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2,127억 매출 달성 "5년 연속 성장세 이어나가"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각자대표 이수연, 강민준)은 지난해 역대 최대 연 매출을 기록했다고 20일 발표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2022년 연결기준 2,127억원, 영업이익 178억원을 기록했다고 20일 공시했다.공시기준 2021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각각 23.2%, 64.2% 증가해 5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주력 브랜드인 액티브웨어 '젝시믹스'는 전년대비 33.7% 상승한 매출 1,942억원을 기록해 또다시 최고 매출 경신을 이어갔다.젝시믹스는 지난해 애슬레저 제품군 확대와 함께 5월에는 골프웨어, 9월에는 키즈웨어를 각각 론칭하며 신규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섰다.의류 카테고리의 꾸준한 확장과 더불어 젤라또랩 매각과 브랜드엑스피트니스 연결 제거 등 자회사들의 체질 개선을 단행해 성장성 높은 의류업과 마케팅에 주력할 수 있는 사업구조로 개편한 점도 주요한 성장의 이유다.올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젝시믹스를 중심으로 한 내실 중심 성장을 만들어갈 계획이다.골프, 키즈 등 브랜드 라인업 확장을 바탕으로 시즌별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면서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할 방침이다.또한 해외시장 진출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현재 해외법인을 비롯해 대만, 몽골, 인도네시아, 호주, 캐나다 등 총 55개국에 진출한 젝시믹스는 중국 내 시장 분석과 물류거점 확보를 통해 올해 본격적인 중국법인 운영에 들어간다.3월 상하이 오프라인 매장 설립을 시작으로 현지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 일본법인과 더불어 해외 진출의 주요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관계자는 "온라인 인디브랜드로 시작했던 젝시믹스

    2023.02.20 12:03:06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2,127억 매출 달성 "5년 연속 성장세 이어나가"
  • "100만원 이상 써요" W컨셉, 충성도 높은 'VIP 고객' 증가

    패션 플랫폼 W컨셉이 올해 패션업계 큰손 모시기에 나선다. 전체 매출의 25%를 차지하는 VIP고객을 위한 맞춤 콘텐츠와 서비스 강화해 고객 유입을 높이고, 플랫폼 경쟁력을 제고한다.W컨셉은 누적 구매액과 구매상품건수를 기준으로 회원 등급을 6단계(W피플, 프렌드, 베스트, 프라임, VIP, VVIP)로 운영하고 있으며, VIP는 최근 6개월 누적 구매액 100만원 이상인 'VIP'와 누적 구매액 150만원 이상인 'VVIP'등급을 포함한다.W컨셉은 2022년 연간 거래액이 전년 대비 40% 신장한 약 4600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VIP등급 우수 고객이 70% 증가하고 구매 금액도 60% 이상 늘면서 거래액 신장에 영향을 미쳤다. VIP 고객은 직전해 대비 2021년 40%, 2022년 70%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으로 VIP 등급 유지율은 80%에 이른다.VIP 고객이 증가한 배경으로는 △상품별 큐레이션 강화 △단독 기획 상품 확대 △컨템포러리 럭셔리 상품 강화 등 패션 부문의 상품 경쟁력을 꼽을 수 있다. W컨셉 VIP 고객이 반복적으로 구매한 인기 품목은 △아우터(30%) △니트(16%) △원피스(15%) △팬츠(10%) △블라우스/셔츠(10%) 순으로 나타났고, W컨셉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단독 기획 상품의 구매 빈도가 높았다. 올해는 우수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컨템포러리 패션 아이템과 단독 기획 상품 확대 강화하고 VIP 대상 서비스를 확대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한다. 시즌 한정으로 VIP 라운지를 열고 우수 고객에게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한다. VIP로 승급이 가능한 프라임 등급 고객도 입장 가능하도록 해 VIP 고객층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올해 연말까지 'VVIP 대상 전상품 무료 교환 서비스'를 진행하고, 신규 브랜드를 집중 조명하

