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유차 괜히 샀나’ 경유, 휘발유 값 또 추월
[숫자로 보는 경제] 전국 평균 경유 가격 2100원 돌파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경유의 평균 가격이 리터당 2100원 선을 돌파했다.6월 17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전국 주유소의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하루 전보다 9.16원 오른 리터당 2105.26원을 나타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2170원 △경기 2112원 △인천 2101원 △강원 2112원 △충남 2109원 △충북 2113원 △대전 2105원 △제주 2217원 등에서 경유 가격이 리터당 2100원 선을 돌파했다.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의 평균 판매 가격은 하루 전보다 7.22원 오른 리터당 2099.42원을 기록해 2100원 선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보통 경유 값은 세금이 많이 붙는 휘발유 값보다 저렴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여파로 유럽을 중심으로 경유의 수급 차질이 빚어지면서 휘발유 값을 뛰어넘는 고공 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경유 값은 5월 11일을 기준으로 휘발유 값을 추월했다. 한국의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웃돈 것은 2008년 6월 이후 약 14년 만이다. 5월 24일에는 전국 주유소의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이 리터당 2000.93원으로 2000원을 처음으로 돌파한 데 이어 연일 최고가 신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경유 값이 휘발유 값을 역전하는 현상이 계속되면서 경유 소비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 정보 사이트인 페트로넷에 따르면 4월 경유 소비량은 1171만5000배럴로 전년 동기 1410만6000배럴보다 16.9% 감소했다.올해 1분기 한국 승용차 시장에서 경유차 판매량은 4만3000여 대로 1년 전보다 41.5% 줄었다. 친환경차에 대한 인기와 치솟은 경유 값이 맞물리면서 중고차 시장에서도 경유차 인기가 시들해져 설 자리를 잃어 가고
2022.06.18 06:00:07
-
BTS 콘서트부터 방 탈출까지…멀티플렉스의 코로나19 시대 생존법
[비즈니스 포커스]멀티플렉스 체인 한국 1위 사업자인 CJ CGV가 4월 4일 요금을 1000원 인상했다. 평일 관람료는 1만3000원으로, 주말 관람료는 1만4000원으로 올랐다.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하나만 구독하면 여러 영화를 골라 볼 수 있는 시대다. 티켓 값이 넷플릭스 한 달 구독료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오르면서 부정적인 반응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하지만 CGV는 이번 인상이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한다. CGV는 임차료·관리비 등 고정비의 증가, 상영관 취식 금지로 인한 매점 매출의 급감, 영업시간 제한, 좌석 띄어 앉기 등 방역비 지출로 지난 2년간 한국에서만 약 3668억원에 달하는 누적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향후 멀티플렉스 산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면 영화비 인상이 꼭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4DX로 즐기는 K팝 아티스트 콘서트 동시에 CGV는 이번 요금 인상이 한국 영화 산업과도 깊게 연계돼 있다고 말한다. CGV 관계자는 “투자·제작·배급·상영이 한 몸처럼 움직이는 한국의 영화 산업에서 실제로 인상되는 영화 관람료의 절반은 비율에 따라 배급·제작사에 돌아가게 된다”며 “개봉을 확정하지 못하고 대기 중인 60여 편의 한국 상업 영화 기대작들이 연내 개봉을 검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업계 1위인 CGV의 요금 인상으로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의 결정에도 관심이 쏠린다. 그간 CGV가 요금을 올리면 다른 멀티플렉스 사업자들도 요금을 올려 왔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CGV와 같은 시장 상황이고 경영 적자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지만 요금 인상은 매우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며 현재는 인상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롯데시네마의 2
2022.04.13 06:00:06
-
극장의 고군분투…팝콘 배달에서 대관까지 '생존 묘수' 찾기
[커버스토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극장들이 악전고투하고 있다. CGV와 롯데시네마 등 극장들도 고사 위기 속에서 임직원 수 축소, 영업 중단, 급여 반납, 휴직 등 필사의 노력을 통해 비용 절감에 나섰지만 대규모 적자를 보전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극장들은 코로나19 사태로 모든 산업에서 고객 안전을 위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극장 관객들의 비대면 니즈도 뉴노멀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언...
2021.02.18 09:30:13
-
[프리뷰]'기생충' 오스카 영광 1년…벼랑 끝에 몰린 영화 산업
[커버 스토리] 지난해 2월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4개 부문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한국 영화의 위상을 세계에 널리 알렸다. 동시에 국내에선 '기생충' 흥행에 힘입어 2019년에 관객 2억 2700만명을 동원하며 역대 관람객 최고를 기록했다 ‘기생충 열풍’으로 정점에 올랐던 한국 영화 산업은 지난 1년 전혀 다른 상황과 마주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
2021.02.14 08:5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