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ecial]김가현 뉴즈 대표 “숏폼, 열풍 이유는 효율성...쌍방향 소통 중요”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이른바 숏폼 동영상(짧은 동영상) 경쟁이 뜨겁다. 메타(구 페이스북)는 ‘틱톡 따라잡기’에 팔을 걷었고,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빅테크도 숏폼 콘텐츠를 강화하는 추세다. 사람들은 대체 왜 이 짧은 영상들에 열광하는 걸까. 이 질문의 실마리를 찾고자 인기 틱톡커이자 숏폼 교육 전문 다중채널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사업가 김가현 뉴즈(NEWZ) 대표를 만나 이야길 나눠봤다.정보기술(IT) 전문기자, 아나운서, 프로듀서(PD)까지. 커리어의 대부분을 ‘콘텐츠’ 제작과 전달에 매진했던 김가현 뉴즈 대표가 틱톡을 시작한 것도 결국 콘텐츠였다. 그는 뉴즈를 창업하기 전 블록체인 전문 매체에서 기자로 일했다. 그 과정에서 블록체인뿐 아니라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중요성을 피부로 느꼈다.물론, 신문, 방송, 심지어 유튜브에서도 관련 내용이 줄줄이 쏟아졌지만, 여전히 사람들 대다수가 그것들을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을 보고, 곧 ‘정보의 격차가 기회의 격차’를 만들어낼 거란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무엇보다 그는 미래 세대가 이러한 기술 변화나 격차가 벌어질 경우, 직면하게 될 문제점들을 고민했다. 콘텐츠 제작과 전달에 변화가 필요했다. 그래서 그는 1분 이내 영상으로 재미있게 정보를 전해보자는 생각으로 MZ(밀레니얼+Z) 세대의 문법으로 틱톡에 ‘블록체인’에 대한 영상을 올려봤다. 해당 영상은 단 하루 만에 1만 조회 수를 기록했고, 이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라이버시 팁을 다룬 영상은 140만 조회 수를 기록하면서 틱톡 조회 수 톱5에 올랐다.김 대표는 이 같은 폭발적인 반응을 보며 MZ세

    2022.09.28 07:03:48

    [special]김가현 뉴즈 대표 “숏폼, 열풍 이유는 효율성...쌍방향 소통 중요”
  • [special]더 짧고 강렬한 숏폼 동영상, 명과 암은

    더 짧고, 강렬하게. 광고에나 쓰일 법한 문법이 이제는 콘텐츠 생태계 전반을 쥐락펴락하고 있다. 어쩌다 사람들은 이 짧은 동영상에 매혹됐을까. 아울러 숏폼 문화 콘텐츠 소비가 낳은 빛과 어둠에 대해서도 취재해봤다.‘Video Killed the Radio Star’.영국의 뉴 웨이브 밴드 ‘더 버글스(The Buggles)’가 1979년 발표한 이 곡은 1980년대의 상징과도 같은 곡이다. 제목 그대로 ‘영상매체로 인해 라디오 드라마의 스타들이 사장됐다’는 의미인데 ‘TV에 의해 라디오가 구세대의 유물이 됐다’라는 시대상을 담고 있다.그리고 26년이 지난 2005년부터 우리는 새 시대를 맞이했다. 유튜브의 등장이다.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유튜브는 21세기 주류 미디어로 우리 삶 곳곳을 지배하고 있다. 초등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미래 직업이 유튜버가 되고, 유튜브가 낳은 스타와 괴물들이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야말로 ‘YouTube Killed the Video Star’ 세상이다. 그런데 2016년 돌연 이 영상 플랫폼 생태계의 변종이 나타났다. 바로, 숏폼 동영상의 마술사 틱톡이다.틱톡의 글로벌 열풍은 각종 통계 자료만 봐도 알 수 있다. 올해 7월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에이아이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 세계 틱톡 이용자가 월평균 23.6시간을 틱톡에서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유튜브 이용자 월평균 사용 시간은 23.2시간, 페이스북은 19.4시간으로 기록되며 틱톡이 1위를 차지했다.조사 결과 지난 1분기 틱톡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2020년 1분기보다 140%, 지난해 1분기보다 40% 급증했으며, 동시에 이용자들이 틱톡에서 지출하는 비용도 증가했다. 지난 1분기 소비자들이 틱톡에서 지출한 금액은

