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임장생활기록부 5]재건축 물량 쏟아지는 목동은 지금

    부동산라이브 리포팅 임장생활기록부 5 - 서울 목동 임장(臨場), 발품을 팔아 관심 있는 지역을 꼼꼼히 탐방하는 것이죠.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전달하는 코너 <임장생활기록부>. 이달엔 서울 목동에 다녀왔습니다. 14개 신시가지 단지를 둘러보면서 정비사업 상황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서울의 3대 재건축 동네' 하면 압구정, 여의도, 목동이 꼽히죠. 목동에 있는 신시가지 단지 14곳  전부 재건축 연한을 넘겼고, 일제히 정비사업에 돌입했습니다.목동은 '소규모 도시'를 연상시킵니다. 1980년대 후반 국내 최초의 공영 개발 방식으로 신시가지 단지 14개, 총 2만6000가구를 건설했습니다. 일방통행 도로를 중심축으로 옆에 상업시설과 행정지구를 배치했으며 보행로가 넓고 공원이 많습니다. 단지마다 시공사와 평면, 조경 등도 달라요. 바깥쪽 동은 높고 안쪽은 낮게 배치하는 등 치밀하게 설계해서 오래됐는데도 촌스럽다는 느낌이 덜합니다.국회대로를 기준으로 위쪽인 1단지부터 7단지를 '앞단지', 아래쪽인 8단지부터 14단지를 '뒷단지'로 구분합니다. 사실 행정구역상 앞단지는 양천구 목동이고, 뒷단지는 신정동이지만 부동산 시장에서 목동은 신시가지 14개 단지를 통칭합니다. 목동은 '핵심부'가 중요합니다. 핵심부엔 현대백화점 같은 중심상권과 대형 학원, 목운초와 목운중 등 인기 학교가 있습니다. 앞단지가 핵심부에 가깝고, 시세에도 반영됩니다.철도망은 2호선(지선)과 5호선, 9호선이 있습니다. 여의도와 광화문 등 서울 주요 업무지구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서울의 대표적인 학군지이자 사교육의 메카이기도 합니다. 대치동에 이어 서울에서 두 번째로

    2024.01.29 08:09:33

    [임장생활기록부 5]재건축 물량 쏟아지는 목동은 지금
  • '중계·목동·명일' 학원 매출 다 합쳐도 ‘대치1동’ 못 따라간다

    서울시에서 학원 밀집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대치1동으로 나타났다. BC카드는 9월 기준으로 서울시 내 426개 행정동을 분석한 결과 대치1동의 학원 밀집도가 6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 결과는 가맹점 개설이 가능한 기준 면적(100㎡) 당 업종 밀집도를 산출한 결과, 해당 지역 내 가맹점이 영업할 수 있는 전체 면적 중 61.8%가 학원 업종과 관련된 가맹점이 영업 중이라는 의미다. 대치1동은 2020년 61.3%, 2021년 61.7%, 2022년 60.6%로 지난 4년 간 60% 이상을 유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특히 대치1동은 기준 면적 당 학원 업종 관련 매출액 상위 10개 행정동 중 대치1동을 제외한 9곳의 합계보다 약 4배 많았다. 여기에 주변 상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제과점 등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업종이 서울 전체 구역의 건당 평균 매출액보다 대치1동의 매출액이 35.1% 높았다. 한편, 대치1동에 이어 목5동(47.9), 중계1동(42.7), 대치4동(40.1), 명일제2동(3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11.07 08:15:45

    '중계·목동·명일' 학원 매출 다 합쳐도 ‘대치1동’ 못 따라간다
  • '3대 대못' 풀어도 호재 누린 단지 없다…목동·상계 집값 잠잠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하나둘 풀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조정대상지역을 대거 해제하고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택 담보 대출을 허용했다. 재건축을 가로막던 ‘3대 규제’도 완화됐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과 양천구 목동이 가장 큰 수혜 단지로 꼽힌다. 노원구 상계주공은 16개 단지 중 5단지, 양천구 목동신시가지는 14개 단지 중 6단지만 안전 진단을 통과했고 일부 단지는 공공기관 적정성 검토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위축된 수요로 주택 가격은 계속 하락 중이다.12월 15일 한국 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12일 기준 양천구 아파트 매매 가격 하락률은 0.47%로 최근 6주를 통틀어 하락률이 가장 컸다. 노원구는 0.98% 하락했는데, 월계·상계동 구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12월 8일 재건축의 첫 관문인 안전 진단 기준이 크게 낮아졌음에도 최대 수혜 지역의 하락 폭은 오히려 커졌다.분양가 상한제와 재건축 초과 이익 환수제에 이어 안전 진단 문턱이 낮아지면서 재건축을 가로막는 ‘3대 대못’이 모두 수술대에 올랐지만 부동산 빙하기를 녹이기엔 역부족이었다. 정부가 앞선 6월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들이 최대 4%까지 분양가를 올려 받을 수 있게 했고 9월에는 재건축 부담금 면제 기준을 3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올리는 '재건축 부담금 합리화' 망안을 마련했지만 두 제도의 폐지나 대폭 완화를 원했던 시장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안전 진단 기준까지 완화됐지만 주택 담보 대출 금리가 8%에 육박하면서 정부의 규제 완화 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재건축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도 시장이 관망세인 이유다. 안전 진단을 통과하더라도 정비구

    2022.12.19 06:16:37

    '3대 대못' 풀어도 호재 누린 단지 없다…목동·상계 집값 잠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