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주목받는 ‘갯벌’

    [ESG 리뷰]기후 변화를 막는 탄소 흡수원으로 최근 삼림보다 바다가 더 주목받고 있다. 해양 생물의 광합성을 통한 탄소 흡수원 기능을 일컬어 ‘블루 카본(blue carbon)’이라고 한다. 삼림을 일컫는 그린 카본(green carbon)과 구별한 말이다. 2009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보고서에서 열대 해양 식생 숲에 주목하며 등장한 블루 카본 개념은 2013년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갈대나 칠면초 등 염습지, 해양에서 자라는 나무인 맹그로브, 해초인 잘피가 탄소 감축원으로 인정되며 주목받았다. 삼면이 바다인 한국도 블루 카본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김종성 서울대 교수팀이 2017~2020년까지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약 2500㎢로 세계 5대 갯벌인 한국의 갯벌은 약 1300만 톤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고 매년 자동차 11만 대가 배출하는 2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다만 맹그로브 숲 등 해양 식물 일부에만 적용되는 블루 카본 인정 범위를 넓혀 갯벌을 신규 탄소 흡수원으로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는 일이 최우선 과제다. 지난 5월 10일 블루 카본 기반 기후 변화 적응형 해안 조성 기술개발 연구단(블루카본연구단)은 서울대에서 전문가 워크숍을 열고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블루카본연구단은 해양 생태계의 신규 탄소 흡수원을 발굴하고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진행한다. 이 연구에는 5년간 412억원의 연구비가 투입된다. 삼림보다 흡수가 빠른 블루 카본블루 카본은 지난 5월 3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새 정부의 110대 국정 과제 중 탄소 흡수원 확대 분야에 포함됐다. 현재 산림 위주로 진행되는 자연 기반 탄소 흡수원에 바다(갯벌과 해양 생물)를 포함해 온실가스

    2022.06.17 06:00:01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주목받는 ‘갯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