    2023.02.16 14:50:02

    "100만원 이상 써요" W컨셉, 충성도 높은 'VIP 고객' 증가
  • 신세계, 지난해 4분기 영업익 1413억원…전년比 27.6%↓

    신세계가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2141억원, 영업이익 141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7.6% 감소했다.  백화점 사업은 4분기 매출 6686억원, 영업이익 1499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최대 규모의 스포츠·여성패션 전문관(센텀시티점) △MZ세대를 겨냥한 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관 △업계 최초 푸빌라 NFT 홀더 파티 등 온·오프라인에 걸쳐 차별화된 콘텐츠를 앞세워 고객들의 선택을 받았다.또 해외여행 재개 등 일상 회복으로 인한 남성·여성·캐주얼 등 패션부문(12.3%)과 화장품(12.0%), 캐리어 등 여행 관련 장르(82.8%)의 수요 회복도 백화점 실적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신세계인터내셔날, 센트럴시티 등 연결 자회사들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신세계인터내셔날은 4분기 기준 매출액 4303억원을 기록, 소비심리 하락으로 어려웠던 지난 하반기 시장 환경 속에서도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 보브·지컷·스튜디오 톰보이 등 국내패션부문의 매출과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으며 자주부문과 자체 화장품 브랜드도 볼륨확대를 지속하며 지난해 누적 매출 1조5539억원, 영업이익은 115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익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이다.신세계디에프는 4분기 매출 9967억원을 기록했으나 2023년 인천공항 임대료의 선반영과 올 상반기 납부 예정인 특허수수료로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줄어든 263억원 적자를 기록했다.신세계센트럴시티는 백화점 등 매출 증대에 따른 임대수익과 호텔 매출의 증가로 매출액 891억원, 영업이익은 189억원을 기록했다.신세계라이브쇼핑은 매출액 689억원, 영업이익은 26억원을 달

    2023.02.08 13:53:35

    신세계, 지난해 4분기 영업익 1413억원…전년比 27.6%↓
  • 채널코퍼레이션, “단골 관리 전략 통했다” 2022년 매출성장률 100% 기록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올인원 비즈 메신저 채널톡을 운영하는 채널코퍼레이션은 2022년 매출성장률 100%(MRR, 실 결제 월간 반복 매출 기준)를 달성했다고 19일 발표했다.채널코퍼레이션은 지난해 스타트업 혹한기 속에서도 고객의 니즈와 시대 흐름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선보이며 건강한 성장을 견인했다. 산업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단순히 마케팅 비용을 늘려 신규 고객을 확보하기보다는, 단골이라는 핵심 고객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실질적 매출을 높일 수 있는 선택과 집중의 방법을 실시했다.그 결과 채널톡 유료 서비스의 전체 연결제 비율은 30%까지 상승했고, 신규 고객사들의 연결제 비율은 33%까지 올랐다. 이는 2021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수치다. 채널코퍼레이션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당연시됐던 ‘단골’이 온라인에서는 간과되어 온 점을 파악해, 채널톡의 핵심 기능인 라이브챗과 CRM 기능으로 단골 생성에 최적화된 기능 고도화에 집중했다. 단골 확보가 안정적인 성장에 기여한다는 점을 고객들이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최근 프라이버시 문제로 메타 등 플랫폼의 고객정보 활용이 제한됨에 따라 신규고객 획득 비용이 증가한 점을 ‘재구매 성장 전략’을 통해 대응하며, 중소기업의 내적 성장을 지원했다.특히 일본 시장 성과가 눈에 띈다. 일본 내 채널톡 이용 고객수는 2021년 대비 2022년에 2배 이상 성장했다. 신규 고객으로 ‘베이크루즈(BAYCREWS)’, ‘빔즈(BEAMS)’, ‘유니언도쿄(UNION TOKYO)’ 등 유수의 일본 패션 핵심 브랜드들도 고객으로 확보해 글로벌 입지를 다졌다. 채널톡은 네이버 라인, 인스타그램 DM, 이메일 등

