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리 인상 나선 한국은행…주식 시장에 호재일까

    [머니 인사이트]“불황은 너무 많은 가계 부채를 양산하는 금융 시스템 때문에 발생한다.” 경제학자 아티프 미안 프린스턴대 교수와 아미르 수피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가 공저한 ‘빚으로 지은 집(House of Debt)’에서 인용한 글이다. 가계 부채에 의존한 성장은 매우 위험하다는 점을 강조한 책이다. 주택 시장이나 자산 시장이 멈칫하면 경제 주체는 이를 반영해 신용 팽창을 멈추기 때문에 불황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불황은 사람이, 아니 부채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지난 수차례의 금융 위기에서 얻은 교훈에도 지금의 세계 경제는 30년 전, 아니 10년 전보다 훨씬 더 많은 레버리지를 사용하고 있다.금리 인상은 체력이 뒷받침될 때 가능한국의 가계 부채는 지난 6월 기준 1800조원을 넘어섰다. 2019년 말 1600조원에서 1년 반 만에 200조원이 증가한 것인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증가세가 더욱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위기 극복 과정에서 확대된 유동성이 이른바 ‘영끌’과 ‘빚투’라는 이름으로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 유입되면서 나타난 결과다.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933조원으로 가계 부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3%에 달한다. 전 세계적으로 스위스·덴마크·캐나다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가계 부채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이다. 최근 1년간 한국 가계 부채 증가율은 10.3%를 기록했고 특히 마이너스통장으로 대표되는 신용 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12.5%로 통계 편제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급기야 금융 당국이 가계 부채의 고삐를 더욱 강하게 죄기 시작했다. 고

    2021.09.07 06:00:01

    금리 인상 나선 한국은행…주식 시장에 호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