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서울시내에 매매가 5억원 대 30평 아파트가 있다고?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 전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저렴한 아파트 매매 물건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8일 기준 서울시내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보다 0.01%p 오른 0.03%로 상승세를 이어갔다.부동산시장 불확실성과 규제 완화 등에 대한 기대감이 상존하면서 정주여건이 양호하거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주요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 발생하고 매수문의 증가하는 등 상승폭이 확대됐다.전세가격 역시 4월 8일 기준 0.06% 올라 매매가격보다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포비가가 확산돼 아파트 전세 인기가 많아졌고 고금리로 인해 고가의 아파트 매매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의 눈이 저가 아파트에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어느 정도 평형을 갖춘 5억원 대 아파트의 경우 가격이 급락할 부담이 적고, 상대적으로 매매가가 작아 나머지 돈을 인테리어에 투자하면 실거주용으로 적합하고 차익도 노려볼만 하다”고 평가했다.실제로 포털사이트 부동산 정보 시스템에서 전용면적 기준 30평 대인 공급면적 99㎡에서 132㎡ 구간 매매가 5~6억원 아파트를 검색한 결과 강남 3구나 용산구 등에는 물건이 단 한 개도 없었으나 다른 자치구에서는 다수 발견됐다. 강동구는 길동에 위치한 공급면적 81㎡인 Y아파트가 5.95억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이 아파트는 2011년 11월 3억 100만원에 거래됐고 최근 거래 물량은 없었다.광진구 구의동에 있는 D아파트는 전용면적 89㎡, 5억 7000만원에 거래 중이다. 또 동대문구 장안동에 있는 G아파트는 전용면적 82㎡, 5억 35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마포구 역시 해당 거래물량은 없었으나 바로

    2024.04.15 10:34:12

    서울시내에 매매가 5억원 대 30평 아파트가 있다고?
  • "생각보다 짭짤하네" 지난달 오피스텔 수익률 5.27%...3년래 최고치

    지난달 오피스텔 수익률은 5.27%로 최근 3년 이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0년 7월 4.75%로 떨어진 이후 3년 만에 5%대로 회복한 것이다.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수요자들 선호가 오피스텔 월세로 넘어가 임대료가 높아진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수요가 늘자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도 7개월 연속 오름세다. 전국 기준으로 작년 5월까지 마이너스 변동률 –0.02%를 나타냈지만 같은 해 6월 0.04%로 상승 전환한 후 지난달 0.07%까지 올랐다. 반면 오피스텔 전세와 매매 가격지수는 작년 1월부터 1년간 연속 하락해 지난달 각각 –0.11%, –0.14%를 기록했다. 오피스텔 전세·매매보다 월세 수요가 늘어나는 데는 작년부터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 전세 사기 여파가 큰 원인으로 꼽힌다. 작년 7월부터 12월 사이 전국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량은 7만 7663건인데 이 중 월세 거래가 4만 7452건으로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규모별 월세가격 지수를 살펴보면 지난달 전국 40㎡(약 12평) 이하 소형 오피스텔의 월세는 0.09% 올랐지만, 85㎡(약 25평) 초과 월세는 보합(0%)이었다. 보통 젊은 청년층이 혼자 거주하는 소형 오피스텔에 월세 수요가 많이 몰리는 것이다.  수요가 늘어나는 한편 공급은 점차 줄어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월세 상승은 더욱 가팔라질 저망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1년 5만 6724실까지 분양됐던 오피스텔은 2022년 2만 6500여실로 급감했다. 작년엔 1만 6300여실로 줄었다. 올해 분양계획은 아직 확정된 바 없지만 작년보다 줄어들 것이란 의견이 많다. 한편 지난달 10일 정부가 내년까지 소형 오피스텔 취득시 보유 주택수에 포함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발

    2024.02.26 15:31:38

    "생각보다 짭짤하네" 지난달 오피스텔 수익률 5.27%...3년래 최고치
  • 서울 아파트 평당 전세가 이제 2300만원 넘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작년 12월 평당 평균 전세가 2300만 원을 넘었다. 12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작년 12월 서울 아파트의 평당 전세가는 2 316만 원이다. 작년 3월 이후 2200만 원대를 오가던 전셋값이 11월부터 두 달 연속 2300만원을 웃돈 것이다. 전셋값이 로른 이유는 높은 금리로 인해 이자 상환 부담이 커져 매매보다는 일단 전세로 거주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월세 금액 상승도 전세 수요를 늘리는 요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 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1~11월 사이에 거래된 아파트 월세 평균 금액은 102만 원이다. 2022년에 비해 4만원, 2021년에 비해 12만 원 오른 것이다. 전세 수요가 나날이 늘어나는 한편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어 공급이 부족해진 것도 원인이다. 지난 3일 부동산R114이 발간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서울 입주 물량은 총 1만1107가구로 작년보다 2만1772가구 줄어들었다. 입주 물량이 1만 가구 이상 감소한 4개 도시(서울·인천·대구·부산) 중 감소량이 가장 크다. 고금리 기조와 아파트 매매·월세 수요가 전세로 이동함에 따라 전세가 상승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임나영 인턴기자 ny924@hankyung.com 

    2024.01.12 17:43:06

    서울 아파트 평당 전세가 이제 2300만원 넘었다
  • 올 2분기 부동산 키워드 ‘아파트’, ‘경기도’ 활짝···“온전한 회복세는 아냐”