    2023.01.19 12:37:34

    채널코퍼레이션, “단골 관리 전략 통했다” 2022년 매출성장률 100% 기록
  • EY한영, 연매출 6280억원…전년비 18.8% 증가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의 연간 매출이 처음으로 6000억원대에 진입했다.EY한영은 2021년 회계연도(2021년 7월~2022년 6월) 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18.8% 증가한 628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EY한영은 한영회계법인, EY 컨설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한영회계법인은 4365억원, EY컨설팅 등은 1915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성장의 가장 큰 견인 요소는 디지털 감사 분야에서 강점을 지닌 회계감사 부문의 선전이다. 회계감사 매출액은 1757억원으로 전년 대비 13.3%(206억원) 증가, 5년 전 대비 2.3배(995억원) 늘었다.회계감사 부문의 이러한 성장은 고객의 견고한 신뢰와 선호를 바탕으로 ‘외형보다 질적 성장’을 중시하는 프리미엄 전략에 힘입은 것이라고 EY한영 측은 분석했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상장사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중 31개사가 EY한영의 감사대상 고객이다. 대표적인 감사 고객사로는 SK주식회사, SK이노베이션, 삼성물산,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LG생활건강, CJ제일제당, 네이버, IBK중소기업은행, 한국전력공사, 한국조선해양, 케이티앤지 등이 있다.또한 회계감사를 주축으로 한 성장세를 뒷받침하기 위해 공인회계사 인력 확충에 나섰다. 2022년 EY한영의 신입 회계사 채용 규모는 총 304명으로 전년 대비해서 40% 넘게 증가했다.컨설팅 부문은 기업전략수립 및 운영 효율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영역에서 강세를 보이며 유통산업 차세대 시스템 구축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스마트 딜리버리 전략 등을 통해서 전년 대비 약 30% 성장을 달성했다. 금융 컨설팅 영역에서는 대형 차세대 시스템 구축 컨설팅 및 클라우드 적용 전략 수립을 주도하고 있으며, 여신 및 리스크

    2022.09.30 16:36:21

    EY한영, 연매출 6280억원…전년비 18.8% 증가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2분기 매출 574억 원…역대 분기 최대 매출 달성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액티브웨어 브랜드 젝시믹스를 전개하는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올해 2분기 실적이 역대 분기별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16일 발표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대비 20.8% 상승한 574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잠정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1억 4천만 원으로 전년대비 69.9% 늘었다.2분기 호조의 영향으로 상반기 실적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9% 상승한 997억 2천만 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3.8% 상승한 64억 2천만 원으로 집계됐다.대표 브랜드인 젝시믹스의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3% 상승한 528억 3천만 원을, 영업이익은 117% 상승한 65억 1천만 원으로 집계돼, 영업이익율 12.3%를 기록했다. 상반기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908억 6천만 원과 104억 2천만 원을 기록하며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상반기 호실적을 견인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젝시믹스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경영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그리고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수요증가 등을 성장의 원인으로 분석했다.거리두기 해제로 야외활동이 증가되면서 스윔웨어 등의 관련 상품의 구매가 높아졌다. 5월 론칭한 젝시믹스 골프도 차별화된 디자인과 기능, 합리적인 가격대를 선보이며 MZ세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출시 후 두 달간 약 20억 원대의 매출을 올리며,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했다는 평가다.해외법인의 매출 증대 등으로 이익체력을 높인 것도 주효한 원인이다. 그동안 온라인 시장 외에 지속적인 팝업스토어와 이벤트 등을 진행해 왔던 일본법인은 올해는 긴자 미츠코시, 루

    2022.08.16 15:15:50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2분기 매출 574억 원…역대 분기 최대 매출 달성
  • [돈 되는 해외 주식] 마오타이, 연간 성장률 20%대 기록…“실적에 취한다”

