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뉴스] 줄서기 대행부터 위스키 리셀까지… MZ세대의 이색 부업 리스트
고물가·고금리 시대에 들어서면서 부업에 뛰어드는 N잡러들이 많아졌습니다. 젊은 층도 예외는 아닙니다. 한경비즈니스 설문조사 결과, 20~30대 응답자의 95.2%가 ‘향후 부업 계획이 있다’라고 답했죠.MZ세대는 같은 연령대의 일상 속 니즈와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해 다양한 이색 부업으로 탄생시키고, 이를 통해 꾸준히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식테크(식물 재테크)코로나 사태 이후 홈가드닝에 관심을 두는 이들이 많아지며 식물 시장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반려 식물을 키우는 이른바 ‘식집사’들이 늘어나면서 ‘몬스테라 알보’와 같은 희귀종의 가격은 더 높게 치솟게 됐죠. 식물을 잘 키워 중고 거래 앱 등에서 비싼 값에 되파는 식테크가 인기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잎, 줄기만 하나씩 떼어 판매할 수 있으므로 식물만 건강하게 잘 키운다면 지속해서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위스키 재테크홈술, 홈파티가 팬데믹 시대의 대표 문화로 자리 잡았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위스키 소비량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잠실 롯데백화점에 들어온 2억 5,000만 원짜리 위스키는 전시되자마자 판매되기도 하는 등 지갑을 아낌없이 여는 모양새입니다. 발베니와 맥켈란 등 인기 품목은 품귀 현상을 빚으며 리셀 평균 가격이 약 2배 이상 뛰었습니다. 이에 따라 ‘오픈 런’을 통해 인기 위스키를 구매한 후, 재판매를 하는 등 재테크로 활용하는 젊은 층이 늘었습니다.줄서기 대행명품 매장이나 유명한 맛집, 심지어 콘서트 입장을 위해 줄을 대신 서주는 아르바이트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줄서기 한 건당 3~5만 원으로
2022.09.01 18:02:46
-
95.2% "향후 부업 할 계획 있다" 가장 선호도 높은 부업은? [2030 서베이 부업 편]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지속되자 본업 이외 부가적인 수입을 찾아 나서는 N잡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부업을 하는 인구는 지난 5월 기준 약 63만 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년간 수치를 살펴보면 2020년 47만 명, 2021년 56만 명으로 매해 증가해왔습니다.20~30대 부업자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업만으로는 집 한 채 마련하기 힘든 경제 상황에서 '무지출 챌린지'를 통해 일상 비용을 아끼고, '부업'을 하며 적극적으로 추가 수익을 창출하는 거죠. 또,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희미해진 젊은 층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합니다.3명 중 한 명은 N잡러한경비즈니스가 20~30대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3명 중 1명(29.3%)은 본업 이외에 부업을 하는 N잡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중 절반 이상(50.9%)은 부업을 2개 이상 병행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현재 부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들 중 부업에 관심이 있다고 밝힌 비율도 93.2%에 달합니다.67.3%, 온라인으로 부업 진행67.3%가 온라인으로 부업을 진행한다고 답했습니다. 그중 '앱테크(40.8%)'로 수익을 창출하는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그다음으로 SNS 크리에이터(28.5%), 재능 판매(26.5%), 배달 라이더(22.4%) 순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하객 알바', '번역 알바', '유튜브 영상 편집', 'SNS를 통한 의류 판매', '휴대전화 액세서리 제작 및 판매' 등의 부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75.4%, 코로나 이후 부업 시작, 38.7% "본업만으로는 생활비 부족"N잡러의 75.4%가 코로나 사태 이후 부업을 시작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중 코
2022.08.25 16:27:45
-
'왜 이걸 몰랐지? 생각보다 쉬운 부업' 배달·심부름보다 뜨는 '긱(Gig)' 부업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남녀노소 불문하고 메신저는 일상생활이 됐다. 특히 이모티콘은 말로는 표현하기 애매한 감정이나 상황을 대신해주는 제 2의 언어로 손꼽힌다. 최근에는 이모티콘 종류가 다양화되며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각자의 개성과 취향을 나타낼 수 있는 일종의 자기표현 도구로도 인지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이모티콘을 유료로 구매해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졌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해 12월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전국 만 19세-59세 성인 남녀 1,000명 대상 ‘이모티콘 이용 경험 및 이모티콘 구독 서비스’ 관련 설문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 중 85.8%가 모바일 이모티콘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70.5%가 유료 이모티콘 구입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4년(21.1%)과 2015년(31.3%) 조사 결과에 비해 크게 성장한 수치다. 유료 이모티콘의 구매 이유로는 ‘더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갖고 싶어서’가 57.2%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이모티콘을 구입하고 싶어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가량(50.1%)이 맥락과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모티콘을 구입하고 싶다고 답했다.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관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인기 캐릭터의 경우 굿즈, 인스타툰 제작 등 활용 범위가 확장되며 캐릭터 IP시장도 활성화돼 ‘이모티콘 작가’가 부업 또는 새로운 직종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추세다. ‘이모티콘 작가’ 부업 및 새로운 직업으로 부상 7월 초 클래스101이 발표한 상반
2022.08.10 08:57:34
-
직장인 부업, 배달보다 OO 더 많이 한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팬데믹 이후 직장인들의 용돈과 부업 현황은 달라졌을까. 인크루트의 휴먼클라우드 플랫폼 뉴워커는 직장인의 용돈 현황과 개인경제 부담 정도, 그리고 부업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직장인 8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2022년 직장인의 한 달 평균 용돈을 조사한 결과, 평균 61만 7,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전 시점인 2019년 조사 결과(66만 3,000원)와 비교 시 약 5만원 정도 적게 나타났다.그렇다면, 결혼 여부에 따라 용돈의 규모도 달라질까. 응답자의 결혼 여부와 한 달 용돈 규모를 파악하고 이를 교차 분석한 결과, 미혼자의 한 달 평균 용돈은 71만 2,000원으로 나타난 반면, 기혼자의 평균 용돈은 49만 8,000원으로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약 30% 이상 많았다.개인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출 항목은 무엇일까. 가장 높은 지출 항목은 △식비(73.3%)로 나타났다. 이어 △교통비 및 유류비(39.3%) △취미 또는 문화생활비(35.3%) 순으로 나타났다. 고물가와 더불어 최근에는 고금리 상황까지 겹쳐 생계비 부담은 더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현재 개인경제에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 응답자에게 물어본 결과, 많이 부담(32.5%), 약간 부담(46.4%), 보통(14.3%), 대체로 부담되지 않음(4.9%), 전혀 부담되지 않음(1.9%) 순으로 나타났다.응답자의 약 80%는 현재 고물가, 고금리 상황으로 개인경제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또 응답자에게 부업을 해본 경험이 있는지 물었더니 응답자 10명 중 4명(41.4%)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부업업종으로는 △테스트, 리뷰(22.7%)가 가장 많았다. 이어 △배달, 운송, 운반(21.4%) △행사 이벤트 스태프(8.8%) △데이터 라벨링(7.7%) 등을 꼽았다.고물가, 고
2022.06.02 10:5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