    올해 2분기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이 직전 분기 대비 모든 유형에서 상승 흐름을 보이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1분기에 타 유형 감소분을 상쇄하며 전체 부동산 시장 상승을 주도했던 아파트는 2분기에도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져 작년 동기 대비 지표도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및 AI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2023년 8월 1일 기준)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3년 2분기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거래 특성 리포트를 17일 발표했다.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 매매거래금액 1분기 대비 모든 유형에서 상승 흐름 나타나 2023년 2분기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27만5370건으로 1분기(24만3938건) 대비 12.9% 증가했다. 매매거래금액 역시 85조4980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66조9254억원)와 비교하여 27.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형별 거래량의 경우 전분기와 비교해 모든 유형에서 상승 그래프를 그렸다. 1분기 대비 아파트가 24.2%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으며, 연립·다세대 22.9%, 상업·업무용 빌딩 21.2%, 단독·다가구 21.1%. 공장·창고 등(집합) 16.2%, 상가·사무실 15% 등이 뒤를 이었다. 매매거래금액도 공장·창고 등 소폭 감소(3.5%)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유형에서 직전 분기와 비교해 상승 곡선을 그렸다.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인 상가·사무실 52.9%에 이어 상업·업무용 빌딩 51.9%, 아파트 34.2%, 단독·다가구 30.4%, 연립·다세대 29.8% 등의 순으로 증가했다. 1년 전인 지난해 2분기 대비해서는 아직까지 매매거래량이 20.5%, 매매거래금액은 19.4% 감소한 상태이지만 아파트를 필두로 전반적인 우상향 흐름을 보이고 있는 만큼 하반기 실적

    2023.08.17 18:08:54

    올 2분기 부동산 키워드 ‘아파트’, ‘경기도’ 활짝···“온전한 회복세는 아냐”
  • 상업용 빌딩 너마저, "매매 거래량 뚝뚝 2008년 금융위기 수준"

    부동산 하락세가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분석한 10월 기준 빌딩 매매거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0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80건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당시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4개월 간 88건, 50건, 69건, 61건 등 월 100건 이하의 거래량을 보인 것과 유사한 현상으로 주목된다.실제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가 공개된 2006년 이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빌딩 매매 건수가 두 자릿수 거래량에 그친 것은 금융위기 당시를 제외하곤 올해 10월이 13년 만에 처음이다.권역별 데이터도 눈길을 끈다. 1년새 매매거래량이 가장 크게 하락한 지역은 GBD(강남구, 서초구)로, 올해 10월 단 15건의 거래만 이뤄졌다. 전년 동월 59건 대비 74.6% 하락한 것으로 서울 3대 업무지구 중 최대 낙폭세를 보인 결과다. CBD(중구, 종로구)는 -71.7%, YBD(영등포구, 마포구)는 -68.4%로 나타났다.2022년 10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금액은 1조 3603억원으로 전년 동월 2조 700억원 대비 약 34.3% 감소했다.매매거래량이 69.5% 감소한 것에 비해 매매거래금액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2022년 10월에 성사된 종로타워 매매거래(6214억 5천만원)가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확인된다.그럼에도 10월 매매거래금액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거래금액(1조 472억원)을 기록한 전월(9월) 다음으로 저조한 거래금액으로 집계됐다. 구별 매매거래금액은 종로구 6400억원, 금천구 2481억원, 서초구 955억원, 동작구 71

    2022.12.20 13:04:46

    상업용 빌딩 너마저, "매매 거래량 뚝뚝 2008년 금융위기 수준"
  • “차라리 그때 집을 살 걸”…4년 만에 같아진 전세·매매값

    [아기곰의 부동산 산책]무주택자가 집을 사지 못하는 이유는 집값이 떨어질 것을 염려해서다. 이로 인해 원금이 보장되는 전세 시장에 머무른다. 하지만 이렇게 결정한 이들에게 지난 몇 년간은 고통의 시간이었을 것이다. 집값이 오르는 것뿐만 아니라 전셋값도 동시에 올라 비슷한 수준의 주택에 거주하려면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4년 전 선택 따라 달라진 무주택자 운명2014년부터 올해 9월까지 단위 면적(㎡)당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와 전셋값은 시간의 흐름처럼 우상향이다. A라는 사람이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6월 아파트를 살지 말지 고민했다고 가정해 보자. 당시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당 383만1900원 수준이었다. A는 이 가격도 비싸다고 생각해 전세를 택했다. 당시 전셋값은 ㎡당 283만8100원이었다.같은 집에 살면서 훨씬 적은 돈으로 거주할 수 있고 향후 집값이 떨어진다고 해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해서다. 하지만 4년여가 지난 올해 9월의 전셋값은 382만4500원까지 올라 2017년 6월의 아파트 매매가와 맞먹는다.문제는 전셋값이 앞으로도 더 오를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집값은 오를 수도, 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2017년 6월 전세가 아닌 매매를 결정했다면 향후 추가 자금이 필요한 일은 없었을 것이다.물론 당시에는 집을 살 여력이 부족해 전세라는 차선책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지만 집을 마련한 B라는 사람이 있다면 4년여간 이자 부담은 있었겠지만 지금쯤 두 다리 쭉 뻗고 잠을 청하고 있을 것이다.어떤 선택을 했는지에 따라 두 사람의 운명이 4년여 만에 엇갈렸다. 서울에 사는 사람들은 더 가혹하다. 2017년 10월에라도 서울에 집을 마련했다면 지금의 전세 자금으로도 충

    2021.11.02 06:00:23

    “차라리 그때 집을 살 걸”…4년 만에 같아진 전세·매매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