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태원 참사 1년, 국가안전 시스템 어떻게 달라졌나

    지난해 10월 29일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에서의 압사 사고는 159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197명의 부상자를 남겼다. 예방이 가능했던 사고였기에 비애는 더욱 짙었다. 눈물로 다 표할 수 없는 조의는 반성과 변화, 그리고 확실한 재발 방지로 이어져야 한다. 이태원 참사 이후 1년 간 대한민국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행안부·지자체 법령 및 조례 마련... 1년 새 국가안전 시스템 어떻게 달라졌나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와 경찰청의 인파 관리 TF 자문위원인 염건웅 유원대 경찰학부 교수는 10.29 참사 1주기를 목전에 둔 현재, 그간의 1년 동안 대형 인명피해 인파 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말로 포문을 열었다. 염건웅 교수는 “참사 때와 달라진 점이라면, 사고 당시에는 주최자가 없는 다중운집 행사에 예방, 통제, 책임을 지는 주체가 없었는데, 지금은 그에 보완이 이뤄져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대한 입법이 이어지고 있다. 입법안이 최종 통과된 것은 아니지만 이 인프라 관리에 대한 재난안전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기에 주최자 없는 행사의 책임을 질 수 있는 법이 곧 명확히 마련될 것”이라 말했다. 염 교수는 “아직 법령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인 건 과거와 마찬가지임에도 참사 이후 지금껏 사고의 재발이 없었던 건 결국 국가안전 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이 세워졌기 때문”이라 덧붙였다. 1년 간 총 154건의 행사에서 행안부 주관하에 지자체별로 조례를 지정해 자체적으로 인파 안전관리를 담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염 교수는 지자체가 경찰과 소방, 한전, 도시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사전 안전조치를 취하고 예방 및 통제에 힘을 쏟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2023.10.27 11:09:22

    이태원 참사 1년, 국가안전 시스템 어떻게 달라졌나
  • [2022 AI 양재 허브 스타트업 CEO] 딥러닝 기반 언어 분석 전문 기업 ‘인스유틸’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인스유틸은 딥러닝 기반 언어 분석 전문 기업이다. 김진성 대표(51)가 2017년 1월에 설립했다. 더존 비즈온 출신의 풀스택 개발자인 김 대표는 20년 이상, 50여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인스유틸을 설립했다.인스유틸은 디지털 채널에 남겨진 고객 경험을 딥러닝 기반 문장분석(TA, Text Analytics) 기술로 분석한다. 분석을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 고객에 대한 인사이트를 기업에 제공하는 고객경험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딥리뷰’를 운영하고 있다.“고객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을 후기나 리뷰를 통해서 남기게 됩니다. 딥리뷰는 이러한 디지털 고객 경험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그 안에 담긴 제품과 서비스의 개선 방향 혹은 경쟁사 대비 차별점을 찾아내 기업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딥리뷰는 AI를 활용해 품질과 서비스, 감성, 의도, 연관어 분석과 같은 표준화된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객관성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기업에서는 고객 경험 개선을 위해 전담 고객서비스(CS)·고객 경험(CX)팀을 구성할 정도로 고객 경험 관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고객 경험을 수집하고 분석해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는 일은 상당한 경험과 통찰력이 필요하죠. CX전문가가 없다면 큰 비용이 필요한 분야입니다.”인스유틸은 네이버, 쿠팡 등 산업 카테고리별로 리뷰가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딥리뷰를 소개하며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창업 후 김 대표는 “불가능해 보이는 어려운 업무를 완료하고 고객에게 신뢰를 얻을 때 가장 보람있다”고

    2022.12.08 21:43:02

    [2022 AI 양재 허브 스타트업 CEO] 딥러닝 기반 언어 분석 전문 기업 ‘인스유틸’
  • 김현준 뷰노 대표 “AI, 보수적 의료 분야서 혁신 일으킬 것”

    “의료 AI를 둘러싼 모든 상황이 스파크를 일으키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시장이 이제 막 꽃을 피우는 단계에서 사업적 성과를 내는 단계까지 갈 것이라고 봅니다.”국내 1호 AI 의료기기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출시한 의료 AI 기업 ‘뷰노(VUNO)’. 올해 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데 이어, 4월에는 국내 최초로 혁신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제조 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뷰노의 창업자 김현준 대표는 의료 AI 기술의 어떤 대목에서 미래를 봤을까. 김 대표를 직접 만나 의료 AI 비즈니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뷰노의 의료 AI 사업에 대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저희는 의료 진단용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보통 엑스레이(X-ray)나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 판독은 영상의학과 의사들이 직접 하세요. 그 과정에서 환자의 병을 찾아내야 하는데, 영상 화질이 좋지 않은 데다 숙련도가 쌓여야 판독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희는 AI가 자동으로 의료영상을 판독해 질병을 잡아내는 의료 AI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통해 병의 발생 여부나 질병의 위치를 찾아주고,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의료차트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과거 대기업에서 딥러닝 전문가로 근무하다가 창업의 길을 걷게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AI와 접목할 수 있는 분야가 굉장히 많은데, 그중에서도 의료 분야를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처음에는 여러 산업을 검토했는데요. 최종적으로 의료를 선택한 이유는 이 분야의 혁신성이 가장 컸기 때문입니다. 사실 의료 분야가 보수적이기도 하고, 규제 산업이다 보니 의외로 다른 산업에 비해 새로운

    2021.10.27 11:06:20

    김현준 뷰노 대표 “AI, 보수적 의료 분야서 혁신 일으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