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시 명품이네" 루이비통, 한국서 지난해 매출 '1조6923억원'
프랑스 명품 브랜드인 루이비통이 한국 시장에서 실적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루이비통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1조6923억원, 영업이익 417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5.27%, 38.37% 증가했다. 배당금은 전년(1560억원) 대비 44.4% 늘어난 2252억원이다. 루이비통코리아는 프랑스 루이비통 지주사가 지분을 100% 가지고 있다. 지난해 루이비통이 한국에서 집행한 광고선전비는 331억원이며, 기부금은 '0원'이다. 한편, 프랑스 명품 브랜드 '디올'을 운영하는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는 지난해 매출은 9305억원, 영업이익은 3238억원을 기록했다. 디올의 2021년 매출은 6139억원, 영업이익은 2115억원이다. 1년 만에 매출은 51.6%, 영업이익은 53.1% 급증했다. 영업이익률은 34.8%이다. 반면 기부금은 1620만원이다. 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2023.04.07 20:47:51
-
"일, 십, 백, 천, 만…내가 잘못 봤나?" 디올의 참 인색한 기부금[최수진의 패션채널]
4월은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의 감사보고서가 공개되는 달입니다. 지난해 한국에서 얼마나 벌었는지, 수익률은 전년 대비 얼마나 개선됐는지 등 다양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죠.얼마 전, 첫 실적이 공개됐습니다. 한국에서 프랑스 명품 브랜드 '디올'을 운영하는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가 감사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디올의 지난해 매출은 9305억원, 영업이익은 3238억원을 기록했는데요. 1조원에 가까운 매출에다가, 영업이익률은 34.8%에 달합니다.영업이익률이 34.8%라는 건, 한마디로 '장사의 신'이라는 겁니다. 스마트폰도 팔고, 가전제품도 팔고,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절대강자인 삼성전자조차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14.4%입니다. 산업군은 다르지만, 임직원 12만1404명을 거느린 한국의 1위 기업도 디올 같은 영업이익률은 못 냅니다.디올은 전년 대비 실적도 크게 늘었습니다. 디올의 2021년 매출은 6139억원, 영업이익은 2115억원이었습니다. 1년 만에 매출은 51.6%, 영업이익은 53.1% 급증했습니다. 광고선전비, 판매촉진비, 매장운영비 등 사업을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은 모두 늘었습니다. 한국 시장에 공들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죠. 그런데 정작 기부금은 얼마나 냈는지 아세요? 1620만원입니다. 제가 숫자를 잘못 읽은 줄 알고, 소리 내면서 한 번 더 읽었습니다. "일, 십, 백,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그런데, 맞더라고요. 디올이 지난해 국내 생태계 발전을 위해 기부금 형태로 지출한 금액은 1620만원이네요.2021년에는 딱 1000만원만 냈는데, 지난해 620만원 더 냈으니 그래도 늘긴 했습니다. 한국에는 세계적인 명품기업이 없으니까, 국내 패션기업과 한번 비교해보죠.
2023.04.06 10:16:37
-
RM은 보테가베네타로..BTS 패션업계를 집어 삼키다[최수진의 패션채널]
군 입대를 선택한 멤버 진을 제외하고는 멤버 6명 전원이 모두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앰버서더가 됐습니다. 아무래도 방탄소년단(BTS)이 패션업계를 먹여 살리는 것 같습니다.글로벌 브랜드들이 너나할 것 없이 앰버서더 자리에 BTS 멤버를 앉히려고 하는 걸 보니 더욱더 그렇게 느낍니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보테가베네타는 RM을 앰버서더로 맞이하고, 청바지와 속옷으로 유명한 미국의 패션 브랜드 캘빈 클라인에서 정국을 글로벌 앰버서더로 발탁했습니다. 앰버서더는 브랜드 그 자체입니다. 그들의 행동과 발언이 회사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만큼 이들의 관계는 밀접하기 때문이죠. 브랜드가 앰버서더의 관계를 '파트너십'이라고 하는 것 역시 양측이 브랜드의 성공을 공통 목표로 삼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그래서 앰버서더가 되기 위한 조건은 꽤 까다롭습니다. 브랜드의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고, 브랜드의 품격을 높이는 동시에 매출에도 '확실하게' 도움이 돼야 합니다. 여기에, 글로벌 앰버서더는 전 세계적인 인지도까지 갖춰야 합니다. 그래서 과거에는 한국인이 지역(한국 또는 아시아) 앰버서더로 발탁되긴 했어도 글로벌 앰버서더가 되는 경우는 흔치 않았습니다. BTS가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요.어제(30일) 보테가베네타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인 마티유 블라지가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BTS 멤버 RM의 사진을 올리며 "가족이 된 것을 환영한다"고 전했습니다. 친절하게 RM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해시태그하기까지 했고요. 앰버서더가 된 것을 공식화한 셈입니다.RM은 지난달 열린 이탈리아의 명품 브랜드 보테가베네타의 패션쇼에 참석하며 관심을
2023.03.31 10:20:20
-
디올, 첫 컬렉션에서 선보인 ‘뉴룩’으로 전 세계 들썩[명품이야기]···
[류서영의 명품이야기-크리스찬 디올①]크리스찬 디올은 1905년 1월 프랑스 서부 노르망디 그랑빌에서 5남매의 둘째로 태어났다. 그해는 유럽 사회가 세계대전의 소용돌이에 휩쓸리기 전 평화롭고 아름다웠던 이른바 ‘벨 에포크’ 시대였다. 그의 아버지는 부유한 사업가였다. 정원 가꾸기가 취미였던 어머니는 패션 감각이 뛰어난 귀부인이었다. 디올은 또래의 뛰어놀기를 좋아하는 다른 남자 아이들과는 좀 달랐다. 디올은 어머니와 함께 정원에서 꽃 가꾸기를 즐기고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섬세한 아이였다.훗날 디올은 “나는 꽃 같은 여성(flower women)을 디자인했다”고 말했다. 아마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추억이 영향을 줬을 것이다. 벨 에포크 시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디올은 열 살이 되던 해 가족과 함께 파리로 이사했다. 디올은 아버지의 뜻에 따라 외교관이 되기 위해 정치학을 전공했다.디올은 1920년부터 1925년까지 에콜 리브르 데 시앙스 폴리테크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디올은 사실 건축과 예술에 더 많은 시간을 보냈고 열정을 쏟았다. 디올은 1928년 아버지의 재정 지원에 힘입어 친구 자크 봉장과 함께 파리에 작은 화랑을 열었다. 이 화랑에서 피카소의 작품을 전시하기도 했다. 디올은 화랑을 운영하면서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와 시인이자 소설가인 장 콕토 등 유명 예술가들과 친분도 쌓았다. 어머니 따라 어릴 적부터 꽃 그리기 좋아해1931년 그의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전 세계에 불어닥친 경제 공황과 여러 가지 악재로 디올 아버지의 사업이 파산해서다.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운영하던 화랑은 문을 닫아야 했다. 화랑뿐만 아니라 디올 가문의 집,
2022.04.14 17: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