    [돈 되는 해외 주식] 마오타이  중국 주류 기업인 마오타이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대도시 봉쇄 영향에도 불구하고 201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연간 성장률이 20%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순이익은 올해 1분기 연간 성장률인 24%에 이어 2분기와 3분기 각각 22%, 25%로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중국 대형마트의 바이주 매출액은 4월과 5월에도 전년 대비 26%, 40%의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이 회사의 대표적 상품인 ‘비천마오타이 53도’의 매출액은 시장 성장률을 크게 웃돌아 4월과 5월 전년 대비 각각 110%, 136% 성장했다. 도시 봉쇄로 인해 일시적인 하락세를 기록했던 판매가도 현재 5월 초보다 낱병과 박스 기준으로 5%, 9% 상승했다.마오타이는 최근 2년간의 판매 채널 구조 조정이 마무리되고 직판 매출액이 고성장하면서 전사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직판 매출은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전년보다 128% 늘었고 매출 비율은 올해 1분기 역대 가장 높은 34%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16%포인트 높은 수준이다.올해 3월부터 온라인 직판 플랫폼인 ‘i마오타이’를 론칭해 공격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온라인 추첨과 오프라인 픽업 시스템으로 운영 중인 i마오타이 플랫폼은 6월 상하이와 지린 등 2개 도시로 서비스를 확장했고 회원 수는 3개월 만에 1900만 명을 넘어섰다.현재 i마오타이에는 마오타이주 6종, 계열주 3종을 판매하고 있고 i마오타이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천마오타이 100mL의 가격은 399위안(약 7만7400원)으로 기존 500mL 제품 라인 대비 mL당 가격이 33% 높게 판매되고 있다. i마오타이 플랫폼 매출은 올해 2분기 전사 매출에 10% 이상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마오타이

    2022.07.28 06:00:16

    [돈 되는 해외 주식] 마오타이, 연간 성장률 20%대 기록…“실적에 취한다”
  • 인앱 매출 역대 최고...핀테크·게임 등이 주도

    FINTECH NEWS핀테크 매출 고공행진…앱 설치 급증편집자 주  혁신 기술과 금융 산업이 만난 이달의 핀테크 관련 국내외 뉴스를 소개한다. 지난해 핀테크, 전자상거래, 게임 애플리케이션 인앱(In-App) 매출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모바일 마케팅 분석 플랫폼인 애드저스트(Adjust)가 상위 2000개 앱과 추적된 앱의 총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지난 4월 내놓은 연례 모바일 앱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에서 모바일 앱이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코로나19의 대유행과 산업의 급격한 변화 때문에 앱 생태계는 설치와 세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핀테크, 전자상거래, 게임 분야가 두드러진 성과를 냈다. 지난해 금융 앱 매출은 68억 달러(약 8조5880억 원)로 2020년에 비해 88% 증가했다. 금융 앱 다운로드가 미국에서만 5억7310만 건을 기록해 2020년에 비해 19% 늘어났다.같은 시기 구매의 절반 이상(52%)은 디지털 지갑으로 이뤄졌고 2019년 이후 현금 사용은 42% 감소했다. 지난해 북미 지역 사용자들이 꼽은 핀테크 앱의 사용 1순위는 청구서 납부였고, 은행, 세금 신고, 친구에게 송금, 투자, 암호화폐 매매 등이 뒤를 이었다.중국은 모바일 근거리 결제 채택율이 87%에 달하며 해당 분야의 글로벌 선도 국가로서 위상을 보여줬다. 인도는 40%, 한국은 46%, 미국은 43%를 각각 기록했다.세계적으로 핀테크 앱 설치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직전년도에 비해 35%가량 증가했다. 특히 11월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해 2021년 평균 대비 26%, 2020년 대비 82% 늘었다.핀테크 앱 설치량은 모든 지역에서 골고루 성장세를 보였다. 1위는 북미 지역, 2위는 라틴아메리카(LA

