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윗’과 ‘골리앗’의 대결…폭풍 성장 밀키트 시장 승자는
[스페셜 리포트]‘집밥’ 열풍이 불면서 밀키트 시장이 폭풍 성장하고 있다. 2017년만 하더라도 20억원대에 불과했던 시장이 지난해 약 2000억원이 됐다. 불과 4년 동안 100배 가까이 시장이 커졌다.이런 흐름에 발맞춰 시장 내 경쟁도 점차 치열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현재 밀키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들의 면면을 보면 놀랍다. 업력이 10년도 채 되지 않은 스타트업이 시장을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밀키트 시장의 잠재력에 뒤늦게 주목한 식품 대기업들은 ‘후발 주자’로 사업에 뛰어들어 이들과 본격적인 경쟁을 펼치고 나섰다. 식품업계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밀키트 시장을 두고 스타트업과 대기업, 이른바 ‘다윗’과 ‘골리앗’의 치열한 점유율 싸움이 시작됐다.불과 4~5년 전만 하더라도 소비자들에게 생소하기만 한 단어였던 밀키트는 이제 하나의 새로운 카테고리를 형성할 만큼 시장이 커졌다.식품업계에 따르면 밀키트의 대략적인 시장 침투율(1년에 한 번 이상 밀키트를 구매한 소비자 비율)은 10% 정도로 추산된다. 10명 중 한 명 이상이 1년 내 밀키트를 구매한 경험이 있다는 얘기다.‘햇반’과 같은 즉석밥의 시장 침투율이 35% 정도인 것을 감안할 때 소비자들의 밥상 위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식품업계 변방에서 중심으로 자리를 이동 중이다.그 배경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집밥’ 열풍이 자리한다. 외식 기피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집에서 간편하게 건강한 한 끼를 해결하려는 수요가 크게 늘었다. 신선한 식재료를 먹기 좋은 형태로 담아 주는 밀키트는
2021.06.16 06:19:01
-
'집밥의 대체자' 된 밀키트…프레시지, 뉴 트렌드 꿰뚫며 두 배 성장
[커버 스토리] 2020년은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확산으로 외식 대신 집밥을 즐기는 문화가 자리잡은 해였다. 이에 따라 식품 시장에서는 ‘밀키트(meal-kit)’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업계에서는 밀키트 시장이 지난해 2000억원에 이어 올해는 3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밀키트 시장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는 프레시지에 지난해는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해였다. 프레시지가 자체 생산한 밀키트...
2021.02.24 14:38:34
-
[2021 한국소비자만족지수 1위] 밀키트 유아용품 브랜드, 맘마유(MammaYou)
맘마유(MammaYou)가 ‘2021 한국소비자만족지수 1위’ 유아용품(이유식) 부문을 3년 연속 수상했다. 한국소비자만족지수 1위는 소비자가 각 분야별 상품과 서비스의 만족도를 직접 평가하고, 추천해 미래지향적인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맘마유농업회사법인은 2011년 ‘밀키트’라는 단어조차 생소하던 시기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유식 분야에서 밀키트 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해온 이유식 전문 ...
2021.02.18 10:31:24
-
열혈쭈꾸미, '열혈쭈꾸미' 밀키트 와디즈 첫 런칭
[한경잡앤조이=조수빈 기자] 열혈쭈꾸미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를 통해 쭈꾸미 밀키트를 런칭한다. 소비자들은 열혈쭈꾸미 매장에서 실제로 판매하는 쭈꾸미 3인분을 합리적인 가격인 12500원에 만나볼 수 있다. 열혈쭈꾸미는 전국 어느 매장에서든 매장과 같은 제품을 만나볼 수 있도록 이번 밀키트를 출시했다. 오징어볶음, 낙지볶음에 비해 타우린 함량이 2~5배 많은 건강식인 쭈꾸미를 제철에 합리적인 소비자가로 구매할 수 있게 기간 한정으로 가격...
2021.02.09 16:2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