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게 찐 복지제도지” 카카오, 삼성도 구독한 현실 복지 서비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고물가 시대, 직장인들의 지갑사정이 여의치 않아진 지 오래다. 5000원이 넘는 커피값이 부담스러워 거리가 멀어도 2000원 미만인 프렌차이즈 커피숍에 길게 줄을 늘어선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직원들이 원하는 구독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이 인기다. 커피부터, 식당, 간식까지 직원들의 니즈에 맞는 구독 서비스로 현실 복지를 실천하고 있다. 하루 2~3잔 마시는 커피, 회사에서 쏜다 ‘원두데일리’직장인의 소울푸드 커피는 어느 회사나 비치돼 있지만 쉽게 손이 가지 않는 회사 비품이다. 하지만 퀄리티 높은 원두로 내린 커피를 즐길 수 있다면 최고의 복지가 아닐까. 최근 질 높은 원두로 만든 다양한 맛의 커피구독이 인기다. 원두데일리는 ‘유명 카페의 커피를 사무실에서 마신다’라는 콘셉트로, SNS에서 회자되는 프릳츠, 커피리브레, 테일러커피, 보사노바 커피, 커피그랜디피, 커피렉, 빈브라더스, 인크(INC) 커피, 타바론 등 인기 카페의 로스팅 원두 100여종을 구독 상품으로 제공한다.최상의 커피 맛을 추출할 수 있도록 유라, 프랑케, 일리 등 가격대별로 다양한 프리미엄 전자동 커피 머신도 렌탈 가능하고, 원두와 머신을 따로 구입할 필요 없이 원두데일리에서 한 번에 신청 가능하다. 여기에 직원 수, 로스팅 원두에 따라 가격이 다르지만 아메리카노 한 잔을 평균 300~900원에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독료는 최소 5만 원부터 최대 월 1천만 원까지 원두 종류와 수량, 커피머신에 따라 다양하다.2021년 원두데일리 매출은 브랜드를 출시한 2020년 대비 322% 증가했다.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을 뜻하는 리텐션(retention) 비율은 99%
2022.09.02 09:38:32
-
‘이것’ 있으면 스타트업 이직한다···우리 회사에 꼭 필요한 복지제도는?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직장인들이 가장 만족하는 사내 복지제도는 무엇일까. 인크루트가 직장인 885명을 대상으로 사내 복지제도 중 가장 만족스러운 것을 물은 결과, ‘식사 또는 식대 제공’이 1위에 꼽혔다. 이어 온·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해 연중 간편하게 원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복지포인트’였다. 3위는 ‘자율복장’이 꼽혔다.회사에 도입되기를 희망하는 사내 복지제도에는 ‘주 4일제(23.4%)’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재택근무 시행(7.3%)’, ‘탄력근무제(7.1%)’ 등을 꼽았다. 응답자들은 물품 또는 서비스를 증정 제공하는 것보다 근무형태 개선 차원의 복지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반면, 가장 의미 없다고 판단되는 사내 복지로는 ‘자사 제품 및 서비스 할인(12.3%)’가 1위였다. 이어 ‘수면실 운영(11.4%)’, ‘호텔 및 리조트 할인(10.7%)’, ‘PC 오프제도(10.5%)’, ‘별도 승인 없는 연차 사용(5.9%)’이 꼽혔다.그렇다면, 응답자들은 현재 본인 회사의 복지제도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 매우 만족한다는 의견이 4.8%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만족(41.6%) △대체로 불만족(34.6%) △매우 불만족(19.0%)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응답자는 46.4%인 반면 그렇지 않은 응답자는 53.6%로 사내 복지에 불만을 느끼는 사람들이 더 많았다. 그 이유로는 복지 혜택이 미미함(55.7%)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 타사와 비교해 사내 복지 프로그램 개수가 부족함(28.3%)도 있었다.최근 국내 IT기업에서는 전면 재택근무와 주 4일제, 여행지에서 근무하는 워케이션 (Work+Vacation) 등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복지제도를 도
2022.05.10 10:0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