    2022.05.26 12:55:00

    인앱 매출 역대 최고...핀테크·게임 등이 주도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1분기 매출 423억…역대 1분기 최대 매출 달성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액티브웨어 브랜드 젝시믹스를 전개하는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역대1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11일 발표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대비 9.8% 상승한 423억 30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주력 브랜드인 젝시믹스의 판매호조가 역대 1분기 최대 매출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젝시믹스의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3.1% 상승한 373억 7500만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38.5% 상승한 37억 6500만원으로 집계됐다.영업이익율도 10.1%를 달성해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거뒀다.젝시믹스는 코로나 엔데믹 기대감 속에 운동과 야외활동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여성 프리미엄 레깅스와 애슬레저 제품이 강화된 맨즈라인의 가파른 매출 상승세가 주효했다고 보고 있다.판매채널 확대도 한몫했다. 일본 법인의 견고한 실적과 더불어 올 초부터 홍콩, 뉴질랜드, 몽골, 대만 등 오프라인 매장 오픈과 중국 법인 신설 등 해외 판매채널을 전방위적으로 확장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관계자는 “리오프닝으로 소비심리가 회복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온·오프라인 채널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확인했다”며 “2분기에는 판매단가가 높은 맨즈라인의 확대와 골프웨어 라인업의 본격화는 물론, ‘국민피티’ 등 자회사의 신규 서비스들을 선보일 예정으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별도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대비 18.7% 증가한 377억 6000만원, 92.6% 상승한 33억 1300만원으로 집계됐다. jinho2323@hankyung.com

    2022.05.11 17:53:01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1분기 매출 423억…역대 1분기 최대 매출 달성
  • 야놀자 2021년 매출 3,784억원·영업이익 536억원 기록···전년比 30% 성장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야놀자의 2021년 매출이 3,784억원을 기록했다. 야놀자가 발표한 연결기준 재무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 연결 매출 3,748억 원으로, 2020년 매출 2,888억 원 대비 29.8% 성장한 수치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536억 원을 기록, 2020년 109억 원 대비 392% 늘었다. 야놀자는 플랫폼 사업의 슈퍼앱 전략 강화와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의 글로벌 확대 등 발 빠른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전략을 통해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해 나가고 있다. 앞으로도 기술력을 기반으로 공간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한편, 슈퍼앱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여가 플랫폼 전략과 클라우드 솔루션 적용 분야를 호텔ㆍ여가ㆍF&Bㆍ주거 등 공간 전반으로 확장해 가며 글로벌 시장을 혁신해 나갈 계획이다.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는 “지속가능한 성장전략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R&D 역량 강화와 인재 육성을 위한 투자 확대가 성장의 배경”이라면서, “앞으로도 혁신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과 솔루션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khm@hankyung.com 

