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믿었던 반도체마저 ‘불효’…수출 44% 급락

    [숫자로 보는 경제]2023년 2월 1~20일 무역 수지가 59억8700만 달러(약 7조7700억원) 적자를 기록하면서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무역 수지는 지난 1월까지 11개월 연속 적자였는데 2월까지 1년 연속 적자가 확실시된다.2월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해당 기간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35억4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고 수입은 9.3% 증가한 33억7000만 달러였다. 조업 일수를 고려한 하루 평균 수출액은 14.9% 줄어 감소 폭이 더 컸다. 이 기간 조업 일수는 15.5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일 많았다. 이에 따라 2월 무역 수지 적자는 59억8700만 달러, 연간 적자 누계는 186억3900만 달러에 이른다.세부적으로 보면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수출액이 38억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3.9% 줄었다. 무선통신 기기(-25.0%), 정밀 기기(-15.6%), 가전제품(-38.0%), 컴퓨터 주변 기기(-55.5%) 등의 수출액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액은 395억3600만 달러로 전년보다 9.3% 늘었다.정부는 1년째 지속 중인 무역 수지 적자의 3대 요인으로 에너지, 반도체, 중국을 꼽는다. 2023년 1월 무역 수지 적자 126억9000만 달러의 94.9%가 에너지 수입(54.9%)과 반도체 경기(19.8%), 중국 요인(반도체 제외, 20.3%)에 기인했다고 분석했다.특히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에서 2월 수출은 전년 대비 22.7% 줄어든 66억6000만 달러에 그쳤지만 수입액은 5.1% 증가한 74억5000만 달러로 대중국 무역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가계 빚 10년 만에 첫 감소고금리 여파로 2022년 4분기 가계 대출 규모가 약 10년 만에 처음으로 전 분기보다 줄었다. 한국은행이 2월 21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가계 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2022

    2023.03.03 06:09:02

    믿었던 반도체마저 ‘불효’…수출 44% 급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