. 최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의 열풍이 불고 있기는 하지만 그간 공공성에는 다소 소홀했다는 특징도 있죠. 저는 증권인 출신으로 국회에 입성했기 때문에 금융의 시각을 국회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국회는 증권가의 많은 아이디어를 가져와야 하죠. 반대로 증권가는 국회

    2022.07.20 06:00:04

    “‘틀’이 무너지는 시기, 균형을 잡는 게 애널리스트의 역할”
  • 기업은 사라져도 인재는 남는다 ‘대우증권 DNA’

    [비즈니스 포커스]한국 금융 투자업계에 당당한 꼬리표가 있다.이곳 출신 인사들은 현직에서도 해당 꼬리표를 자랑스레 앞에 배치한다. 여기 출신이란 말 한마디가 곧 그의 능력을 증명하는 이력이자 그를 대표하는 약력이 되기 때문이다. 최대 주주 변경, 사명 변경 등으로 기업은 역사 속에 자취를 감췄지만 그 DNA는 한국 금융 투자업계에 남아 있다. 당당한 이름표, “저는 대우증권 출신입니다.” 1등 증권사의 ‘맨파워’‘대우맨’은 대우그룹 출신 인사를 부르는 별칭이다. 대우에서 일하다 그룹이 해체된 후 여러 곳에서 요직을 차지한 기업인들을 일컫는 말로, 증권가에서는 대우증권 공채 출신 인사를 통틀어 ‘여의도 대우맨’으로 부른다.대우증권은 1970년 증시 태동기에 설립된 증권업계의 ‘맏형’이다. 모태인 동양증권이 1973년 대우그룹에 편입되면서 대우 가족의 일원이 됐다. 1983년 10월 당시 삼보증권을 합병하며 ‘대우증권’으로 이름을 바꾼 뒤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지기 전까지 ‘1등 증권사’ 타이틀을 놓치지 않았다.대우증권의 경쟁력은 사람이다. ‘증권 사관학교’란 수식어가 따라다닐 정도로 당대를 주름잡은 걸출한 인재들이 대우증권에서 쏟아져 나왔다.미래에셋대우 사장을 지낸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비롯해 신성호 전 IBK투자증권 사장, 김기범 전 현대증권 사장, 손복조 전 토러스투자증권 대표, 황건호 전 (초대) 금융투자협회장 등 업계를 좌지우지했던 원로들이 ‘대우맨’이다.대우증권은 2016년 미래에셋증권에 합병된 이후 2021년 미래에셋대우에서 대우란 간판을 완전히 떼내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

    2022.06.07 06:00:03

    기업은 사라져도 인재는 남는다 ‘대우증권 D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