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용등급 오른 동국제강

    동국제강의 기업 신용등급이 ‘BBB-(긍정적)’에서 ‘BBB(안정적)’로 한 단계 올랐다. 이번 기업 신용등급 상향은 올해 두 번째다.동국제강은 지난 5월 3대 신용평가사에서 기업 신용등급 전망을 ‘BBB-(안정적)’에서 ‘BBB-(긍정적)’으로 상향 조정받은 바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동국제강 기업 신용등급 상향의 배경으로 ‘우호적 업황과 제고된 이익 창출력’, ‘안정적 영업 현금 흐름을 바탕으로 재무 부담 경감 추세가 유지될 전망인 점’ 등을 꼽았다. 또한 봉·형강 부문의 시장 지위와 냉연·컬러 강판 등 다각화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개선된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동국제강은 2020년 실적 발표에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제로 ‘재무 건전성 강화’를 꼽은 바 있다. A급 신용등급으로의 회복을 목표로 재무구조를 지속 개선한다는 목표다. 한국신용평가의 결과를 기반으로 추가적 등급 상향에 주력할 계획이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0.29 10:58:18

    신용등급 오른 동국제강
  • 동국제강, 컬러 강판 라인 증설…세계 1위 ‘초격차’ 역량 강화

    [CEO 24시]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동국제강이 컬러 강판 전문 생산 라인 ‘S1 CCL(Special 1CCL)’ 증설을 기념해 최근 부산공장에서 ‘S1 CCL 준공식’을 열었다. 동국제강은 이번 증설로 컬러 강판 글로벌 1위의 ‘초격차’ 역량을 강화하고 인프라, 연구·개발(R&D), 서비스 등에서 확고한 경쟁 우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동국제강은 지난해 7월 신규 컬러 강판 생산 라인 증설을 결정한 뒤 약 300억원을 투자해 S1 CCL을 증설했다. 동국제강은 이번 증설로 총 9개 라인에서 연간 85만 톤 분량의 컬러 강판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S1 CCL은 동국제강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건축용 고내후성 컬러 강판 ‘럭스틸 D-FLON’을 비롯한 고선영·고광택 제품을 생산한다.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은 “S1 CCL은 동국제강 컬러 강판 사업의 중·장기 비전 실현을 위해 설계부터 생산까지 신중히 검토해 온 사안”이라며 “이번 증설로 동국제강이 라미나(강판에 특수 필름을 부착해 색상·무늬·질감을 표현) 강판 시장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0.04 06:01:00

    동국제강, 컬러 강판 라인 증설…세계 1위 ‘초격차’ 역량 강화
  • 판 커진 컬러 강판 시장…고급 가전·건물 내·외장재 수요 급증

    [비즈니스 포커스]컬러 강판 시장이 호황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인테리어·가전 수요가 급증한 덕이다. 컬러 강판은 건축물 내·외장재는 물론 고급 가전 등에도 쓰인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의 컬러 강판 생산량은 전년 대비 20.4% 증가한 115만8718톤을 기록했다.글로벌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조사 업체 글로벌인포리서치는 세계 컬러 강판 시장이 2019년 24조원에서 2024년 33조원 규모로 팽창할 것으로 전망했다. 컬러 강판은 일반 철강 제품에 비해 가격이 2배 이상 비싼 고부가 가치 제품으로 꼽힌다.한국의 컬러 강판 시장점유율 2~3위인 KG동부제철과 포스코강판은 대규모 증설에 이어 신규 브랜드를 선보이며 동국제강을 추격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생산 능력 확대는 물론 ‘초격차’ 기술력을 앞세워 1위 자리를 지킨다는 계획이다.연산 능력 80만 톤으로 늘린 KG동부제철KG동부제철은 지난 5월 충남 당진 공장에 컬러 강판 생산 라인을 준공했다. 이 회사는 인천 공장 내 4개의 라인에서 연간 50만 톤의 컬러 강판을 생산해 왔다. 당진 공장 증설을 통해 연 생산 능력을 80만 톤으로 확대했다. KG그룹은 2019년 이 회사를 인수한 이후 컬러 강판 증설에 약 950억원을 투자했다.KG동부제철이 신설한 당진 공장의 컬러 강판 5·6호 생산 라인은 첨단 설비를 통해 생산 효율을 대폭 끌어올린 게 특징이다. 5호 라인은 가전 제품용 컬러 강판을 주력 생산한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라미네이트 강판 등을 만든다. 강판에 페인트를 칠하는 대신 색이 인쇄된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해 고급 가전에 쓰이

    2021.09.29 06:00:22

    판 커진 컬러 강판 시장…고급 가전·건물 내·외장재 수요 급증
  • ‘신용도 흑역사’ 지우고 부활한 동국제강…투자 오판 족쇄도 풀까

    [마켓 인사이트]67년 업력의 동국제강이 ‘관록의 힘’을 보여 주고 있다. 전방 산업 침체와 차입 부담 때문에 한때 투기 등급까지 내려앉은 동국제강은 최근 과감한 자산 매각과 공격적인 구조 조정으로 빠르게 재무 구조를 다잡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고수익 제품을 앞세워 오히려 영업 수익성을 끌어올리면서 신용 평가사로부터 ‘호평 세례’를 받고 있다.굴곡진 신용사…이례적인 ‘라이징 스타’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5월 동국제강의 기업 신용 등급 전망을 종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올렸다. 현재 ‘BBB-’인 동국제강의 신용 등급이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통상 ‘긍정적’ 신용 등급 전망이 부여되면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 안에 신용 등급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한국기업평가뿐만이 아니다. 한국기업평가를 시작으로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 등 신용 평가사들이 줄줄이 동국제강의 신용 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국의 모든 신용 평가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특정 기업의 신용도 전망을 우호적으로 보는 일은 흔하지 않다. 그만큼 동국제강의 사업·재무 상태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데다 투자·실적 전망에 악재보다 호재가 부각되고 있다는 얘기다.동국제강은 1954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전기로 제강 업체다. 한국 3위의 제강 능력을 갖춘 철강 업체이기도 하고 철근·형강 등 봉형강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2015년 계열사인 유니온스틸과 합병해 아연도강판과 컬러 강판 등 냉연 판재류 사업 부문이 추가됐다. 지난해 별도 기

    2021.06.18 06:29:01

    ‘신용도 흑역사’ 지우고 부활한 동국제강…투자 오판 족쇄도 풀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