    2022.03.31 09:54:43

    야놀자 2021년 매출 3,784억원·영업이익 536억원 기록···전년比 30% 성장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日 매출 3월 전년비 1.6배 상승… 라쿠텐 1위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액티브웨어 브랜드 젝시믹스는 일본 최대 온라인 쇼핑몰 라쿠텐에서 3월 ‘요가·필라테스웨어’ 부문에서 판매순위 1위를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젝시믹스는 3월 30일 오후 12시 기준, 라쿠텐 ‘요가·필라테스웨어’ 부문에서 월간, 주간, 일간 판매량 모두 1위, 2위를 기록했다.전체 스포츠·아웃도어 카테고리에서도 1,000여개 스포츠웨어 브랜드 제품 중 66위와 68위로 100위 안에 집입하며 상위 7%를 기록했다.이같은 성과에 힘입어 라쿠텐에서의 매출도 전년 동월(3월1일~29일) 대비 1.6배 이상 성장했다.2020년 8월 라쿠텐에 입점한 젝시믹스는 입점 3개월 만에 ‘요가·필라테스웨어’ 부문에서 1위에 오르며, 현지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현재까지도 ‘요가·필라테스웨어’ 부문에서 꾸준히 상위 5위권 내에 2~3개 이상의 제품이 순위에 자리잡고 있다.젝시믹스는 특유의 컬러감과 디자인, 합리적인 가격대를 선보이고 있다는 점과 일본내 법인을 설립하고 결제 시스템, CS센터, 배송 물류 등의 기본 인프라 구축을 체계적으로 갖춰 온 것이 주요한 성장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주문확인부터 상품배송, CS 를 모두 현지에서 신속하게 처리해 고객만족도도 높다.라쿠텐 내 구매리뷰 별점도 5점 만점에 4.78점을 기록 중이다.라쿠텐뿐만 아니라 ‘아마존 재팬’에서도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지난해에는 평점, 리뷰 등을 기반으로 뽑는 아마존 우수 제품 리스트인 '아마존 초이스'에 선정되기도 했다.오프라인에서도 일본 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 2월 요코하마

    2022.03.30 18:24:30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日 매출 3월 전년비 1.6배 상승… 라쿠텐 1위
  • ‘리오프닝 본격 가동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새해 첫 달부터 오프라인 전년비 76% 매출 성장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전개하는 액티브웨어 브랜드 젝시믹스는 새해 첫 달인 지난 1월 오프라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76% 증가했다고 15일 발표했다.오프라인 매출 비중도 크게 늘어 전체 매출의 10% 초반대를 유지하던 예년과 달리 올해 1월에는 약 15%까지 올랐다.전통적으로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하는 온라인 부분에서도 전년대비 45% 이상 성장했다.앞서, 젝시믹스는 지난해 영업이익률 10.4%를 기록하며, 론칭 이후 지속적으로 영업이익률 ‘Double-digit(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젝시믹스는 코로나19 기저효과와 잠재된 소비심리 표출로 온오프라인 모두 고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보고 있다.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응축됐던 소비심리가 기지개를 켜면서, 리오프닝(reopening, 경제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실제 젝시믹스의 해외 매출 실적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젝시믹스 일본법인의 1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9.7%로 크게 증가했다. 2019년 10월 법인 설립 후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일본법인은 지난해 요코하마시의 유명 쇼핑몰에서 팝업스토어를 여는 등 현지 고객과의 접점을 늘려갔다.올해도 긴자, 시부야, 나고야 지역의 대형 백화점 및 쇼핑몰에서 순차적으로 팝업스토어를 열어 일본 시장 입지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젝시믹스는 올해 국내외 다각적인 유통채널 확대로 견고한 매출 성장세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특히, 최근 정부가 코로나19 규제완화에 대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리오프닝에 힘이 실리고 있어, 소비활동 정상화는 물론, 외부 활동과 모임 등이 다시

    2022.02.15 19:03:39

    ‘리오프닝 본격 가동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새해 첫 달부터 오프라인 전년비 76% 매출 성장
  • 국산 의약품 최초 누적 매출 1조 돌파한 한미약품 아모잘탄

