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 골칫덩어리 된 영국 [‘해’가 지는 영국①]
[비즈니스 포커스]“물가가 너무 치솟고 있어요. 전등을 끄거나 식사 횟수를 줄이고 있습니다. 이제 겨울인데 난방 켜는 것도 미루고 있어요.”개발도상국의 이야기가 아니다. 전 세계에 식민지를 거느리면서 ‘해가 지지 않는 나라’로 불렸던 영국의 이야기다.영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1% 올랐다. 7월에 이어 또다시 40년 만에 최대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식품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를 끌어올렸다. 영국 소비자 단체 위치(Which)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80%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약 50%가 경제 위기 전에 비해 건강하게 먹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했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끼니를 거르는 아이들도 늘었다. 90만 명의 어린이가 정부 무료 급식에 추가로 등록했다. 2020년 말엔 유니세프(UNICEF : 유엔아동기금)가 굶주리는 영국 어린이들을 위해 긴급 대응에 나섰다. 유니세프가 영국을 지원한 것은 1946년 설립 이후 처음이다.영국 전국교장협회(NAHT)은 에너지와 위기와 인플레이션 여파로 영국 학교 10개 중 9개가 내년 예산 고갈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했다. 올해는 50% 정도가 적자 예산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영국 전기‧가스 요금은 4월에 54%, 8월에 다시 80%가 올랐다. 1년 새 3배 가까이 뛰었다. 영국 공영방송 BBC가 41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명 중 9명은 전등을 끄거나 난방을 켜는 것을 미루고 있다고 답했다. 고공 행진하는 전기·가스 요금에 견디다 못한 영국인들은 10월 1일(현지 시간) 50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위를 벌였다. 잉글랜드 남부 플리머스에서 스코틀랜드 애버딘에 이르기까지 수천 명이 참가한 이날 시위는 최
2022.11.01 06: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