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매각설’ 휩싸인 왓챠, 쉽지 않았던 ‘다윗’의 도전
[비즈니스 포커스]토종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왓챠’의 매각설이 끊이지 않는다. 왓챠와 인수 후보들 모두 일단은 손사래를 치지만 시장에서는 매각 외에 대안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왓챠를 인수할 후보자들로는 경쟁 OTT인 웨이브와 쿠팡플레이, 콘텐츠 기업 리디 등이 거론된다. 인수는 수많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야 한다. OTT 시장의 성장세가 한풀 꺾인 시점에서 왓챠가 과연 원하는 만큼의 ‘몸값’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정점 찍고 내려오는 OTT 시장은 ‘변수’ 왓챠의 매각설이 불거진 것은 7월 말이다.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왓챠가 게임업계 등에 인수·합병(M&A)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설은 올해 들어 왓챠에서 프로듀서(PD) 등 콘텐츠 제작 인력이 잇따라 퇴사하면서 구체화됐다. 왓챠를 떠난 인력만 해도 전체 200여 명 중 두 자릿수인 것으로 알려졌다.왓챠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08만 명으로 한국에서 서비스되는 OTT 중 7위다. 모바일인덱스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기준 넷플릭스가 1117만 명으로 1위를 기록했고 웨이브 423만 명, 티빙 401만 명, 쿠팡플레이 373만 명으로 뒤를 이었다. 사실상 한국에서 서비스되는 OTT 중에서 왓챠의 가입자 수는 가장 적은 편으로 분류된다. 가입자 수를 늘리는 것은 OTT의 수익과 직결된다. 하지만 한국 OTT 시장의 사용자 수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일은 아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주요 OTT의 월 사용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왓챠 이용자도 올해 1월 129만 명에서 6월 108만 명으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전
2022.08.16 06:00:03
-
일동바이오사이언스 IPO 시동 건 일동홀딩스
일동제약그룹 지주회사인 일동홀딩스가 계열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보유 지분 일부를 매각했다.일동홀딩스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지분 20%(160만 주)를 NH투자증권 등 6개 기관 투자가에 약 200억원에 매도했다고 최근 공시했다. 9월 중 1차분 130억원을 수령하고 11월 말까지 차액을 받기로 했다.일동홀딩스 측은 주주 가치 제고와 계열사 운영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계열사의 지분 가치를 시장에서 평가받고 사전 투자를 유도하는 등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IPO를 활성화하기 위한 의도도 있다.일동홀딩스는 2023년 IPO를 목표로 일동바이오사이언스에 대한 투자 유치 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2016년 일동제약에서 분할해 일동홀딩스의 계열사로 신설된 건강기능식품 전문 업체다.유산균 등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의 원천 기술과 특허 등을 바탕으로 일동제약을 비롯해 국내외 고객사에 원료와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09.26 06:00:01
-
“골든타임은 지금”…몸값 뛰는 대우건설에 마음 급한 인수 후보
[비즈니스 포커스]대우건설의 매각 시계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전체 건설 사업 중 수익성이 가장 높은 주택 부문에서 매출 증가가 본격화되면서 올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실적이 늘어나면 몸값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인수 후보들은 매각가가 더 높아지는 것을 두려워해 현재를 ‘골든타임’으로 보고 급하게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대우건설의 최대 주주인 KDB인베스트먼트는 당초 내년께 매각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업황이 크게 개선된 현재를 적기라고 보고 계획을 앞당긴 상황이다. 대주주로선 실적 회복 움직임이 나타나는 지금 시점을, 인수 후보 측에선 가격이 더 높아지기 전에 작업을 진행하려고 해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맞은 셈이다.예상 매각가 2조원, 상승세에 오를 가능성 높아KDB인베스트먼트는 대우건설의 매각 자문사로 KDB산업은행 M&A실 및 뱅크오브아메리카증권을, 회계 자문사로는 EY한영을 선정했다. 매각 대상 지분은 KDB인베스트먼트의 보유 지분 50.75%다. 예상 매각가는 2조원 안팎이다. 대우건설의 시가 총액(6월 8일 기준 3조8736억원)을 고려한 것인데 현재 상승세를 탄 주가를 고려하면 2조원을 훌쩍 넘을 가능성도 있다.KDB인베스트먼트는 “최근 대우건설 실적이 되살아나면서 기업 가치를 재평가받고 있다”며 “현재 시기가 매각 적기라고 판단해 가격이 맞거나 좋은 인수자가 나타난다면 매각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대우건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3.3% 늘어난 5583억원이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도 2294억원을 달성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7%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2~4분기 실적도 기대된다. 대우건설은 대형 건
2021.06.15 06:21:02
-
SK 야구단 매각의 ‘숨은 1인치’… ‘사업 재편’과 ‘사회적 가치’
[박찬희의 경영 전략]SK와이번스 야구단이 신세계그룹 이마트에 전격 매각됐다. 2007년 첫 우승 이후 한국프로야구(KBO) 리그의 강자로 군림하며 ‘스포테인먼트’의 선두 주자였던 구단이었기 때문에 팬들의 놀라움이 더욱 크다. 이를 두고 미디어는 물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도 참신한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전략 경영의 시각에서 이번 매각 사례를 연구해 보자.사업 재편에 대한 시장의 요구최근 세계 주요 통신 사업자들은 본업 이외의 사업들을 분할해 투자를 유치하거나 매각하는 사업 분할과 재편을 진행하고 있다. 콘텐츠·핀테크·인공지능(AI) 등 사업 내용이 좋다면 일단 갖고 있는 통신망에 얹어 수익 구조를 확보한 후 각각 독립시켜 투자를 유치하거나 매각하고 그 돈으로 ‘모빌리티 시대’에 필요한 지능형 통신망이나 위성 통신 체제를 개발하는 데 쓰는 추세다.2000년대 들어 통신과 미디어가 본격적으로 융합되면서 통신사들의 사업 구조가 복잡해졌다. 인터넷과 모바일의 생태계가 대형 플랫폼 사업자들과 디바이스 업체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콘텐츠 사업자들이 가세하자 졸지에 ‘데이터 파이프라인’으로 전락할까 우려한 통신사들이 다양한 사업들에 투자하거나 직접 경영에 참여한 결과다. 그 성과는 회사마다 엇갈리지만 전기나 도로 같이 안정된 수익을 기대하고 투자한 쪽에서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 스포츠 팀에 대한 대주주나 최고경영자(CEO)의 관심은(사실 관계를 떠나) ‘회삿돈으로 취미 활동한다’는 오해를 사는 경우가 있어 투자자들의 시선은 더욱 싸늘하다. SK야구단의 모기업인 SK텔레콤 역시 이런 시장의 현실에
2021.02.02 08: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