    한미약품의 고혈압 치료용 복합 신약 아모잘탄이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제약사가 독자 개발한 전문 의약품 중 최초의 성과다.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총 4종·18개 용량으로 구성된 ‘아모잘탄 패밀리’는 지난해 12월 31일까지 누적 처방 매출 1조9억원을 기록했다. 2009년 6월 출시 이후 12년 6개월 만에 이룬 결과다. 이 기간 누적 판매량은 11억5776만 정이다. 1초당 3정씩 처방된 셈이다.아모잘탄 패밀리는 고혈압 치료용 개량·복합 신약인 아모잘탄(암로디핀+로사르탄), 아모잘탄에 고혈압 치료 성분 클로르탈리돈을 더한 3제 복합 신약 아모잘탄플러스, 아모잘탄에 이상지질혈증 치료 성분 로수바스타틴을 더한 3제 복합 신약 아모잘탄큐, 아모잘탄큐에 이상지질혈증 치료 성분 에제티미브를 더한 4제 복합 신약 아모잘탄엑스큐 등 4종으로 구성돼 있다.아모잘탄 패밀리는 12년여간 한국 의료 현장에서 처방되며 국민건강보험 재정 절감에 기여했다. 한미약품의 집계에 따르면 이 기간 아모잘탄 패밀리 성분 수입약을 단일제로 각각 복용했을 때보다 아모잘탄 패밀리가 2300여억원의 건강보험 재정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아모잘탄 5/100mg의 두 가지 치료 성분을 수입약 단일제로 각각 복용하면 1288원(2021년 보험약가 기준)의 건보 재정이 투입되지만 아모잘탄5/100mg 한 정은 924원으로 정당 364원(약 28%)의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게 한미약품의 설명이다.아모잘탄 패밀리는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MSD는 아모잘탄을 ‘코자XQ’라는 브랜드로 여러 국가에서 판매 중이다. 이는 한국 제약사가 개발한 완제 의약품을 글로벌 제약사가 수입해 각국에 수

    2022.02.03 06:00:11

    국산 의약품 최초 누적 매출 1조 돌파한 한미약품 아모잘탄
  • KG이니시스, 3분기 매출액 2507억 원 사상 최대 매출 올려

    국내 전자결제 시장 선도 기업 KG이니시스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1년 3분기 매출액 2507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6.7% 증가한 기록으로 분기 최대 매출이다. 영업이익은 0.7% 감소한 266억 원으로 집계됐다. 별도 실적은 매출액 1,468억 원, 영업이익 129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5.6%, 7.4% 증가했다.팬데믹으로 비대면 결제시장이 확대돼 본 사업인 PG(Payment Gateway) 실적 증대에 기여했다. 3분기 KG이니시스를 통한 거래액은 전년동기대비 13.3% 늘어난 6.8조 원으로, 고수익 가맹점인 중소형/호스팅 및 글로벌 거래액이 각각 15.5%, 10.6% 증가하며 양적·질적성장을 견인했다.리오프닝 기대에 힘입어 여행/티켓/항공 거래액은 16.0% 늘었고, 1분기 신규 편입된 한샘은 3분기 단일 거래액 1,500억 원을 돌파했다.할리스에프앤비는 2분기 흑자전환 성공 후 흑자기조를 지속했고 KG에듀원은 온라인 교육사업을 중심으로 매출과 수익성 모두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KG모빌리언스는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이는 7월 말 서비스를 개시한 ‘모빌리언스카드’의 초기 마케팅 비용 발생에 의한 것으로 ‘모빌리언스카드’ 충전금액 확대에 따라 4분기 실적향상이 예견된다.회사는 4분기 계절적 성수기를 맞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외 가맹점을 확대하고 오프라인 VAN, 렌탈페이 등 신규사업 역량을 강화해 지속성장의 기틀을 다질 계획이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2021.11.01 11:31:24

    KG이니시스, 3분기 매출액 2507억 원 사상 최대 매출 올려
  • 영화 사라지면 '프로도 효과'도 없다…“지금이 마지막 골든 타임”

    [커버 스토리] 지금의 한국 영화 산업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려면 한국 영화 산업의 특수성을 파악해야만 한다. 한국 영화는 외국에 비해 부가 시장이 작아 극장의 관객 수가 곧 한국 영화 산업의 기반이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극장의 매출이 한국 영화 산업 전체 매출의 약 80%를 차지한다. 이렇듯 극장 매출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구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관객이 급감하자 한국 영화 산업 전체의 붕괴가 시작될 수...

    2021.02.18 09:32:18

    영화 사라지면 '프로도 효과'도 없다…“지금이 마지막 골든 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