    2022.09.28 07:00:04

    [special]더 짧고 강렬한 숏폼 동영상, 명과 암은
  • [special]1분의 마법, 숏폼 동영상의 경제학

    최근 짧은 동영상인 숏폼(Short-form) 동영상이 전 세계적인 인기다. 스마트폰 보급이 늘면서 영상제작이 간편해지고, 짧은 시간 내에 정보와 재미를 손쉽게 얻고자 하는 MZ(밀레니얼+Z) 세대의 니즈가 만나 열풍을 얻고 있는 것. 이미 숏폼 동영상의 대표주자 ‘틱톡’은 중국 사용자를 제외하고도 월간활성사용자(MAU)가 14억6600만여 명에 달하고,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도 각각 ‘릴스’와 ‘쇼츠’를 내걸고 숏폼의 왕좌 자리를 다투고 있다. 사람들이 이토록 숏폼 동영상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향후 문화 콘텐츠 소비는 어떤 방식으로 흘러갈까.글 김수정 기자 사진 서범세 기자

    2022.09.28 07:00:01

    [special]1분의 마법, 숏폼 동영상의 경제학
  • [카드뉴스]메타, 디지털코인 '주크 벅스' 개발에 릴스 수익화 가능성까지... 주가 전망은?

    메타 CEO인 마크 저커버그가 '주크벅스(Zuck Bucks)'라는 가상 자산 개발에 나섰습니다. 주크벅스는 메타가 직접 관리하는 '앱 내 토큰' 방식으로 도입될 예정이며, 암호화폐가 아닌 디지털 코인입니다.또한, 페이스북 내 소셜 토큰 등을 제작할 계획도 검토 중이며, 오는 5월 인스타그램 앱에 NFT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메타는 4분기 실적발표에서 페이스북의 일간 활성 이용자 수가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경쟁 심화 문제도 제기되며 최근 메타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죠. 이처럼 사용자 정체에 따라 광고 수익성이 불안정해지자 신규 수익 모델을 출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이어 메타는 인스타그램 '릴스'에 집중하기 위해 하이퍼랩스와 부메랑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했습니다. 한국과 브라질에서 시범적으로 '동영상 게시물'과 '릴스' 카테고리를 릴스로 합치기도 했죠. 이에 글로벌 투자은행(IB) UBS는 메타 목표주가를 280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조정했습니다. 인스타그램의 변경사항과 릴스 개선이 내년으로 예상되는 릴스 수익화 실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죠.UBS는 "릴스의 수익화 실현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수익화가 시작되면 메타의 밸류에이션이 PER 16.8배에서 22배로 오를 수 있다"라고 말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습니다.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2.04.07 16:14:32

    [카드뉴스]메타, 디지털코인 '주크 벅스' 개발에 릴스 수익화 가능성까지... 주가 전망은?
  • 유튜브·인스타도 뛰어든 ‘쇼트 콘텐츠’ 전쟁

    [비즈니스 포커스]지난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앱)은 페이스북도 인스타그램도 아닌 ‘틱톡(TikTok)’이었다. 디지털 분석 업체 앱애니에 따르면 지난해 앱 내려받기 건수에서 2019년 4위에 머물렀던 틱톡은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던 '강자' 페이스북을 제쳤다.중국의 정보기술(IT) 기업 바이트댄스가 만든 틱톡은 쇼트 모바일 서비스로, 15초 내외의 짧은 영상을 자유자재로 만들고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손쉽게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10대들을 사로잡았다. 전 세계에서만 10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쇼트 콘텐츠에 익숙해진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붙잡기 위해 유튜브·인스타그램도 플랫폼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틱톡·쇼츠(유튜브)·릴스(인스타그램)의 3파전이 시작됐다. ‘내 맘대로’ 연출할 수 있는 기능 더해 유튜브는 지난 7월부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100여 개국에 ‘유튜브 쇼츠’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쇼츠’는 모바일 기기만으로도 짧고 흥미로운 동영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한 쇼트 폼 형태의 플랫폼이다. 그간 유튜브는 26개국에 쇼츠 베타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쇼츠 콘텐츠의 제작을 독려해 왔다.쇼트 폼 영상의 핵심은 ‘창작’이다. 짧은 콘텐츠인 만큼 사용자가 영상을 마음대로 연출해 의도가 나타나게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유튜브는 쇼츠에 여러 비디오 클립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세그먼트 카메라, 음악 녹음 기능, 속도 설정 제어 등 기본적인 제작 도구를 포함했다. 또 전 세계 수십억 편의 유튜

    2021.09.01 06:10:11

    유튜브·인스타도 뛰어든 ‘쇼트 콘텐츠’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