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에서 영감 얻은 ‘소울바운드 토큰’ 제시한 이더리움 창시자[비트코인A to Z]
올해 5월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새 논문을 발간했다. 이는 ’탈중앙화 사회 : 웹3의 영혼을 찾아서(Decentralized Society : Finding Web3’s Soul)’라는 제목이다. 그는 사회적 정체성을 표현하기 어려운(혹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웹3의 결점을 보완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소울바운드 토큰(Soulbound Token, 이하 SBT)의 개념을 제시했다.웹3 생태계는 태동한 지 10년도 안 돼 스마트 콘트랙트, 작업 증명(PoW), 지분 증명(PoS) 등의 개념들을 등장시키며 전례 없는 독자적인 개방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웹3는 신뢰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를 표현하기보다 이전 가능한 금융 자산을 표현하는 데 집중하며 발전했다. 이러한 특성은 거래를 통해 생성되는 경제적 가치가 인간 그 자체와 서로 간의 상호작용에서 기원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웹3 생태계가 더 이상 확장하지 못하고 한계에 부닥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다.비탈릭 부테린이 제시한 SBT은 유명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아이템 ‘소울바운드’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특정 지갑 소유자의 신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전송 불가능한 혹은 ‘귀속’된 토큰이다.그렇다면 현재 웹3에는 정확히 어떤 문제들이 있고 SBT는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웹3의 맹점을 보완할 수 있을까.웹2 없이는 지속 불가능한 웹3 생태계‘사회적 정체성의 부재’는 탈중앙화의 실현을 목표로 태동한 웹3 생태계가 그 자체로 구동하지 못하게 만들고 중앙화된 웹2 인프라에 의존하게 만드는 역설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다음의 사례에서 이러한 경향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표1>의 사례 외에
2022.07.27 06:03:01
-
‘암호화폐 혹한기’ 이끈 루나, 사기일까 실패일까[비트코인 A to Z]
2022년 5월은 코인 역사에 기록될 한 달이었다. 무서운 속도로 생태계를 확장하던 루나와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테라 USD(UST) 페깅이 깨지면서 루나는 최고점 대비 99% 이상 폭락했다. 1달러에 고정돼 있던 UST 가격도 0.1달러를 밑돌았다.루나-UST 사태로 인해 시장이 폭락했고 언론은 ‘코인판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터졌다’며 이 사건을 대서특필했다. 필자에게는 고통스러운 한 달이었다. 왜냐하면 이 사태로 피해를 본 주변 사람들이 많았고 이 여파가 시장에 미치는 파괴력 또한 어마어마했기 때문이다. 침착하게 현 상황을 진단하고 베어장(하락장)을 어떻게 대비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 글을 쓴다.비관론자 조롱했던 루나 추종자들 루나-UST는 분명 주목받을 만한 실험이었다. 루나 생태계는 ‘루나틱(Lunatic)’이라는 열렬한 지지자들을 낳으며 글로벌 코인 시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무수한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이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UST는 영향력을 확장하며 스테이블 코인 시가 총액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했다. 특히 UST 가격 안정을 위해 비트코인을 준비 자산으로 편입하겠다는 선언 이후 필자는 어쩌면 새로운 디지털 화폐 시스템이 탄생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하며 전율을 느낀 기억이 있다. 하지만 화무십일홍이라고 했던가. 루나의 황금기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UST 페깅이 깨지고 루나가 기하급수적으로 발행되면서 가격이 폭락하고 생태계는 완전히 망가졌다. 모두가 어안이 벙벙할 정도로 너무나 짧은 시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기존 루나 생태계가 회생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자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는 테라 2.0을 선언하며 새로운
2022.06.15 06:03:02