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NH올원뱅크, 앱 하나로 금융부터 생활까지 해결

    [스페셜 리포트-2023 모바일 뱅킹 평가]2016년 출시된 NH올원뱅크는 단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금융부터 생활까지 간편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NH농협금융의 대표 플랫폼이다.농협은 지난해 1월 기존 앱에서 한 단계 진화한 ‘뉴 NH올원뱅크’를 출시했다 ‘뉴 NH올원뱅크’는 은행권 뱅킹 앱 최초로 서비스형 플랫폼(PaaS) 기반의 클라우드 시스템과 마이크로소프트 아키텍처(MSA)를 사용해 안정성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기존 앱 대비 사용 속도가 30% 이상 빨라졌다.‘뉴 올원뱅크’는 실물 일회용 비밀번호(OPT) 도입을 통한 송금 한도 확대(1회 1억원, 1일 5억원), 모바일 제증명서 신청, 펀드 및 퇴직연금 등 송금 가능 계좌 확대, 계좌 비밀번호 변경, 한도 제한 해제 등 고객들이 자주 사용하는 영업점 업무를 모바일 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확대됐다.특히 올원뱅크는 3월부터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타행 이체 수수료 완전 면제를 시행하고 있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사회적 변화에 맞춰 금융 소비자 권익 보호에 앞장서고 사회 공헌을 통해 고객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협 계열사의 모든 서비스를 올원뱅크를 통해 시행하는 것은 올원뱅크를 개발하면서 농협이 중점에 둔 사안이다. 이에 따라 주식 매매를 비롯한 증권, 보험금 청구, 대출 신청 등 다양한 계열사의 서비스를 올원뱅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앱을 이동할 때는 자동 로그인과 간편 회원 가입으로 접근성을 개설했다. 또 해외 결제의 경우 전 세계 41개국에서 QR코드만으로 간편하게 결제가 가능하다. 올원뱅크는 주고객층을 고려해 조회·이체 등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구성하고

    2023.05.29 06:00:19

    NH올원뱅크, 앱 하나로 금융부터 생활까지 해결
  • 하나원큐, 뛰어난 연계성으로 모바일 뱅킹족 공략

    [비즈니스 포커스-은행앱]하나은행의 대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하나원큐’는 ‘종합 금융 플랫폼’이라는 목표와 함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하나원큐는 은행권 최초로 얼굴 인증 서비스를 도입했다. 스마트폰 종류와 상관없이 얼굴 인증만 하면 1초 만에 로그인할 수 있다. 로그인만 하면 공동 인증서, 보안카드, 일회용 비밀번호(OTP) 없이 쉽고 빠른 이체할 수 있다.운영 시간 제한 없이 얼굴 촬영만으로 실명 확인이 가능한 ‘비대면 실명 확인 얼굴 인증 서비스’도 개시했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면 인식 솔루션을 통해 신분증 사진과 고객의 얼굴을 빠르게 대조해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다.또 하나원큐는 여러 은행에 흩어진 계좌를 관리하고 이체할 수 있는 오픈 뱅킹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타행·보험·증권 등 모든 금융회사의 금융 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자산 관리 서비스도 진행 중이다.특히 뛰어난 연계성은 하나원큐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힌다. 하나원큐는 하나금융그룹 관계사들과 연계해 주식 거래, 보험 진단, 카드 거래 등 다양한 금융 거래를 통합 인증(SSO : Single Sign On)으로 이용할 수 있다.SSO는 별도의 앱을 다운 받지 않고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관계사들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를 통해 주식을 추천받을 수 있고 해외 주식도 매입할 수 있다. 가입한 보험을 분석하고 부족한 보장도 추천받는다. 카드 내역 조회와 신청도 할 수 있다.하나은행 관계자는 “모든 그룹 금융 관계사들의 거래를 하나원큐 앱 하나로 이용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향후에도 하나원큐는 고객

    2022.05.04 06:00:49

    하나원큐, 뛰어난 연계성으로 모바일 뱅킹족 공략
  • 카카오뱅크, 고래로 우뚝 설까…상장 후 남은 과제

    [비즈니스 포커스]출범 5년 차인 인터넷 전문 은행 카카오뱅크가 메기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대중적 플랫폼인 카카오톡을 활용한 비대면 채널로 소비자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며 시중은행들을 위협하고 있다. 위기감을 느낀 전통 은행권은 과거 대면 영업 위주의 영업 방식을 벗어던지고 디지털 접점을 활용해 먼저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영업으로 무게 중심을 옮겼다. 소비자들이 은행에 가지 않아도 스마트폰 하나로 계좌를 개설하고 송금하고 대출을 받는 게 당연한 시대가 됐다. 이제 카카오뱅크는 한국 주식 시장 상장을 통해 ‘메기’에서 ‘고래’로의 변신을 꾀한다. 카카오뱅크의 여·수신 규모는 시중은행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지만 시장의 기대치는 선두권을 달리고 있다.  어떻게 메기가 됐나카카오뱅크는 어떻게 금융 소비자들을 홀렸을까. 이들은 스마트폰에 익숙한 2030세대를 우선 공략했다. 카카오뱅크가 내놓은 서비스를 보면 기존에 없던 상품이 아니다. 있던 상품을 ‘잘’ 판매하기 위해 직관적인 애플리케이션(앱) 디자인을 구성하는 한편 간단하고 빠르게 계좌를 만들고 송금하는 서비스를 선보이며 경제의 핵심 축으로 성장한 밀레니얼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또 이들 세대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일상을 공유하는 부분에 주목했다. 출범 1년 만에 내놓은 26주적금 상품이 대표적이 예다. 26주적금은 10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1만원 가운데 하나를 첫 주 납입 금액으로 선택하면 매주 그 금액만큼 증액해 적금하는 서비스다. 매주 납입에 성공하면 카카오프렌즈 캐릭터가 일정표에 채워지고 적립에 실패하면 일정표가

    2021.08.09 06:00:10

    카카오뱅크, 고래로 우뚝 설까…상장 후 남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