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확실성 돌파’ 조직·대표 다 바꾼 이재용
[스페셜 리포트]LG와 롯데를 시작으로 주요 그룹들이 연말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하고 있다. 삼성의 이번 인사 키워드는 ‘세대교체’다.삼성전자는 12월 7일 발표한 사장단 인사에서 대표이사 3명을 전원 교체하며 세대교체를 앞당겼다. 회장 승진 1명, 부회장 승진 2명, 사장 승진 3명, 위촉 업무 변경 3명 등 9명의 최고경영진 인사를 단행했다.삼성전자 공동 대표를 맡았던 김현석 CE(소비자가전) 부문 사장과 고동진 IM(IT·모바일) 부문 사장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김기남 DS(반도체) 부문 부회장은 회장으로 승진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으로 이동한다.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서 CE와 IM 부문을 ‘세트 부문’으로 통합하는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세트 부문의 새 수장은 한종희 CE 부문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이다. 1962년생인 그는 부회장으로 승진해 세트 부문을 총괄한다.한 신임 부회장은 TV 개발 전문가 출신이다. 2017년부터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맡아 TV 사업 15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하는 등 리더십과 경영 역량을 인정받았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DS 부문은 경계현 삼성전기 사장이 이끈다. 1963년생인 경 사장은 반도체 설계 전문가로 꼽힌다. 삼성전자에서 D램 설계, 플래시개발실장, 솔루션개발실장 등을 역임하며 메모리 반도체 개발을 주도했다. 2020년 삼성전기 대표이사를 맡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역대 최대 실적을 견인하는 등 경영 역량을 인정받아 친정에 복귀하게 됐다.한 부회장과 경 사장은 삼성전자 대표이사직을 함께 맡는다. 이번 인사로 대표들의 연령이 60대에서 50대로 낮아졌다.삼성전자의 이번 인사에서는 정현호 사업지원태스
2021.12.15 06:03:07
-
한국투자증권 “비대면 해외 주식 거래 고객 200만 명 돌파”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1월 말을 기준으로 비대면 해외 주식 거래 신청 고객이 200만 명을 돌파했다고 7일 발표했다.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2019년 2만 명 수준이던 비대면 해외 주식 거래 고객은 지난해 말 68만 명으로 늘었고 이후 11개월 만에 200만 명을 넘어서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개인 투자자들의 주식 투자 열풍이 해외 주식으로 이어졌고 그에 힘입어 2년 만에 100배 이상 증가한 것이라는 게 한국투자증권의 설명이다.한국투자증권 비대면 해외 주식 거래 고객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한 젊은 층의 유입이 두드러졌다. 올해 들어 가입한 신규 고객 130만 명 중 57%인 76만 명이 2030세대였다. 이를 포함한 전체 고객의 평균 연령은 37세였다.한국투자증권 비대면 해외 주식 거래 고객의 보유 종목을 살펴보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순으로 대부분 시가총액이 높은 나스닥 종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11월 기준 월간 거래량 상위 종목에는 테슬라, 루시드, 엔비디아, 리비안 순으로 전기차 관련주가 다수 포진해 있었다.구본정 한국투자증권 eBiz담당 상무는 “내년 3월 모바일 거래 애플리케이션(앱) 리뉴얼을 통해 해외 주식 거래 고객의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미국 에프터 마켓의 거래 시간을 연장하고 유럽 시장 온라인 매매를 도입하는 등 고객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2.07 10:42:23
-
스마트 공장으로 위기 뚫는 LS니꼬동제련
[비즈니스 포커스]LS니꼬동제련은 최근 5년 사이 톤당 50달러 수준으로 반 토막 난 제련 수수료 등 불리한 산업 환경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수년간 공들여 온 체질 개선 작업과 스마트 팩토리 구축 프로젝트 덕분이다.울산 온산제련소에 첨단 시스템 구축LS니꼬동제련은 1936년 설립된 조선제련이 모태다. 1982년 LG그룹을 거쳐 2005년 LS그룹에 편입되며 현재의 사명을 갖게 됐다. LS니꼬동제련은 한국 유일의 동제련 기업이다. 울산 온산제련소는 연 68만 톤의 전기동 생산 능력을 갖췄다. 단일 제련소 기준 세계 2위 수준이다.LS니꼬동제련은 2016년부터 온산제련소에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온산 디지털 스마트 팩토리의 영문 알파벳을 따 ‘ODS 프로젝트’로 불리는 이 사업은 LS니꼬동제련식 스마트 제련소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2024년까지 500억원을 투입해 온산제련소 생산 전 과정을 통신으로 연결하고 자동화하는 프로젝트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의 사이버 팩토리를 결합해 신속하고 유연한 생산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목표다.LS니꼬동제련은 4년여의 개발 과정을 거쳐 지난해 통합 생산 시스템과 원료 최적 조합 시스템을 도입했다. 3단계로 나눠진 ODS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공장 내 수천 개의 설비에서 초 단위로 발생하는 4만여 종의 데이터를 수집해 ‘데이터 광산’을 구축한 것이 핵심이다.내년 상반기부터 추진되는 2단계 사업은 이렇게 확보한 데이터를 공정에 응용하는 것이 목표다. AI 기술을 활용해 주요 공정에서 각각 최적의 생산 해법을 도출할 계획이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물리적 공정을 가상 세계에 구현한 &lsqu
2021.10.29 06:00:28
-
CJ제일제당, '슈완스 효과' 누리며 해외 식품 매출 4조원 돌파
[커버스토리] 해외서 훨훨 나는 한국 식품기업 지난해 CJ제일제당의 해외 가공식품 매출은 4조원을 웃돌며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 2020년 4분기 실적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분기마다 해외 가공식품 매출이 1조원 이상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확정적이다. 2018년까지만 해도 CJ제일제당의 해외 가공식품 매출은 약 7000억원 규모였는데 짧은 기간 동안 초고속 성장한 셈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CJ제일제당의 해외 식품 ...
2021.02.03 09:07:42
-
[2021 비대면 시대, 유망 스타트업] 연고티비·입시덕후 조회 수 4억 돌파, 교육전문 MCN 스타트업 '유니브'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교육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온라인 학습과 에듀테크 플랫폼이 부상했다. 이와 관련된 교육 콘텐츠 채널들도 눈에 띄게 성장했다. 2017년 설립된 교육전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스타트업 ‘유니브’도 그중 하나다. 유니브는 현재 ‘연고티비’와 ‘입시덕후’를 비롯해 총 3개의 채널을 O&O(Owned&...
2021.02.01 11: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