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산의 시간’ 맞은 석유와 반도체
글로벌 경제 시장의 화두는 ‘감산’이다. 먼저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가 코로나19 이후 2년 만에 최대 규모의 감산 결정을 내놓았다. 또 메모리 반도체 시장도 혹한기가 이어지면서 주요 메모리 기업들이 생산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하루 200만 배럴 석유 감산10월 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 사태 이후 처음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10월 5일(현지 시간) 대면 형식의 정례 회의를 열고당초 시장 전망보다 감산 규모를 확대한 200만 배럴 감산에 합의했다. 하루 총 생산량은 4185만 배럴로 줄어든다.당초 시장에서는 하루 원유 생산량 100만 배럴을 감산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됐는데, 이보다 2배 더 확대됐다. 이번에 합의된 감산 수준은 2020년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최대치다. 산유국의 감산 움직임은 9월부터 시작됐다. 9월 5일 정례 회의에서 OPEC+는 10월 원유 생산량 목표치를 올해 8월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하루 10만 배럴을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박 등으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자 원유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이에 따라 산유국들은 유가 하락을 저지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생산량을 줄이는 데 합의한 것이다.특히 그 중심에는 ‘러시아’가 있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의 일환으로 오는 12월부터 러시아산 석유 금수 조치를 시행한다. 또 주요 7개국(G7)은 비슷한 시기에 러시
2022.10.07 06:00:03
-
‘삼성·인텔’ 전부 아니다…반도체, ‘슈퍼 을’의 집합소
거래에는 ‘갑(甲)’과 ‘을(乙)’이 있다. 통상 거래 계약 시 구매자는 ‘갑’으로, 납품하는 업체는 ‘을’로 표현된다. 그런데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해 시장을 독점하거나 경쟁사는 많지만 기술 격차가 크다면 이례적으로 납품 업체가 구매자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는데 이들을 ‘슈퍼 을’이라고 한다. 반도체 산업은 대표적인 ‘슈퍼 을’의 집합소라고 할 수 있다.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부품 가운데 ‘핵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슈퍼 을 반도체 기업이 가지는 위상은 다른 부품사와는 큰 차이가 있다. 반도체는 전자·정보기술(IT)뿐만 아니라 금융·자동차·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으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어 영향력이 더 커지고 있다. 슈퍼 을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하지 않았지만 수십년 반도체 시장에서 강자 자리를 지키고 있는 기업도 다수다. 메모리 시장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만 있는 게 아니고 비메모리 시장에는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회사) 1위 기업인 TSMC만 있는 게 아니다. 메모리뿐만 아니라 반도체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비메모리 분야 그리고 장비업계에도 쉽게 접하지 못한 다양한 기업이 있다. ◆ ‘절대 강자’ ARM, 시장점유율 90%…파운드리 세계 3위 ‘UAM’대표적인 슈퍼 을 기업은 최근 삼성전자와 인수·합병(M&A)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심을 받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업체 ‘ARM’이다. 1990년 설립된 영국의 팹리스 회사로, 자체 설계 라이선스를 여러 반도체 회사에 판매하는 것이 주요 사업이다. 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022.10.04 06: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