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기억에 해시태그 '#힘들었지만 대견해'
[한경 머니 기고 = 윤대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의학과 교수] 친한 선배가 오랜만에 재래시장에서 소주 한 잔 기울이자고 해서 한 음식점에 방문했다. 음식점 대기가 길어 놀랐고, 평균 연령을 확실히 올리는 것이 우리인 것을 알고 또 놀랐다. 바로 다음 주 그 음식점에 맛집 소셜미디어를 운영하는 유명 가수가 방문한 후 영상을 올렸다고 해 신기하기까지 했다. 추억을 되살리려고 간 것인데 동시에 ‘인싸’가 되는 묘한 경험을 했다. ‘뉴트로’는 뉴(new)와 레트로(retro)의 합성어다. 젊은 세대에게 복고 문화는 ‘향수’가 아닌 ‘새로운 문화 경험’이라는 데 일리가 있다.디지털 음원으로 주로 음악을 즐기는 시대에 사라져 버릴 줄 알았던 ‘레코드판’이 다시 뜨고 있다. 레코드판 세대가 향수를 못 잊어서 다시 찾아서인가 싶었는데, <아날로그의 반격>이란 책을 보면 그 반격을 이끄는 세대는 젊은 층이다. 실제로 레코드판 전문점에 가보면 젊은 층이 주 고객이다. 연인들이 레코드플레이어 앞에서 헤드폰을 끼고 다정히 음악 감상을 하는 것을 보게 된다. 아날로그의 반격은 ‘맛’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미식과 관련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검색해보면, 노포(老鋪) 마니아들이 눈에 띈다. 이들은 최소 20년에서 심지어는 90년이 된 노포, 즉 오래된 가게들만 찾아다니며 정보를 공유한다. 자기 나이보다 더 오래된 가게를 즐기는 젊은이들이 상당수다. 5년 전만 해도 노포에서 회식하자고 하면 싫어하는 젊은 후배들이 많았는데 지금은 핫 플레이스가 돼 버렸다. 원래 그곳이 단골이었던 어르신들은 젊은 사람들이 많이 방문해 자리가 없다며
2022.11.01 12:3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